• 제목/요약/키워드: Orchard grass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5초

목초의 임간재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ultuer of Cool-Season Grasses in Forest)

  • 이종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3-36
    • /
    • 1985
  • 牧場에 林間栽培함에 있어서 閉度의 多少가 牧草의 生育 및 收量에 미치는 影響을 究明코자 리기데타 人工造林地의 閉度를 0(露光區), 25, 50, 75%로 調節하여 Orchard grass를 栽培하였던 바 그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林地內의 Orchard grass의 葉面積은 各 刈取時期 모두 閉度 25, 0, 50, 75%區의 順位이며 特히 閉度 25%區는 0%區에 비하여 有意的인 增加傾向 이었다. 2. Orchard grass의 草長은 閉度가 높을수록 伸長하는 傾向이나 閉度 0%區와 25%區 間에는 差異를 認定할 수 없었다. 3 閉度의 差異에 따른 草長과 葉面積의 關係는 負의 利關關係를 나타내었다. 4. 林地內의 Orchard grass 年間 總 乾物收量은 페도 25%구가 露光區 에 비하여 有意的인 增收效果가 있었으며 50%區는 露光區에 비하여 약간 減少하는 傾向을 나타내었으나 統計的인 有意性은 認定되지 않았다. 그러나 閉度 75%區는 露光區에 비하여 有意的인 減收를 나타내었다.

  • PDF

고랭지밭의 토양침식 저감을 위한 완충식생대의 효과 (Effects of Vegetative Buffers on Reducing Soil Erosion and Nutrient Loss of Highland Field in Korea)

  • 진용익;이정태;이계준;황선웅;장용선;박창영;서명철;류종수;정진철;정일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31-238
    • /
    • 2009
  • 본 연구는 고랭지 경사밭에서 발생하는 유거수량, 토양유실, 영양물질 유출량을 감소시키는 완충식생대의 효과를 연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포장의 토양은 운교통이고, 가로 2.5m, 세로 20m인 무저 lysimeter에서 시험하였다. 연구포장은 경사율 17%를 가진 경사밭이며, 배추를 재배하였다. 완충식생대로 이용된 초종은 Rye(Secale cereale L.), Tallfescue(Festuca arundinacea Schreb) Orchardgrass(Dactylis glomerata L.)이다. 이들은 경사밭 아래 부분에 조성되었다. 호밀 식생대의 폭은 1m, 2m, 4m를 두었고, Orchard grass와 Tall fescue는 2m로 설정하였다. 완충식생대를 조성하기 위해 각 초종을 2005년 9월에 파종하였고, 배추는 2006년 6월에 정식하였다. 토양유실량, 유거수량, 영양물질 유출량의 측정은 2006년 6월부터 8월까지 수행하였다. 유거수량, 토양유실량 및 영양물질 유실량은 강우가 집중된 7월에 가장 높았다. 유거수를 감소시키는 완충식생대의 효과를 대조구와 비교해 볼 때, 2m로 폭이 같은 완충식생대에서 호밀은 3%, Orchard grass는 1%, Tall fescue는 2% 저감 효과가 있었다. 폭이 다른 호밀 완충식생대간의 비교에서, 1m는 1%, Rye 2m는 3%, Rye 4m는 13%의 저감효과가 나타나 Rye 4m의 효과가 가장 좋았다. 토양유실저감측면에서 대조구와 비교할 때, 2m 완충식생대 중 호밀식생대는 59%, Orchard grass 46%, Tall fescue 28% 토양유실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나 같은 폭에서 호밀식생대의 효과가 가장 좋았다. 폭이 다른 호밀 식생대의 비교에서 1m는 62%, 2m는 60%, 4m는 88%의 토양유실 저감 효과가 나타나, 4m의 효과가 토양유실을 저감하는데 가장 좋은 효과를 보였다. 한편, 유거수와 토양에서 발생한 N, P, K 유출 저감에서는 호밀 2m완충식생대에서 각각 54%, 16%, 11%, Orchard grass는 각각 22%, 24%, 22%를, Tall fescue는 10%, 7%, 12% 영양물질유출을 줄였다. 호밀완충식생 중에서 폭이 큰 4m에서 영양물질 유출저감효과가 가장 좋았다. 이 연구의 결과, 유거수량, 토양유실 저감효과는 호밀완충식생대가 다른 초종의 식생대보다 좋아서 유거수, 토양유실 그리고 영양물질 유출 저감을 위해 폭이 큰 호밀완충식생대의 설치가 효과적이라 생각된다.

Effect of mixed hay supplementation during fattening on carcass traits and meat quality of Hanwoo steers

  • Utama, Dicky Tri;Choi, Ji Hye;Lee, Chang Woo;Park, Yeon Soo;Lee, Sung Ki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9권3호
    • /
    • pp.6.1-6.6
    • /
    • 2017
  • Background: This study was aim to observe the effects of feeding mixed local hay (MH) consisted of 55% orchard grass (Dactylis glomerata L.), 35% tall fescue (Festuca arundinacea) and 10% red clover (Trifolium pratense) to Hanwoo steers on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longissimus thoracis) compared with feeding imported timothy hay (TH) and local rice straw (RS). Results: Although no significant effects were found on animal performance and carcass yield grade, the carcasses of MH group had higher marbling score and quality grade than those of RS and TH group (P < 0.05). Therefore, higher fat content (P < 0.001), lower shear force and hardness value in the beef of MH group than that of other groups were observed. Furthermore, the beef of MH group had higher CIE $a^*$ value (redness) than that of other groups and feeding MH to Hanwoo steers lowered n-6 to n-3 fatty acids ratio in beef. Conclusions: Mixed hay provided benefits on meat quality and could be used for Hanwoo fattening program.

Chewing Activities of Selected Roughages and Concentrates by Dairy Steers

  • Moon, Y.H.;Lee, S.C.;Lee, S.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7호
    • /
    • pp.968-973
    • /
    • 2002
  • To evaluate the chewing activity of ruminant feeds, four Holstein steers (average body weight $742{\pm}15kg$) were employed. Experimental feeds were four roughages ($NH_3$-treated rice straw, alfalfa hay, corn silage, orchard grass hay) and four concentrate ingredients (cotton seed hull, beet pulp pellet, barley grain, oat grain). Regarding palatability for each experimental feeds which was overviewed during the adjustment period, animals were fed roughages alone, but with 50% $NH_3$-treated rice straw ($NH_3$-RS) for concentrate ingredients. Therefore, all the data for concentrate ingredients was derived by extracting the result per unit obtained from steers fed $NH_3$-RS alon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a 4${\times}$4 Latin square designs for roughages and concentrate ingredients. Experimental feeds were fed during a 10 d adaptation and 2 d chewing data collection during each experimental period. Animals were gradually adjusted to the experimental diet. Dry matter intake (DMI) was restricted at a 1.4% of mean body weight (10.4 kg DM/d). Time spent eating and eating chews per kilogram of DMI were greatest for beet pulp pellet, and lowest for barley grain (p<0.05). Time spent rumination per kilogram of DMI was greatest for $NH_3$-RS, cotton seed hull and orchard grass, but rumination chews were greatest for cotton seed hull and orchard grass except $NH_3$-RS (p<0.05). Roughage index value (chewing time, minute/kg DMI) was 58.0 for cotton seed hull, 56.1 for beet pulp pellet, 55.5 for $NH_3$-RS, 53.1 for orchard grass hay, 45.9 for corn silage, 43.0 for alfalfa hay, 30.0 for oat grain, and 10.9 for barley grain. The ratio of rumination time to total chewing time (eating plus ruminating) was about 72% for the roughages except corn silage (66.9%), and followed by cotton seed hull (69.5%), and ranged from 49.5% to 52.9% for other feeds. Higher percentages of rumination in total chewing time may be evidently indicate the characteristics of roughage. Therefore, this indicate that the chewing activity of concentrate ingredients can be more fully reflects by the ruminating time than total chewing time (RVI), although it is reasonable to define the RVI for roughages.

화산회토 감귤원의 표토관리방법이 토양 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surface Soil Management Practices on Microflora in Volcanic Ash Soils of Citrus Orchard)

  • 좌재호;임한철;고상욱;현해남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65-170
    • /
    • 2004
  • 화산회토 노지 감글원에서 청경, 초생, 부초재배 등의 표토관리 방법이 토양의 미생물밀도, 효소활성 및 microbial biomass C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997년에 개화기인 5월과 과실비대기인 9월에 청경재배, 초생재배, 부초재배 감귤원 각각 10개소에서 토양을 채취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토관리방법에 따른 토양의 화학성 차이는 없었으며 pH는 평균 4.7로 낮았다. 유기물과 질소 함량은 평균값으로 각각 140.2 및 $6g\;kg^{-1}$이었으나 조사지점에 따라 다양하였다. 감귤원 토양에서 호기성 세균은 $26,2-47.3{\times}10^6cfu\;g^{-1}$ 수준의 분포를 나타냈으며 호기성 세균속 중에는 Pseudomoras spp., 고온성 Bacillus spp., Rhizobium spp. 등이 우점하는 경향이었다. 방선균은 $1.8-84.6{\times}10^5cfu\;g^{-1}$ 수준으로 분포를 하였고 개화기에 밀도가 높았다. 사상균은 $26.4-182.1{\times}10^5cfu\;g^{-1}$ 수준의 분포를 나타냈으며 초생재배와 부초재배에서 많았다. 과실비대기에 토양 인산효소활성은 청경재배에서 $239.6{\mu}g\;PNP\;g\;soil^{-1}\;h^{-1}$, 토양 cellulase 활성은 초생재배에서 $602.6{\mu}g\;GE\;g\;soil^{-1}$\;24\;h^{-1}$로 높았다. Microbial biomass C는 부초재배에서 $256.3mg\;C\;kg\;soil^{-1}$로 가장 높았다.

아미노산(酸) 발효(醱酵) 부산액비(副産液肥)에 대(對)한 과석(過石) 첨가(添加)와 시용시기(施用時期)가 목초(牧草)의 출아(出芽)와 수량(收量)에 미치는 효과(效果) (Effect of Super Phosphate Addition and Spraying time of Amino Acid Fermentation By-product Liquid Fertilizer on the Number of Sprouts and Yield of Pasturages)

  • 오왕근;오재섭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75-380
    • /
    • 1984
  • 아미노산(酸) 발효부산액비(醱酵副産液肥)에 첨가(添加)한 과석(過石)과 이 비료(肥料)의 시비시기(施肥時期)가 오챠-드 그라스의 출아(出芽) 및 수량(收量)에 준 영향(影響)을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액비(液肥) 또는 과석(過石)을 혼합(混合)한 액복비(液複肥)를 목초(牧草)의 파종당일(播種當日)에 시용(施用)했을 때는 토양(土壤)의 pH가 염농도(鹽濃度)가 높아지고 목초(牧草)의 출아수(出芽數)가 적어졌으며 수량(收量)도 줄었다. 2. 산성토양(酸性土壤)에서 과석(過石)이 혼합(混合)된 액복비(液複肥)는 순수액비(純粹液肥)보다 목초(牧草)의 출아수(出芽數)를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 있었다. 과석(過石)이 함유(含有)하는 칼슘이 암모니아가스와 암모늄염의 해독(害毒)을 경감(輕減)하는 효과(效果)가 있었던 것으로 고찰(考察)되었다. 3 아미노산발효부산액비(酸醱酵副産液肥)나 이것을 원료(原料)로 만든 액복비(液複肥)가 우수(雨水)나 관개수(灌漑水)에 세탈(洗脫)되지 않는 조건하(條件下)에서는 파종(播種)이나 이식(移植)에 앞서 상당(相當)한 기간(期間) 일찍 약산성(弱酸性)이나 미산성(微酸性)의 나지(裸地)에 시용(施用)하여도 그 비효(肥效)가 떨어지지 않고 종자(種子)의 출아(出芽)나 유묘(幼苗)의 생육(生育)에 오히려 더 좋은 토양조건(土壤條件)을 만들어 주는 것 같다.

  • PDF

사료작물 윤작재배에 의한 연초포지의 제염효과 (Soil Desalinization by Pasture Crops in Tobacco Field)

  • 이철환;진정의;한철수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4-28
    • /
    • 1997
  • The field experiment for field desalinization by precultivation of orchard crop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eation of chlorine contents of soil and crop uptake in the upland diverted from paddy field. After harvest of grass crops, soil samples were taken for analysis of chlorine contents of soil layers. Regardless of kinds of grass crops cutivated, contents of soil chlorine were decreased comparing to non-crop plot. Chlorine content in plant harvested at just before the flowering stage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after flowering. Chlorine uptake and dry matter were increased in order of Italian ryegrass, Perennial ryegrass, and Sudan grass. Positive correlations were showed between chlorine uptake and dry matter. The content of soil chlorine decreased by higher yield of dry matter.

  • PDF

초지개량에 미치는 가리시비의 효과에 관한 연구 (Sudies on the of $K_2O$Fertilization for the Pasturu Improvement)

  • 권순기;김용국;김문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7-25
    • /
    • 1982
  • 초지개량(草地改良)에 있어서 가리(加里)의 시용수준(施用水準) 및 질소(窒素)와 인산(燐酸)의 시비량(施肥量) 관계(關係)가 목초(牧草)의 생산성(生産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해서 화본과(禾本科) 단파구(單播區), 두과(荳科) 단파구(單播區) 및 혼파구(混播區)로 구분(區分)하여 가리(加里)의 시비수준(施肥水準)을 달리하면서 1977년(年)부터 1980년(年)까지 3년간(年間)에 걸쳐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가리(加里)의 시비수준(施肥水準)이 목초(牧草)의 정착(定着)과는 영향(影響)이 없으나 화본과(禾本科) 단파구(單播區)에서는 월동성(越冬性)에 효과가 있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2. 목초(牧草)의 수량(收量)은 화본과(禾本科) 단파구(單播區)에서 가리(加里)의 시용(施用) 효과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傾向)이지만 두과(荳科) 단파구(單播區)와 혼파구(混播區)에서는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3. 고형물(固形物) 수량(收量)은 두과구(荳科區)의 4처리구(處理區)가 10a 1,152kg으로 가장 많고 혼파구(混播區)에서는 3처리구(處理區) 1,093kg, 화본과(禾本科) 단파구(單播區)는 5처리구(處理區)의 834kg이 가장 많았다. 4. 식생상태(植生狀態)의 변화(變化)는 화본과(禾本科) 단파구(單播區)에서 orchard grass와 tall fescue가 해를 경과할수록 증가(增加)하였으며 두과단파구(荳科單播區)와 혼파구(混播區)에서 alfalfa가 90% 이상(以上)의 우점초(優占草)가 되었는데 특(特)히 orchard grass는 가리(加里)의 증비(增肥) 효과가 큰 것 같다. 5. 초지개량(草地改良)에 있어서 본(本) 실험(實驗)의 결과(結果)로 나타난 적정시비수준(適正施肥水準)은 10a 당(當) 질소(窒素), 인산(燐酸), 가리(加里)를 화본과(禾本科) 단파구(單播區)에서 20-20-30kg을 시용(施用)할 때 최고(最高)의 수량(收量)을 나타냈으며 두과(荳科) 단파구(單播區)에서는 8-20-20kg을 시용(施用)하였을 때 최고수량(最高收量)을 얻을 수 있었다. 6. 시비수준(施肥水準)에 따르는 비료가격(肥料價格)과 목초(牧草)의 고형물(固形物) 수량(收量)에 의(衣)해서 1kg 생산(生産)에 소요(所要)된 비료가격(肥料價格)을 비교(比較)하면 혼파구(混播區)의 1처리구(處理구) 수익(收益)이 높은데 그 이유(理由)는 인산(燐酸)의 비료가격(肥料價格)에 의(依)한 것이다. 7. 본(本) 실험(實驗)은 종합적(綜合的)으로 고찰(考察)할 때 목초(牧草)의 고형물(固形物) 수량(收量)과 시비가격(施肥價格)으로 보아 화본과(禾本科)는 10a 당(當) 20-20-20kg, 두과(荳科)와 혼파구(混播區)는 8-20-20kg의 시비수준(施肥水準)이 경제적으로 가장 유리(有利)한 것 같다.

  • PDF

Sensitization rates of airborne pollen and mold in children

  • Park, So-Hyun;Lim, Dae-Hyun;Son, Byong-Kwan;Kim, Jeong-Hee;Song, Young-Eun;Oh, In-Bo;Kim, Yang-Ho;Lee, Keun-Hwa;Kim, Su-Young;Hong, Sung-Chul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5권9호
    • /
    • pp.322-329
    • /
    • 2012
  • Purpose: Aeroallergens are important causative factors of allergic diseases. Previous studies on aeroallergen sensitization rates investigated patients groups that had visited pediatric allergy clinics. In contrast, we investigated sensitization rates in a general population group of elementary school to teenage students in Incheon, Jeju, and Ulsan. Methods: After obtaining parental consent, skin-prick tests were performed on 5,094 students between March and June 2010.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tested for 18 common aeroallergens, wherea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tested for 25 allergens. The 25 allergens included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Dermatophagoides farinae, pollen (birch, alder, oak, Japanese cedar, pine, willow, elm, maple, Bermuda grass, timothy grass, rye grass, orchard grass, meadow grass, vernal grass, mugwort, Japanese hop, fat hen, ragweed, and plantain), and mold (Penicillatum, Aspergillus, Cladosporium, and Alternaria). Results: The sensitization rates in descending order were 25.79% (D. pteronyssinus ), 18.66% (D. farinae ), 6.20% (mugwort), and 4.07% (willow) in Incheon; 33.35% (D. pteronyssinus ), 24.78% (D. farinae), 15.36% (Japanese cedar), and 7.33% (Alternaria) in Jeju; and 32.79% (D. pteronyssinus), 30.27% (D. farinae), 10.13% (alder), and 8.68% (birch) in Ulsan. The dust mite allergen showed the highest sensitization rate among the 3 regions. The sensitization rate of tree pollen was the highest in Ulsan, whereas that of Alternaria was the highest in Jeju. The ragweed sensitization rates were 0.99% in Incheon, 1.07% in Jeju, and 0.81% in Ulsan. Conclusion: The differences in sensitization rates were because of different regional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distinct surrounding biological species. Hence, subsequent nationwide studies are required.

A new record of Hypoaspis sardous (Canestrini, 1884) (Acari: Mesostigmata: Laelapidae) from Korea

  • Keum, Eunsun;Kaczmarek, Slawomir;Jung, Chuleui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5권3호
    • /
    • pp.477-482
    • /
    • 2016
  • Mite of the genus Hypoaspis of family Laelapidae are free-living soil predators mostly observed on the open grass field. Five species in the genus Hypoaspis were listed in Korean Catalog (NIBR, 2013) without detail information. Recent series of soil acarine biodiversity survey in Gyeongbuk and Gangwon provinces during 2009-2015 recovered a new record of Hypoaspis sardous (Canestrini, 1884) to Korean inventory from apple orchard and riparian grass land. Detailed description and morphological comparison with the related species, H. aculeifer which is well known biological control agent of horticultural crop pests were provided with identification ke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