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en Educational Resources(OER)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2초

Comparing Open Educational Resource Practices in Higher Education between Finland and South Korea

  • VAINIO, Leena;IM, Yeonwook;LEPPISAARI, Irja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3권1호
    • /
    • pp.27-48
    • /
    • 2012
  • In this paper we are comparing how the OER (open educational resources) are developed in Higher Education in Finland and South Korea. We also present a comparison model for further studies. Essential findings based on our comparison are that in both countries there are many best practices of use of the OER and open learning. Open educational resources have great potential and their use can ensure quality teaching and learning. The activity has not inspired the great mass of higher education teachers in Finland and Korea. Traditionally, a teacher's job is working alone, and so a new operational culture is required. Our comparison indicates that numerous questions, fears and problems and cultural differences are also related to the thematic. There is an evident need for a new kind of strategic leadership, a new kind of teaching and learning culture and a doing together and production ideology for the method to spread. Based on our study the following interlinked elements of OER seem to be pivotal: changes to pedagogies, technology and operational culture; educational policy intention; and attitude to culture. Lastly, comparison frame by OER practice model is developed.

아시아지역의 공개교육자원 활용현황 분석 (An Analysis of the Status of OER(Open Educational Resources) Usage in Asia)

  • 이은정;김용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41-53
    • /
    • 2012
  • OER은 상호지식정보 교류의 확산을 가능하게 하며 사용자와 기관 모두에게 비용절감, 콘텐츠 품질 향상, 관계 형성 등의 이점을 가져다준다. OER 관련 연구는 정규교육과의 연계, 저작권 동향, 기업이러닝과 관련하여 진행된 바 있다. 그렇지만 활용현황과 문제점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OER의 활성화를 위해 기관들을 대상으로 활용현황을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기관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황조사는 아시아 14개 지역의 200여개 기관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분석결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자료로는 '이미지, 시각자료'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사용 상의 저해요인으로는 '인식부족', '기술부족', '보상시스템의 부재' 등으로 나타났으며, 협력에 대한 참여도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OER의 활성화를 위해서 각 기관에서는 인식과 활용 기술, 저작권에 대한 연수를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보상시스템과 활용을 위한 환경 구축에 대한 지원도 필요하다. 그리고 OER 공유를 위한 기관 간 협력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된다.

오픈 에듀케이션에 대한 개념적 고찰과 도서관의 접근 방안 (Conceptual Study on Open Education and Library's Approach to Open Education)

  • 한승희;이혜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187-208
    • /
    • 2020
  • 오픈 에듀케이션이란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교육 장벽을 해소하기 위해 전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운동이다. 점차 확산되고 있는 오픈 에듀케이션 환경에서 도서관의 교육적 기능을 어떻게 수행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오픈 에듀케이션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고찰하고, 오픈 에듀케이션 환경에서 도서관이 어떻게 교육적 기능을 수행할 것인지 그 접근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도서관의 교육적 기능의 관점에서 도서관이 오픈 에듀케이션의 실행과 확산의 주체가 되고, 이를 위한 역할과 방향을 설정하는 데 있어 지침이 될 것이다.

공개교육자원(OER)을 활용한 자기조절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웹기반 교원연수 프로그램 설계 전략 (Design Guidelines fo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that Help Improve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through OER)

  • 차현진;박태정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69-83
    • /
    • 2013
  • 본 연구는 확장되고 있는 OER 환경과 교사의 전문성 제고를 연계하여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제공하면서 교사의 자기조절학습능력도 향상시킬 수 있는 환경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선행문헌 고찰 및 사례 분석을 토대로 하여 성인 학습자로서 교사의 자기조절학습 능력 증진시키면서 교사의 전문성을 개발하고 교수 자료를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OER을 활용한 웹기반 교원연수 프로그램 설계 전략을 9개 영역 15개 항목으로 추출하였다. 또한 전문가 검토를 통해 최종 개발된 설계 전략을 기반으로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고, 7인의 교사에 의해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사용성 평가의 결과로는 설계 전략 및 프로토타입의 개선점을 찾아내었고, 교사들이 자기조절학습 능력 향상과 OER을 활용한 교수자료 개발의 목적을 가진 교원연수과정에 대한 타당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또한 OER을 활용한 교원연수프로그램에서 교사들이 자기조절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요구사항도 도출할 수 있었다.

  • PDF

Statistical Profiles of Users' Interactions with Videos in Large Repositories: Mining of Khan Academy Repository

  • Yassine, Sahar;Kadry, Seifedine;Sicilia, Miguel Angel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4권5호
    • /
    • pp.2101-2121
    • /
    • 2020
  • The rapid growth of instructional videos repositories and their widespread use as a tool to support education have raised the need of studies to assess the quality of those educational resources and their impact on the quality of learning process that depends on them. Khan Academy (KA) repository is one of the prominent educational videos' repositories. It is famous and widely used by different types of learners, students and teachers. To better understand its characteristics and the impact of such repositories on education, we gathered a huge amount of KA data using its API and different web scraping techniques, then we analyzed them. This paper reports the first quantitative and descriptive analysis of Khan Academy repository (KA repository) of open video lessons. First, we described the structure of repository. Then, we demonstrated some analyses highlighting content-based growth and evolution. Those descriptive analyses spotted the main important findings in KA repository. Finally, we focused on users' interactions with video lessons. Those interactions consisted of questions and answers posted on videos. We developed interaction profiles for those videos based on the number of users' interactions. We conducted regression analysis and statistical tests to mine the relation between those profiles and some quality related proposed metrics.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all interaction profiles are highly affected by video length and reuse rate in different subjects. We believe that our study demonstrated in this paper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in understanding the logic and the learning mechanism inside learning repositories, which can have major impacts on the education field in general, and particularly on the informal learning process and the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as one of the first quantitative studies to shed the light on Khan Academy as an open educational resources (OER) repository.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paper are crucial in understanding KA videos repository, its characteristics and its impact on education.

미래 교수-학습 및 공간의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es of Future Teaching-Learning and Space)

  • 조진일;최형주;홍선주;안태연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9권1호
    • /
    • pp.13-24
    • /
    • 2020
  • 본 연구는 미래 교수-학습방법 유형과 학습 공간 유형을 분석하여 교수-학습방법 유형에 적합한 공간 유형을 연결(matching)해보고, 공간 유형별 교수-학습방법과 학습양식의 활용정도를 학교급별로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플립 러닝, 디퍼 러닝, 협력 학습, 몰입형 가상현실 학습, 놀이 학습, OER활용 학습 등 6가지의 교수-학습방법 유형과 놀이 및 탐구 공간, 제작 및 거치 공간, 발표 및 전시 공간, 독립된 학습 공간, 학습의 장으로서의 교실, 학습의 내용으로서의 교실 등 6가지의 학습 공간 유형을 도출하였다. 아울러 Table 12와 13과 같이 미래 교수-학습방법 유형에 적합한 공간 유형을 연결해보고, 공간 유형별 교수-학습방법뿐만 아니라 22가지 학습양식의 활용정도를 학교급 또는 학년군별로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