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il extraction

검색결과 561건 처리시간 0.031초

미세조류 바이오연료 상용화를 위한 주요 인자 연구 (A Review on Major Factors for Microalgae Biofuel Commercialization)

  • 강도형;허수진;오철홍;주세종;전선미;최현우;노재훈;박세헌;김태영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4권4호
    • /
    • pp.365-384
    • /
    • 2012
  • Microalgae are photosynthetic microorganisms that are highly productive in the presence of basic renewable natural sources (light, $CO_2$, water and nutrients). They can synthesize lipids, carbohydrates and proteins in a small number of days. Subsequently, these carbon-captured products can be processed into both biofuels and valuable co-products. Additionally, microalgae would be an ideal feedstock for replacing land-based food crops with cellular products as high energy density transportation fuels. These microscopic organisms could contribute a significant amount of renewable energy on a global scale. In Korea, microalgae biofuel research was common in the early 1990s. The research activities were unfortunately stopped due to limited governmental funds and low petroleum prices. Interest in algal biofuels in Korea has been growing recently due to an increased concern over oil prices, energy security,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the potential for other biofuel feedstock to compete for limited agricultural resources. The high productivity of microalgae suggests that much of the Korean transportation fuel requirements can be met by biofuels at a production cost competitive with the increasing cost of petroleum seen in early 2008. At this time, the development of microlalgal biomass production technology remains in its infancy. This study reviewed microalgae culture systems and biomass production, harvesting, oil extraction, conversion, and technoeconomical bottlenecks. Many technical and economic barriers to using microalgal biofuels need to be overcome before mass production of microalgal-derived fuel substitutes is possible. However, serious efforts to overcome these barriers could become a large-scale commercial reality. Overall, this study provides a brief overview of the past few decades of global microalgal research.

백리향(百里香)과 섬백리향(百里香)의 정유성분(精油成分) 조성(組成) (Essential Oils of Thymus quinquecostatus Celakov. and Thymus magnus Nakai)

  • 김영회;이종철;최영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234-240
    • /
    • 1994
  • 우리나라에서 자생(自生)하고 있는 백리향(百里香)과 섬백리향(百里香)의 정유성분(精油成分)을 분석(分析) 비교(比較)코저 SDE방법(方法)에 의해 정유(精油)를 분리(分離)한 다음 GC-MS 및 GC에서 표준품(標準品)과의 머무름 시간(時間) 비교(比較)에 의해 성분(成分)을 확인(確認)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백리향(百里香)의 정유함량(精油含量)은 건물중앙(乾物重量)으로 1.94% 이었고, 섬백리향(百里香)의 경우 배엽부위(輩葉部位)에서는 1.91%인데 비하여 꽃에서는 0.68%이었다. 2. 3종류(種類)의 시료(試料)에서 38종(種)의 성분(成分)이 확인(確認)되었는데 그중 백리향(百里香)에서 분리(分離)한 정유(精油)에서는 thymol(39.8%), ${\gamma}-terpinene(10.0%)$, ${\rho}cymene(9.2%)$, camphor(5.9%), ${\alpha}-terpinene+borneol(4.5%)$ 및 bornyl acetate(4.0)가 주성분(主成分)이었고, 섬백리향(百里香)에서는 thymol(54.7%), ${\gamma}-terpinene(15.8%)$, ${\rho}cymene(6.7%)$ 및 carvacrol (3.2%)등이 주성분(主成分)이 었다. 3. 백리향(百里香)과 섬백리향(百里香)을 비교(比較)했을때 ${\alpha}-pinene,\;camphene,\;camphor,\;bornyl\;acetate$${\alpha}-terpineol+borneol$ 등(等)은 백리향(百里善)에 서 많이 검출(檢出)된 반면 ${\gamma}-terpinene$, thymol은 섬백리향(百里香)에서 많이 검출(檢出)되었으며, 섬백리향(百里香)을 부위별(部位別)로 비교(比較)했을 때 thymol, ${\gamma}-terpinene$은 잎에서 많이 검출(檢出)되었으나 f-cymene은 잎보다는 꽃에서 특징적(特徵的) 으로 많이 검출(檢出)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 PDF

Bacillus sp.에 의한 생물계면활성제의 생산 및 그의 성질 (Optimization of Production Conditions of Biosurfactant from Bacillus sp. and its Purification)

  • 김진숙;송희상;정남현;방원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2호
    • /
    • pp.109-114
    • /
    • 2005
  • 토양 시료로부터 n-hexadecane 대사능을 가지며 배양액의 표면장력을 감소시키고, 탄화수소를 가장 잘 유화시키는 세균을 oil-film collapsing 방법을 통해 선별하였다. 세균은 Bacillus sp.로 부분동정되었으며, BJS-51로 명명하였다. 생물계면활성제의 최적 생산에는 n-hexadecane이 가장 효과적인 탄소원이었으며, 3%의 농도일 때 표면장력이 76 dyne/cm에서 31 dyne/cm로 감소하였다. 이 때, CMD(critical micelle dilution)가 5.7로 가장 높았다. 질소원으로는 $(NH_4)_2HPO_4$가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C/N ratio가 60인 경우 표면장력이 29 dyne/cm, CMD가 9.2로 가장 활성이 좋았다. 생산 최적 pH는 7.2였으며, 최적 온도는 $30^{\circ}C$였다. Bacillus sp. BJS-51에 의해 생산된 생물계면활성제를 유기용매추출법과 preparative HPLC systems을 통해 추출, 정제하였다. 각종 발색 시약으로 정제된 생물계면활성제의 생화학적 성질을 조사한 결과, 지질다당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생산된 생물계면활성제의 표면장력은 27 dyne/cm까지 감소하였으며, CMC(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는 0.08 g/l였다. 상기의 최적조건에서 생물계면활성제의 생산량은 CMD값이 9.2이었으므로 약 0.74 g/l이었다. 생산된 생물계면활성제는 $pH\;2{\sim}12$ 사이에서 표면장력 $29{\sim}31\;dyne/cm$로 안정하였으며, $100^{\circ}C$에서 60분간 열을 가한 후에도 표면장력 $29{\sim}30\;dyne/cm$로 안정하였다.

사료내 감태 및 감태로부터 추출한 crude lectin의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 및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 김성권;유선종;안병기;박근규;이훈택;송창선;허억;강창원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4년도 제21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23-25
    • /
    • 2004
  • 본 실험은 감태와 crude lectin의 사료내 첨가가육계의 생산성 및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1일령 Ross 수평아리 총234수를 공시하여 대조구(-), 대조구(+), 감태 1.0%, crude lectin 0.05 %, 0.1 %, 및 0.3 %로 6처리 3반복, 반복당 13수씩을 총 38일간 실험사료를 급여하였고, ND-IB 혼합 사독백신은 4일령에 피하접종하였다. 사료요구율에 있어서는 crude lectin 0.3 %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5). ND-IB 사독 혼합백신 접종 3주 후에는 감태와 crude lectin의 첨가구의 ND와 IB 백신 역가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상승하는 경향이나 상승효과가 있었다(P<0.05). 폐사율에 있어서 crude lectin 첨가구들은 살모넬라를 감염시킨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닭에서 IFN-v, IL-2, 및 IL-6의 mRNA는 살모넬라 감염에 의해 높게 발현되었고, 감태와 crude lectin은 IFN-v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감태 1.0 %와 crude lectin 0.05 % 첨가구는 IL-2와 IL-6의 mRNA 농도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경향이나 유의하게 높았다(p<0.05).

  • PDF

추출 방법에 따른 삼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평가 (Antioxidant Activities of Cryptomeria japonica Leaves Extracts by Extraction Methods)

  • 김선홍;이수연;조성민;홍창영;박세영;박미진;최인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495-510
    • /
    • 2017
  • 본 연구는 삼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여 잠재적인 천연 항산화제로의 적용 가능성 구명에 관한 연구이다. 삼나무 잎 추출물은 세 가지 추출방법에 의해 정유, 메탄올 추출물, 열수 추출물로 획득하여 항산화 활성을 평가 하였고, 대조구와 비교하여 DPPH radical 소거활성, FRAP 활성, zanthin oxidase 저해활성, 철이온 chelate 활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메탄올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정유의 항산화 활성보다 우수했다. 정유가 함유하고 있는 테르펜 화합물은 항산화 활성이 비교적 낮은 성분으로 사료된다. 활성이 우수했던 메탄올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은 다양한 유기용매(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methanol, ethanol, acetone)와 물을 사용하여 분획을 실시하였고, 메탄올 추출물의 acetone 및 물 분획물, 그리고 열수 추출물의 에탄올 분획물이 천연 항산화 성분으로 알려진 ${\alpha}$-tocopherol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거나, 보다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수산기 및 당류를 가지는 성분을 함유하고 높은 페놀성 화합물 함량을 나타냈기 때문에 삼나무 잎 추출물은 수산기 및 당류를 가지는 페놀성 화합물에 의해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라 판단되었다.

황칠나무 추출물의 고지혈증 완화 효과 스크리닝 (Screening test for Dendropanax morbifera Leveille extracts: in vitro comparison to ox-LDL-induced lipid accumulation, ethanol-induced fatty liver and HMG-CoA reductase inhibition)

  • 윤지선;김민서;나혜진;정해림;송창길;강소영;김지연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1호
    • /
    • pp.1-8
    • /
    • 2018
  • 이 연구는 고지혈증에 대한 생리 반응의 조절과 관련하여 Dendropanax morbifera 잎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추출물은 표본 연령, 수확시기, 추출 방법에 따라 달랐다. 이 추출물이 처리된 RAW 264.7 세포는 산화 저밀도 지단백질에 의해 자극되었고, 세포 지질 축적은 Oil Red O (ORO) 염색법을 사용하여 정량화되었다. HepG2 세포에서 에탄올을 사용하여 독성을 유도한 다음, 상기와 같이 지질 축적을 정량화하였다. 추출물의 3-hydroxy-3-methylglutaryl coenzyme A (HMG-CoA) reductase 억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RAW 264.7 세포에서 가장 지질 축적을 억제한 시료는 8년생 11월 채취 주정 60% 추출물로 처리된 세포에서 관찰되었다. 에탄올로 유도한 HepG2 세포에서 가장 큰 보호효과를 나타낸 시료는 5년생 5월 채취 주정 30% 추출물이었다. 가장 강력한 HMG-CoA reductase 억제 작용을 한 시료는 8년생 5월 채취 열수 100% 추출물이다. 전체적으로 봤을 때 지질 축적 억제는 주정 추출물에서, 콜레스테롤 합성 효소 저해 효과는 열수추출물에서 좋은 효과를 보여 이들 원료를 기반으로 지질 대사 개선 기능성 원료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약물이 담지된 PAc-β-CD 나노 입자의 친환경적인 제조 (A Green Preparation of Drug Loaded PAc-β-CD Nanoparticles from Supercritical Fluid)

  • 장민기;김용훈;김동우;이시윤;임권택
    • 청정기술
    • /
    • 제26권1호
    • /
    • pp.1-6
    • /
    • 2020
  • 초임계 용액 급속팽창법(rapid expansion of supercritical solution, RESS)으로 몰시도민(molsidomine, MOL) 약물이 로딩 된 퍼아세틸-β-사이클로덱스트린(PAc-β-CD) 나노 입자를 제조하였다. 입자는 초임계 용액을 공기 중으로 급속하게 팽창시켜 제조하였다. MOL과 PAc-β-CD (0.5, 1 wt%)의 농도, 추출 온도(45 ~ 60 ℃), 모세관 노즐의 길이(5 ~ 20 mm) 및 내경(Inner diameter, ID) (50 ~ 150 μm), 그리고 분사 거리의 변화에 따라 형성된 입자의 크기와 모폴로지를 조사하였다. MOL과 PAc-β-CD의 상호작용을 1H-NMR 분광법으로 확인하였고, 입자 크기는 주사 전자 현미경으로 측정하였다. 온도를 45 ℃에서 60 ℃로 올리거나 노즐 내경을 150 μm에서 50 μm로 줄이면 입자 평균 크기가 증가하였으며, 반면에 일정한 압력(34.5 MPa)과 온도(45 ℃)에서 분사 거리를 늘리면 입자 평균 크기가 감소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0.5 wt%의 PAc-β-CD 농도로서 초임계 공정을 진행한 결과, 모세관의 길이가 짧고(5 mm) 내경이 작은(50 μm) 조건에서 크기가 가장 작은(165 nm) 입자가 얻어졌다. 제조한 나노 입자는 오일 내에서 분산성과 용해도가 증가하였으며, 포접체 입자에서 MOL이 방출되는 시간이 지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늘 열수추출물의 CCl4 유발된 간 손상 랫드에서 기능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Allium sativum L. extract on hepatic function in rats with CCl4-induced (hepatic) injury)

  • 이태종;민경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936-1942
    • /
    • 2010
  • 본 논문은 기능식품의 과용에 따른 간질환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마늘열수추출물의 용량을 달리하여, 사염화탄소에 의한 랫드의 간 손상을 유발하여 기능학적검사를 통해 간장에 미치는 용량의 중요성을 알아보았다. 실험동물은 Sprague-Dawley 종 웅성 랫드로 하여 정상군, 대조군, 양성대조군, 실험군 E1, E2, E3 군으로 나누어 각 군당 7마리씩 총 42마리를 이용하였고, 실험동물은 체중 당 사염화탄소 $0.5\;m{\ell}$ (0.20 g/kg/day)를 olive oil에 동량 희석하여 1일 1회 격일 간격으로 총 5회 복강 내 투여하여 간 손상 유발한 후 국내에서 유기농 재배한 마늘을 열수 추출하여 각 실험군에 체중 당 0.35 g/kg(E1), 0.70 g/kg(E2), 1.40 g/kg(E3)를 일일 1회, 주 5일, 4주간 위존데를 사용하여 투여하였다. 실험의 결과로 마늘추출물의 투여가 생리적 기능 활성에 긍정적인 작용을 하여 간장에서 산화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독성 증감작용 및 기능학적 변화를 확인하였고, 용량에 따른 실험군(E1, E2, E3) 간의 비교에서 고농도 투여군(E3)에서는 마늘독성의 영향 때문에 E1, E2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덜 보였다.

석유계 피치를 사용한 리튬전지 음극소재의 전기화학적 특성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Lithium Battery Anode Materials Using Petroleum Pitches)

  • 황진웅;이종대
    • 공업화학
    • /
    • 제28권5호
    • /
    • pp.534-53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PFO (pyrolyzed fuel oil)의 개질을 통해 탄소전구체(피치)를 제조한 후, 유기용매를 통한 분자량 조절을 하고 탄화하여 음극소재를 제조하였다. 리튬이차전지 음극소재의 전기화학적 특성은 석유계 피치를 사용하여 조사되었다. 사용된 세 종류의 피치는 3903, 4001, 4002이며, 각 PFO를 $390^{\circ}C$ 3 h, $400^{\circ}C$ 1 h, $400^{\circ}C$ 2 h 열처리 하여 제조하였다. 제조된 헥산 불용성 피치의 물리적 특성은 XRD, TGA, GPC, SEM으로 분석되었다. 음극소재로서의 피치의 전기화학적 특성은 충 방전, 순환전압전류, 임피던스, 속도 테스트를 통해 조사되었다. 4001 피치를 통하여 제조된 음극소재와 $LiPF_6$ (EC : DMC = 1 : 1 vol%, VC 3 wt%)를 사용하여 제조한 반쪽 전지는 향상된 초기용량(310 mAh/g)을 보였으며, 초기 효율(82%), 2 C/0.1 C 속도특성(90%), 용량 유지율 85%의 특성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제조된 피치는 사이클 특성과 속도특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루우핀콩 단백질 농축물(LPC)의 식품기능성 (Functional Properties of Lupinseed Protein Concentrate)

  • 김영욱;이철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499-505
    • /
    • 1987
  • 루우핀콩 단백질 농축물(LPC-50, LPC-70)을 제조하여 이들의 식품기능성들을 분리대두단백질 및 카제인 과 비교 검토하였다. LPC-50은 2상용매 추출법에 의해 제조한 단백질 함량 50% 수준의 유백색 물질이며 LPC-70은 LPC-50의 탄수화물 일부를 가수분해 효소로 처리해서 제거하여 단백질 농도를 70% 수준으로 높인 것이다. LPC-50의 건물 수율은 73.7%였으며 LPC-70은 55.7%였다. 또한 단백질 수율면에서는 LPC-50이 91% 였고 LPC-70이 87.4%였다. LPC-50과 LPC-70의 단백질 용해도는 증류수에서는 SPI와 비슷한 경향이 보였으나, NaCl 첨가시 pH $4.0{\sim}6.0$ 범위에서는 SPI보다 높았다. LPC-50과 LPC-70의 흐름성질은 8% 농도에서 강한 의가소성을 보였으며. 겉보기 점도는 6%부터 지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그 증가 패턴은 카제인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유화력은 단백질 농도가 증가할수록 커졌으며, LPC-70은 우수한 유화력을 나타내었고 특히 NaCl 첨가시 SPI와 비슷한 유화력을 나타내었다. LPC-50과 LPC-70의 기포 형성력은 SPI의 기포 형성력과 비슷하였으나, 안정성이 pH 7.0에서 비교적 낮은 결과를 보였다. 루우핀콩 단백질 농축물들은 우수한 수분 및 유지 흡착력을 나타냈으며, 특히 LPC-70은 매우 높은 유지 흡착력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