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ocyte development

검색결과 610건 처리시간 0.029초

번식주기의 단계별로 회수한 고양이 난자의 체외수정과 체외발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al Rate of In Vitro Cultured Cats Oocytes Recovered from Ovaries Collected at Different Stages of the Reproductive Cycle)

  • 박상훈;이명헌;김무강;김상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57-161
    • /
    • 2003
  • 본 연구는 소형 고양이의 불임 해결과 체외수정란을 생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난자의 형태, 번식주기, 배양시간 및 활성화 처리가 난포란의 체외수정 및 체외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 신선 및 salt에 보존한 난소로부터 회수한 난구세포부착 및 나화 난자를 각각 배양했을때 체외수정율 및 분할율은 65.7%와 17.1%, 28.6%와 8.6% 및 57.1%와 13.3%, 23.3%와 3.3%로서 난구세포 부착 신선난자가 나화 난자에 비해 높은 체외발생률을 나타냈다. 2. 휴지기, 발정기 및 황체기 단계로 구분하여 채취한 난포란을 성숙배양 후 수정시켰을 때 체외수정율은 각각 68.9%, 44.4%, 48.9%였으며, 분할율은 각각 17.8%, 8.9%, 12.8%로 나타났다 3. 24, 36 및 48시간 각각 배양한 난포란을 성숙 배양 후 수정시켰을 때 체외수정율은 각각 66.7%, 46.7%, 48.9%였으며, 분할율은 각각 17.8%, 11.1%, 8.5%로 나타났다. 4. 난자를 활성화처리 및 비활성화처리 후 각각 체외수정시켰을 때 체외수정율은 각각 57.4%와 31.4%였고, 체외분할율은 22.9%와 11.4%로서 활성화 처리를 한 난자가 높은 체외발생율을 나타냈다.

쥐 난소에서 난포 발달에 따른 Id3 mRNA의 발현 (Id3 mRNA Expression on Folliculogenesis in Rat Ovary)

  • 황성수;고응규;임현주;성환후;윤종택;민관식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1권3호
    • /
    • pp.181-186
    • /
    • 2007
  • DNA 결합 단백질 억제(Inhibitor of DNA binding protein) 또는 분화억제(Inhibitor of differentiation) 인자인 Id는 네 종류(Id1-4)가 있으며, 세포의 증식과 분화, 혈관 형성 및 세포자가사멸 등에 정 또는 부의 조절인자로서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번식생리 분야에서 이들 유전자들의 발현이나 기능에 관해 알려진 것은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쥐 난소에서 난포의 발달에 따른 Id3 mRNA의 발현 양상을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쥐에게 PMSG주사 후, 3, 6, 12, 24, 36 및 48시간째에 난소를 회수하여 고정, 탈수 및 파라핀 포매를 실시하였다. In situ hybridization 실험을 위하여 anti-sense와 sense Id3 cRNA 탐침자를 제작한 다음 난소 절편에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난소 절편은 NTB-2 유광제에 노출시킨 후 현상액에 반응시켰다. 모든 처리가 끝난 슬라이드는 H&E 염색을 실시한 다음 현미경하에서 hybridization 감도를 1+에서 4+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난자에서는 Id3 mRNA 감도가 원시와 제1차 난포에서 ${\geq}2+$으로 확인되었으나, 제2차, 우성 및 배란전 난포에서는 1+ 이하로 관찰되었다. 한편, 과립막세포에서는 우성과 배란 전 난포에서 Id3 mRNA가 3+ 또는 4+로 강하게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Id3 mRNA는 난포의 발단 단계 또는 난포세포에 따라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것으로 보아 난포의 발달과 밀접한 연관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생쥐 난소의 발생단계에 따른 Growth Differentiation Factor-9의 유전자 발현 (Expression of Growth Differentiation Factor-9 in the Mouse Ovaries at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 윤세진;이경아;고정재;차광열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3권1호
    • /
    • pp.95-100
    • /
    • 1999
  • Growth/differentiation factor-9 (GDF-9)은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TGF-$\beta$) superfamily의 member로서 난소의 난자에서만 특이적으로 발현되며 정상적인 난포발달에 있어 필수적인 성숙인자로 최근에 알려졌다. 본 연구는 RT-PCR을 통해 생쥐의 원시난포에서의 GDF-9 mRNA의 발현 여부와 함께 난포의 발달단계에 따른 상대적인 발현량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는 ICR 생쥐를 사용하여 질전 (vaginal plug)이 확인된 날을 1일로 하여 임신 19일의 태아와 태어난 날을 1일로 하여 생후 1일, 10일, 21일, 28일된 생쥐 난소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각 발달단계의 난소조직으로부터 total RNA를 추출하여 GDF-9 유전자 발현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이들을 $\beta$-actin에 대해 상대적인 정량분석을 하였다. GDF-9 유전자 발현은 아직은 성장을 시작하지 않은 임신 19일의 태아의 난소, 대부분이 원시난포로 이루어진 태어난 날의 생쥐 난소에서도 확인되었으며, 성장이 왕성하게 진행되고 있는 난포 즉, antrum 형성 이전의 growing follicles이 주를 이루는 생후 10일째의 난소에서 가장 높은 GDF-9 유전자 발현이 관찰되었다. 나머지 단계의 난소에서는 거의 비슷한 정도로 발현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생쥐의 원시난포에도 GDF-9 transcript가 존재한다는 것을 확실하게 증명하였으며, GDF-9이 생쥐의 초기 난포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

Electron Microscopic Grid를 이용한 초급속동결이 소 난포란의 발달능에 미치는 영향 - I. 소 미성숙난자의 동결에 관한 연구 (Developmental Capacity of Bovine Follicular Oocytes after Ultra-Rapid Freezing by Electron Microscope Grid - I. Cryopreservation of Bovine Immature Oocytes)

  • 김은영;김남형;이봉경;윤산현;박세필;정길생;임진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5권1호
    • /
    • pp.71-76
    • /
    • 1998
  • 본 연구는 소 미성숙난자를 electron microscope (EM) grid와 동해제인 EFS30을 이용하여 초급속 동결하였을 때 정상적인 배 발달의 유도가능성 여부를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동해제는 30% ethylene glycol, 18% ficoll, 0.5 M sucrose와 10% FBS 등이 PBS에 첨가되어 제작된 EFS30을 사용하였다. 난자 생존의 평가기준으로는 성숙, 수정 및 배발달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급속동결-융해 후, 소 미성숙란의 생존율은 43.2%을 나타내었다. 동결-융해군의 체외 성숙 (84.1%)과 정상 자웅전핵 형성율 (57.5%)은 대조군의 결과 (92.5, 65.0%)와 비교하여 볼 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동결군의 체외수정 이후의 $\geq2$-세포기 형성 (65.0%)과 배반포형성율 (30.8%)도 대조군(73.7, 35.7%)의 결과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소 미성숙난자는 EM grid와 EFS30 동결액을 이용한 초급속 동결방법에 의해 정상적인 배발달이 유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돼지 난소 Atrial Natriuretic Peptide 결합 부위의 자가방사법에 의한 검증 (Autoradiographic Localization of Atdal Natriuretic Peptide Binding Sites in the Pig Ovary)

  • 김성주;김선희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23-530
    • /
    • 1995
  • 돼지의 난소 조직내에 존재하는 심방이뇨 호르몬 수용체 분포를 알아 보기 위하여 자가방사법을 통해 125I로 표지한 rANP(1-28)의 특이적 결합 부위를 관찰하였다. 난소 조직 중 125I-rANP(1-28)의 강한 결합 부위는 난포의 과립막 세포층이었으며, 외난포막층에서도 125I-rANP(1-28)의 결합 부위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내난포막층을 포함한 난소내의 다른 조직과 특히 황체에서는 125I-rANP(1-28)의 결합 부위가 나타나지 않았다. 난포의 과립막 세포층과 외난포막층에서의 이러한 125I-rANP(1-28)의 결합은 다량의 rANP(1-28)에 의하여 완전히 전위되었지만, 펩티드 호르몬인 angiotensin II 및 arginine vasopressin에 의해서는 과량의 농도에서도 전위되지 않아 125I-rANP(1-28)의 결합이 특이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특이적 결하은 심방이뇨 호르몬의 생물학적 수용체 외에, 다른 기능을 담당하는 clearance 수용체의 특이적 ligand인 C-ANF에 의해서도 전이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돼지의 난소에 있어서 난포의 과립막 세포층 및 외난포막에 심방이뇨 호르몬의 생물학적 또는 coearance 수용체가 존재함을 보여주며, 이는 심방이뇨 호르몬의 수용체가 난자의 성숙에 관련된 난포의 발달과정에 관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참붕어 (Pseudorasbora parva)의 난자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ogeneis of False Dace (Pseudorasbora parva))

  • 김동희;이규재;김석;등영건
    • Applied Microscopy
    • /
    • 제37권2호
    • /
    • pp.65-72
    • /
    • 2007
  • 참붕어의 난자형성과정과 수정란 난막의 미세구조를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붕어에서 난원세포의 세포질은 호염기성이었고 핵막 내에 많은 인들이 분포하고 있었다. 제1난모세포의 경우 난황포가 단지 난세포 가장자리에만 배열되어 있었고 난막의 형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제2난모세포에서는 난막이 형성되었고 제1난모세포에 비해서 난황포가 점점 핵쪽으로 증식된 경향을 보였다. 발생이 진행됨에 따라서 호염기성 물질들은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후에 난막주위에만 국한적으로 분포하였으며, 난막의 두께와 난자의 크기는 점점 증가되었다. 또한 성숙란으로 발생이 진행되면서 난황포들은 난황괴로 변화되었다. 참붕어의 수정란은 타원형으로 부착성이었으며 동물극쪽에서 난문이 관찰되었다. 수정란의 난막은 모두 3층으로, 부착성인 외층, 전자밀도가 서로 다른 6층상구조를 가진 중층 및 전자밀도가 높은 내층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난막표면은 부착성 섬유상 구조물로 덮여 있었다. 이상과 같이 참붕어의 난자형성과정은 생식세포의 크기 증가, 난황의 형성과 축적 및 세포질의 호염기성물질 감소로 될 수 있으며 수정란 난막의 미세구조적 특징들은 경골어류의 계통분류학에서 분류형질도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Effect of Concentration and Exposure Duration of FBS on Parthenogenetic Development of Porcine Follicular Oocytes

  • Kim, Hyun-Jong;Cho, Sang-Rae;Choe, Chang-Yong;Choi, Sun-Ho;Son, Dong-Soo;Kim, Sung-Jae;Sang, Byung-Don;Han, Man-Hye;Ryu, Il-Sun;Kim, In-Cheul;Kim, Il-Hwa;Lee, Woon-Kyu;Im, Kyung-Soon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45-249
    • /
    • 2007
  • The aim of present experiment was to examine hatching rate as in vitro indicator of viability of porcine embryos before early stage embryo transfer such as zygotes or 2-cell stage embryos. Cumulus-oocyte complexes (COCs) collected from ovaries were matured in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23 (NCSU-23) containing 10% porcine follicular fluid (pFF), 10 ng/ml epidermal growth factor (EGF), $10{\mu}g/ml$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 $35{\mu}g/ml$ luteinizing hormone (LH), and 1mg/ml cysteine. After 24 hours, the COCs were transferred to the same medium without hormones. After 65h of maturation, oocytes were exposed to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with 7% ethanol (v/v) for 7 minutes, and then the oocytes were washed and cultured in tissue culture medium (TCM) 199 containing 5 ug/ml cytochalasin B for 5h at $38.5^{\circ}C$ in an atmosphere of 5% $CO_2$ and 95% air with high humidity. After cytochalasin B treatment, the presumptive parthenotes were cultured in porcine zygote medium (PZM)-5 and cleavage of the parthenotes was assessed at 72h of activation, Normally cleaved parthenotes were cultured for an additional 8 days to evaluate their ability to develop to blastocyst and hatching stages. The fetal bovine serum (FBS) were added at Day 4 or 5 with concentrations of 2.5, 5 or 10%. The blastocyst rates were ranged within $39.1{\sim}70%$ in each treatment. However hatching rate was dramatically decreased in non-addition group. In this experiment, embryo viability in female reproductive tract may be estimated before embryo transfer with in vitro culture adding FBS by hatching ability.

소 미성숙 난포란의 체외성숙시 ${\beta}-Mercaptoethanol$의 첨가가 체외성숙, 체외수정 및 Glutathione 수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eta}-Mercaptoethanol$ Supplement during In Vitro Maturation on IVM, IVF and Glutathione Level in Bovine Oocytes)

  • 오신애;김창근;정영채;방명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0권4호
    • /
    • pp.239-245
    • /
    • 2006
  • 본 연구는 소의 미성숙 난포란의 체외성숙시 ${\beta}-mercaptoethanol({\beta}-ME)$의 첨가가 체외성숙, 체외수정 후 웅성전핵의 형성 및 세포질 내의 GSH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체외성숙시 $25\;{\mu}M$$50\;{\mu}M$${\beta}-ME$를 첨가한 경우 대조구에 비하여 성숙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모든 실험구에 있어서 12시간 체외성숙보다 24시간 체외성숙에서 높은 성숙율을 나타냈다(p<0.05). 체외수정 후 웅성전핵 형성에 있어서는 $25\;{\mu}M$$50\;{\mu}M$ 농도의 ${\beta}-ME$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나(p<0.05), $25\;{\mu}M$$50\;{\mu}M$ 농도구와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GSH의 수준은 체외성숙 후 $50\;{\mu}M$${\beta}-ME$ 첨가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교하여 높게 나타났으며(p<0.05), 체외수정 후 웅성전핵이 형성된 다음 세포질 내 GSH 수준 역시 $50\;{\mu}M$${\beta}-ME$ 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p<0.05).

  • PDF

체외성장된 Preantral Follicle에서 유래된 생쥐난자의 체외성숙, 수정 및 발달 (In Vitro Maturation, Fer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Mouse Oocytes Derived from In Vitro Grown Preantyal Follicles)

  • Kim, D.H.;Lee, H.J.;K.S. Chung;Lee, H.T.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33-142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체외성장된 생쥐 preantral follicle 내에 존재하는 난자의 성숙율, 수정율, 배발달율을 조사하는 것이었으며, 그리고 이러한 결과들을 체내 성장된 난자와 비교하는 것이었다. Preantral follicle은 생후 12일령된 생쥐로부터 분리하였으며, 분리된 preantral fo11ic1e은 Transwell-COL membrane insert에서 배양을 실시하였다. 체외성장 및 성숙 후, 제 1극체를 방출한 metaphaseII 난자는 72.5%로서 체내성장된 난자의 70.5%에 비하여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난자직경은 체외성장군 (69.6$\pm$2.l$\mu$m)이 체외성장군(73.3$\pm$3.0$\mu$m)에 비하여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외수정율은 체외성장군 (76.5%)이 체내성장군(90.2%)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지만, 다정자 수정된 난자의 비율은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배반포까지의 배발달율은 체외성장군 (14.4%)이 체내성장군 (56.6%)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으며, 또한 배반포의 세포수에 있어서도 체외성장군 (39.0$\pm$10.8)이 체내성장군 (60.5$\pm$12.5)에 비하여 유의하게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외성장 및 성숙 유래의 2-세포기 수정란을 이식한 결과, 산자 생산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결과는 체외성장된 난자는 체내성장된 난자와 같은 발생능력을 갖지 못함을 보여주고 있다.

불볼락(Sebastes thompsoni)의 생식주기 (Reproductive Cycle of the Goldeye Rockfish, Sebastes thompsoni (Teleostei: Scorpaenidae))

  • 이정식;안철민;허성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16
    • /
    • 1998
  • 1995년 11월부터 1996년 10월까지 경남 삼천포 인근해역에서 채집된 불볼락의 성숙 및 생식주기를 주로 조직학적 방범에 의해 연구하였다. 난소내부는 난소외막으로부터 시작된 여러겹의 난소박판으로 구성되며 이곳에서 난원세포가 유래한다 난모세포는 성장하면서 난소박판 내부에서 부터 난소강쪽으로 돌출되어 난병에 의해 난소박판에 연결된다. 정소의 내부조직상은 다수의 정세관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정세관은 여러개의 소낭구조를 가지는데 각 소낭내의 생식세포들은 같은 단계의 발달상태를 보인다. 생물학적 최소형은 암컷은 전장 19.5cm, 수컷은 전장 21.5cm이다. 암컷의 생식소중량지수는 3월에 9.56으로 연중 최고치를 나타냈으며, 8월에는 0.15로 최저치를 나타냈다. 수컷의 생식소중량지수는 2월에 0.25로 최고치를 나타냈으며, 7월에는 0.04로 연중 최저치를 나타냈다. 생식주기는 암컷은 성장기 ($10\~11$월), 성숙기 ($12\~2$월), 임신기 (3월), 출산 및 회복기 ($4\~6$월) 그리고 휴지기 ($7\~9$월)로 나눌 수 있다. 수컷의 생식주기는 성장기 ($9\~11$월), 성숙기 ($12\~1$월), 완숙 및 교미기 ($2\~3$월) 그리고 퇴화 및 휴지기 ($4\~8$월)로 나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