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Open data

Search Result 5,753, Processing Time 0.184 seconds

공공데이터의 개방·활용 촉진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 공공데이터 제공거부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Legal System for the Promotion of Opening and Utilization of Open Government Data - Focusing on cases of refusal to provide -)

  • 김은선
    • 정보화정책
    • /
    • 제30권2호
    • /
    • pp.46-67
    • /
    • 2023
  • 정부의 적극적인 공공데이터 정책에도 일부 수요가 많은 데이터가 법률을 근거로 여전히 개방되지 못한다는 지적이 있다. 본고에서는 국민의 공공데이터 제공신청이 제공거부된 사례를 중심으로 개별분야 법률이 공공데이터 개방·활용에 제약으로 작용하는 요인을 분석하고 공공데이터법과 상호 조화되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공공데이터 정책의 근간이 된 오픈데이터 헌장과 함께 공공데이터의 헌법적 가치를 살펴보고, 헌법적 가치를 토대로 제도적 사유로 제공거부된 사례들을 검토한다. 개인정보가 포함된 공공데이터가 대표적인데, 제도적 사유로 제공거부 된 사례의 절반 가까이 차지하고 있어 그 개선 가능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특히 개인정보 보호법이 개정되어 제한적 목적으로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가명정보 처리가 가능해졌으므로, 국민의 공공데이터에 대한 접근과 이용 확대를 위한 공공데이터법의 개정 필요성을 검토할 시점이다. 또한 선별한 개선 대상 법률들에 대하여 제약요인과 개선 필요성을 검토하여 공공데이터 개방·활용과 조화를 이루기 위한 제도적 개선방향을 제시한다.

Interlinking Open Government Data in Korea using Administrative District Knowledge Graph

  • Kim, Haklae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6권1호
    • /
    • pp.18-30
    • /
    • 2018
  • Interest in open data is continuing to grow around the world. In particular, open government data are considered an important element in securing government transparency and creating new industrial value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enacted legislation on opening public data and provided diversified policy and technical support. However, there are also limitations to effectively utilizing open data in various areas. This paper introduces an administrative district knowledge model to improve the sharing and utilization of open government data, where the data are semantically linked to generate a knowledge graph that connects various data based on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administrative district knowledge model semantically models the legal definit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s in South Korea, and the administrative district knowledge graph is linked to data that can serve as an administrative basis, such as addresses and postal codes, for potential use in hospitals, schools, and traffic control.

Conversations about Open Data on Twitter

  • Jalali, Seyed Mohammad Jafar;Park, Han Woo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3권1호
    • /
    • pp.31-37
    • /
    • 2017
  • Using the network analysis metho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mmunication structure of Open Data on the Twitter sphere. It addresses the communication path by mapping influential activities and comparing the contents of tweets about Open Data. In the years 2015 and 2016, the NodeXL software was applied to collect tweets from the Twitter network, containing the term "opendata". The structural patterns of social media communication were analyzed through several network characteristic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most common activities on the Twitter network are related to the subjects such as new applications and new technologies in Open Data. The study is the first to focus on the structural and informational pattern of Open Data based on social network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It will help researchers, activists, and policy-makers to come up with a major realization of the pattern of Open Data through Twitter.

국내 공공데이터 개방수준을 통해서 본 OECD의 Open, Useful, Reusable Government Data Index에 대한 비판적 논의: Open Data Barometer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A Critical Review on Open, Useful, Reusable Government Data Index by OECD with Level of Domestic Open Government Data : Focusing on Comparison with Open Data Barometer)

  • 서형준
    • 정보화정책
    • /
    • 제24권2호
    • /
    • pp.43-67
    • /
    • 2017
  • 한국은 2015년 OECD에서 발표한 공공데이터 개방지수인 OUR Data Index에서 30개국 중에서 1위를 차지하였으나 같은 해 발표된 WWW 재단의 공공데이터 개방지수인 ODB에서는 86개국 중에서 17위를 차지하였다. 본 연구는 두 지표의 괴리된 평가결과와 OUR Data Index가 실제 한국의 공공데이터 개방수준을 제대로 평가하고 있는지에 대한 학술적 의구심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OUR Data Index의 국가 간 공공데이터 평가방식에 문제점이 있다고 보고 ODB와의 비교를 진행하였다. 두 지표에 대한 비교결과, 첫째, OUR Data Index와 ODB의 상관관계분석에서 두 지표는 상관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OUR Data Index는 ODB와 비교해서 평가체계가 모호하고, 평가 공공데이터도 부족하였다. ODB는 평가하는 공공데이터의 종류도 더 많고, 평가방식도 다양하였다. 셋째, OUR Data Index는 정부지원 항목이 평가지표상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이것은 투입요소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ODB는 이와 유사한 준비도라는 항목이 있으나 정부만이 아닌 다른 이해관계자의 역량도 평가한다는 차이가 있다. 넷째, OUR Data Index는 공공데이터 개방에 따른 효과에 대한 평가항목은 없었다. 반면 ODB는 정부, 경제, 사회 등 세 분야에 대한 공공데이터 개방의 파급효과를 하위항목으로 구성하였다.

Modeling and Implementation of Public Open Data in NoSQL Database

  • Min, Meeky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0권3호
    • /
    • pp.51-58
    • /
    • 2018
  • In order to utilize various data provided by Korea public open data portal, data should be systematically managed using a database. Since the range of open data is enormous, and the amount of data continues to increase, it is preferable to use a database capable of processing big data in order to analyze and utilize the data. This paper proposes data modeling and implementation method suitable for public data. The target data is subway related data provided by the public open data portal. Schema of the public data related to Seoul metro stations are analyzed and problems of the schema are presented.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normalize and structure the subway data and model it in NoSQL database. In addition, the implementation result is shown by using MongDB which is a document-based database capable of processing big data.

문헌정보학 분야 연구데이터 공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aring of Research Data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ield)

  • 조재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9-79
    • /
    • 2017
  • 본 연구는 Figshare를 통해 공유되고 있는 문헌정보학분야 연구데이터의 유형, 주제, 공개 수준 등을 분석하고 재사용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데이터의 특성을 통계적으로 해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데이터의 유형은 dataset과 paper 유형이, 주제 분야는 open access와 research data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70%에 가까운 연구데이터가 pdf와 같이 편집과 재사용이 원활하지 않은 형태로 공개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연구데이터의 특성과 활용 정도간의 관계 분석 결과, 주제에 있어서는 APC(Article Processing Charge)를 비롯한 open access 영역이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데이터 유형에 있어서는 paper의 활용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Oracle 기반의 OpenGIS 공간 인터페이스의 개발 (Development of an OpenGIS Spatial Interface based on Oracle)

  • 박춘걸;박희현;강홍구;한기준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11
    • /
    • 2007
  • 최근에 공간 데이타의 수집 방법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산업과 연구 분야에서 공간 데이터가 생성되고 유통 및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대용량의 공간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ESRI의 ArcSDE, Oracle의 Oracle Spatial과 같은 기존 DBMS를 확장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용 DBMS의 확장을 사용 시에는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고, 사용되는 공간 데이터 타입과 공간 연산자들이 서로 상이함으로 인해 상호운용성의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에서 제시한 "SQL을 위한 심플 피쳐 명세(Simple Features Specification for SQL)"의 표준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OpenGIS 공간 인터페이스를 Oracle 상에서 개발하였다. OpenGIS 공간 인터페이스는 "SQL을 위한 심플 피쳐 명세"에서 제시한 모든 데이타 타입과 공간 연산자를 지원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추가적인 비용 없이 본 논문에서 개발한 OpenGIS 공간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Oracle의 대용량 공간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성능 평가를 통해 OpenGIS 공간 인터페이스가 Oracle Spatial보다 응답 시간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입증하였다.

  • PDF

직장예절교육용 공공개방데이터를 활용한 학습 프레임워크 (Learning Framework based on Public Open Data for Workplace Etiquette Education)

  • 김유리
    • 지식경영연구
    • /
    • 제19권1호
    • /
    • pp.133-146
    • /
    • 2018
  • This study develops an Education framework for users who need public open data for workplace etiquette education in a timely manner by mobile application. It facilitates utilizing efficiently Workplace etiquette contents that scattered in various platforms such as blogs, Youtube and web-sites run by private education agencies. Furthermore, it makes Public open data for workplace etiquette through gathering 'metadata', which is a comprehensive source of workplace etiquette. Accordingly, framework changes recognition about necessity of workplace etiquette education positively and suggests method that can promote effective workplace etiquette education. If the system in the study can provide public open data of workplace etiquette education, many young job applicants and workers will have a proper perception on it and sound workplace etiquette culture will be settled in the companies. Public data has been rising as a vital national strategic asset these days. Hopefully the public data will pave a way to discover the blue ocean in the market and open up a new type of businesses.

OpenVolMesh: 삼차원 볼륨 기반의 메쉬 표현을 위한 범용적이고 효과적인 자료 구조 (OpenVolMesh: Generic and Efficient Data Structure for 3D Volumetric Meshes)

  • 김준호;서진석;오세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85-92
    • /
    • 2008
  • 메쉬는 삼차원 물체를 표현하기 위해 가장 널리 쓰이는 자료구조 중 하나이다. 지금까지 메쉬 자료구조로는 주어진 삼차원 물체의 표면 상의 정보만을 샘플링하는 표면 메쉬가 널리 쓰였다. 그러나, 컴퓨터의 처리능력이 향상됨에 따라, 콘텐츠 개발시 물체의 내부 정보까지 계산할 수 있는 볼륨 메쉬의 필요성이 점점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반면 (half-face) 자료구조 기반의 새로운 삼차원 볼륨 메쉬 라이브러리인 OpenVolMesh를 제안하고, 그 디자인과 구현에 관하여 기술한다. 제안하는 OpenVolMesh는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표면 메쉬 라이브러리인 OpenMesh 위에 볼륨 메쉬를 다룰 수 있는 자료구조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디자인하였다. OpenVolMesh는 제네릭 프로그래밍 (generic programming), 메쉬 구성 요소에 대한 동적속성 할당 (primitive property), 배열 기반의 자료구조 등을 지원하며, OpenMesh와 소스 레벨에서의 호환성을 제공한다. 볼륨 메쉬 스무딩 및 CW-셀 분할과 같은 적용사례를 통해 OpenVolMesh가 삼차원 볼륨 기반의 콘텐츠 개발에 효과적으로 쓰일 수 있음을 보인다.

CORBA를 이용한 OpenGIS 기반 미들웨어 구현 (Implementation of OpenGIS-based middleware using CORBA)

  • 안경환;조대수;홍봉희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19-28
    • /
    • 1999
  • 과거에는 공간데이타를 초기에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가 문제였으나 현재는 엄청난 양의 분산된 공간 데이타중 목적에 맞는 데이타에 대한 접근 및 효율적인 이용에 대해서 그 초점이 옮겨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분산 객체 기술과 공간 데이타 및 서비스에 대한 표준을 필요로 한다. 이 논문에서는 OpenGIS에서 정의하는 표준 인터페이스를 분산 객체 기술인 CORBA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클라이언트는 CORBA로 구현된 미들웨어의 OpenAPI를 표준 프로토콜인 IIOP(TCP/IP)를 통하여 접근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에게 Open API를 제공해 주는 CORBA 서버 객체는 기존 시스템을 포장하여 상호 운용을 보장해 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