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ean Research Station

검색결과 440건 처리시간 0.025초

서천화력발전소 매립 석탄재로부터 제조한 다양한 조성비의 지오폴리머와 그 특성의 평가 (Developing and Assessing Geopolymers from Seochun Pond Ash with a Range of Compositional Ratios)

  • 이수정;주형태;전철민;강남희;조성백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34-141
    • /
    • 2013
  • Pond ash produced from Seochun Power Station was quantitatively characterized to manufacture geopolymers with a range of Si/Al compositional ratios. Mix consistency was kept nearly constant for comparing the compressive strengths of geopolymers. The amorphous composition of coal ash was determined using XRF and quantitative X-ray diffraction. Different mix compositions were used in order to achieve Si/Al ratios of 2.0, 2.5 and 3.0 in the geopolymer binder. Geopolymers synthesized from coal ash with a Si/Al ratio of 3.0 exhibited the highest compressive strength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geopolymers activated with aluminate produced different microstructure from that of geopolymers activated with silicate. High silica in alkali activators produced the fine-grained microstructure of geopolymer gel. It was also found that high compressive strength was related to low porosity and a dense, connected microstructure. The outcome of the reported experiment indicates that quantitative formulation method made it possible to choose suitable activators for achieving targeted compositions of geopolymers and to avoid efflorescence.

통해기 위성통신시스템의 운용계획 (Operation Plans of the Satellite Communications System for COMS)

  • 최경수;신천식;이성팔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권2호
    • /
    • pp.71-75
    • /
    • 2006
  • 본 논문은 통신해양기상위성(이하 통해기위성) 위성통신시스템(Ka 대역 통신탑재체 시스템, 정지궤도 위성관제 시스템 및 위성시험지구국으로 구성)의 운용계획에 대해 기술한 논문이다. 위성통신시스템(SATCOM)을 구성하는 Ka 대역 통신탑재체, 시험지구국 및위성관제국 각각의 임무계획 및 제공서비스 종류를 기술하며, 각 시스템간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도 기술한다. 특히 위성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서브시스템에 대한 운용상의 항목 및 기능을 도출하고, 그리고 운용계획을 기술하였다. 또한 통해기위성 통신잡재체를 감시 및 제어하고, 통신서비스망을 감시하기 위한 PCS(Payload Control System)의 기능정의, 구성도 및 운용계획을 제시하였다.

  • PDF

위도 검조자료를 이용한 최저-최고 천문조위 추정 오차 분석 (Analysis on the Estimation Error of the Lowest and Highest Astronomical Tides using the Wido Tidal Elevation Data)

  • 정신택;윤종태;조홍연;고동휘;강금석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2호
    • /
    • pp.101-108
    • /
    • 2016
  • 해상풍력 발전시설은 국제적인 설계기준조위로 최고천문조위(highest astronomical tide, HAT)와 최저천문조위(lowest astronomical tide, LAT) 기준을 요구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설계기준조위로 약최고고조위(AHHW)와 약최저저조위(ALLW) 기준을 사용하여 왔기 때문에 국제적인 설계기준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해상풍력 발전시설 후보 해역인 위도에서의 HAT, LAT 추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위도에서 가용한 31년 조위자료를 이용하여 HAT, LAT 기준조위를 추정하였으며, 추정에 사용한 자료의 신뢰수준을 검토하기 위하여 장기 태음분조에 해당하는 18.61년 주기의 Nodal 변동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Nodal 보정을 고려하지 않은 연간 $M_2$, $O_1$, $K_1$ 분조의 진폭변화는 뚜렷한 18.61년 주기를 보여 조화분석 결과가 적절하게 추정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조위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한 HAT, LAT 신뢰구간의 상한 및 하한으로 최종 추정한 HAT, LAT 조위는 AHHW, ALLW 기준조위에 비하여 각각 +40 cm, -35 cm 정도로 파악되었다.

2004년 10월 및 11월에 관측된 가막만의 물리환경 (Som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Gamak Bay observed in October and November of year 2004)

  • 이문옥;김병국;박성진;김종규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65-173
    • /
    • 2005
  • 우리 나라 4대 굴양식 어장 중의 하나인 가막만의 물리환경을 조사하기 위해 2004년 10월부터 11월까지 약 1개월간 조석, 조류 및 수온을 연속관측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조석은 가막만의 북동 수로와 남쪽 만구를 통해 거의 동시에 같은 크기로 유출입하지만, 북서 내만역은 진폭과 위상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만내에 존재하는 3개의 수괴를 구분 짓는 전선 부근에서 측정한 수온의 시계열은 북서 내만역을 제외하고는 조석에 따라 만조시에는 상승하고 간조시에는 하강하는 매우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특히 만의 동쪽 평사리 부근에서의 수온은 기온에 의해 강한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이 등 [1990]의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확인하였다. 일반적으로 정체수역으로 알려진 만의 북서 쪽에서는 바람에 의한 영향으로 저층 부근에서 표층 흐름에 역류하는 상당한 크기의 유속을 가진 흐름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본 조사기간 동안 측정된 조류의 누적평균 이동 방향과 그 크기는 대체로 이 등 [2004]에 의한 2차원 유동계산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그러나, 만의 북서쪽에서의 흐름은 다소 과대평가되었는데, 이것은 관측 기간동안 북서풍이 탁월하게 불었고 또한 이 등 [2004]에 의한 계산결과가 대조기만을 대상으로 한 흐름 패턴이었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 PDF

연직풍에 따른 해양성 에어러솔 수 농도 변동에 관한 연구 (The Fluctuation of Marine Aerosol Number Concentrations Related with Vertical Winds)

  • 박성화;장상민;정운선;정종훈;이동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59-268
    • /
    • 2012
  • 해양에서 발달하는 강수시스템의 연직풍에 따라 변동하는 해양성 에어러솔의 입경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마라도에서 남서쪽으로 419 km 지점에 위치한 이어도 해양종합과학기지에서 2009년 6월 8일부터 22일까지 에어러솔수 농도와 연직풍 관측을 실시하였다. 에어러솔 수 농도와 연직풍은 레이저입자계수기와 초음파 3차원 풍향 풍속계를 이용하였으며, 지상일기도, NCEP/NCAR 재분석자료, 라디오존데 자료를 이용하여 종관상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1.0 ${\mu}m$ 이상의 크기의 에어러솔 수 농도 분포가 강수 중에 크게 변동하였으며, 하강류에서 상승류로 연직풍이 변함에 따라 크게 증가하였다. 강수 중에는 큰 입자(1.0 ${\mu}m$ 이상)의 에어러솔 수 농도가 약 5배 증가하였고, 이때 상승류가 약 0.4 $ms^{-1}$로 나타났다. 또한 축적모드(1.0 ${\mu}m$ 미만)와 큰 입자(1.0 ${\mu}m$ 이상)의 에어러솔 수 농도는 강수 중과 비교하여 약 45%와 92%가 제거되었다. 이는 독립된 해양지역에서의 큰 입자(1.0 ${\mu}m$ 이상) 에어러솔 수 농도 증가는 수평풍 보다는 상승류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고, 강수에 의한 세정효과도 나타났다. 따라서 해양경계층 내 에어러솔의 생성 및 발달 메커니즘에 상승류의 영향이 크게 기인함을 알 수 있었다.

정사항공사진과 해양조사측량을 이용한 해안선변화 탐지에 관한 연구: 포락지 중심으로 (The Study of Coastal Change Detection Ortho Aerial Photo and Hydrographic Survey: Parcels Submerged)

  • 최철웅;김연수;서용철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61-69
    • /
    • 2005
  • 연안지역에서 주로 발생되는 해안의 침식 및 퇴적현상은 하구폐쇄, 하구사주, 연안사주의 발달 및 해안선변형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최근 연안 개발로 인하여 이러한 변형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해안의 변화는 장기간 서서히 진행되므로 원인규명 및 대책제시에 관한 오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간에 진행된 지형변화량을 분석하기 위해서 194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10년 주기로 정사항공사진을 제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확한 해안선 변화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기준점 및 GCP(Ground Control Point)를 실측하여 정사항공사진을 제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임야도와 지적도를 사용하여 조위를 고려하지 않았을 경우의 해안선 변화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검조소의 조위자료를 이용하여 항공촬영 시점의 조위를 계산 보정하고 지형 측량과 수심측량을 병행하여 조위를 고려한 지형 변화량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정사항공사진을 이용하여 해안의 침식이적 경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할 경우. 조위를 고려한 정사항공사진 분석기법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장기간 지형자료가 미흡한 지역은 정사항공사진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연안통합관리시스템의 정보 제공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수상기준점을 활용한 드론 사진측량의 정확도 평가 (Evaluate the Accuracy of Drone Photogrammetry Surveying Using Water Reference Points)

  • 김병우;홍순헌;오재현;황대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2호
    • /
    • pp.445-449
    • /
    • 2017
  • 현재까지의 드론을 이용한 대부분의 연구는 지상에서의 활용 및 규제에 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 졌다. 비행시간과 영상정합의 한계로 해양에서의 드론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본 연구는 수상에서 드론을 이용한 영상정합을 위한 기초 연구로 부표를 이용한 임의의 수상기준점을 통해 영상을 정합하고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수상기준점을 이용한 영상정합의 정확도는 항공사진측량과 동일하게 기준점의 정확도에 영향을 받으며, 수상에 설치된 임의의 수상기준점은 풍속, 유속 등 다양한 환경요소의 영향으로 위치가 계속 변화한다. 움직이는 수상기준점의 좌표는 Total Station과 VRS를 이용해 중복 측량하였다. 실험은 김해시 저수지 2곳에서 수행하였으며, 수상기준점을 활용한 수동영상정합 정확도는 각각 40 cm와 80 cm 이다. 해양경계측량의 허용오차가 ${\pm}2m$ 이므로 본 연구 결과는 충분히 활용 가능한 것으로 평가된다. ${\pm}2m$ 이내의 정확도를 확보하기 위한 수상기준점의 최대 위치오차는 1.8 m 이다.

삼천포 화력발전소 방류수로 및 방류해역의 흐름 관측 및 특성분석 (Flow Measurement and Characteristic Analysis in the Effluent Regions of the Samcheonpo Thermal Power Plant(TPP))

  • 조홍연;정신택;강금석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29-337
    • /
    • 2006
  • 삼천포 화력발전소에서 냉각수로 이용되고 방류되는 해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소가 삼천포 해역에 건설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수력 발전소가 건설되는 지점, 즉 방류수로 및 방류해역의 흐름을 관측하고 흐름특성을 분석하였다. 방류수로의 흐름은 냉각수 방류량에 의한 영향이 지배적이며, 공간적으로는 냉각수가 합류되는 Weir 상류구간, 합류된 냉각수가 방류수로를 통하여 배출되는 Weir 하류구간, 방류해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Weir 상류 지점은 측면에서 유입되는 냉각수로 인하여 유량이 점차 증가하나, 수로의 폭이 증가하기 때문에 수위 변화가 미미한 지역이며, Weir 하류지점은 월류된 냉각수가 사류(super-critical flow)구간을 거쳐서 수리학적 도약으로 인한 강한 연직방향의 요동을 보이며 방류해역으로 이동하는 구간이다. 한편, 방류수에 의한 영향으로 외해방향으로의 해수흐름이 형성되나 유속은 조위의 승강운동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방류해역의 조위는 통영 검조소에 비하여 평균조차는 약 10%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파랑전파에 의한 영향은 미미한 정도로 파악되었다.

통영 바다목장 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군집에 미치는 환경요인의 영향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e Marine Ranching Ground of Tongyeong Coastal Waters, Korea)

  • 이진환;정승원;김종만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7권1호
    • /
    • pp.15-24
    • /
    • 2005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ructures and 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each physicochemical environmental factor, species composition, standing crop, and dominant species were examined in the marine ranching ground of Tongyeong coastal waters from April to October, 2000. During the studies, mean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18.8^{\circ}C$ and 33.1 psu, respectively. DO, SS and transparency varied from 5.43 to 11.39 mg/l, 14.6 to 32.4mg/l and 3.5 to 9.0m, respectively. Light intensities varied from 0.02 to $966{\mu}E/m^2/s$, which decreased with depth. $NH_4-N,\;NO_3-N,\;NO_2-N,\;PO_4-P,\;and\;SiO_2-Si$ were fluctuated from 0.059 to 0.332 mg/l, 0.040 to 0.800 mg/l, 0.001 to 0.468 mg/l, 2.3 to $143.0{\mu}g/l$, and 0.007 to 0.600 mg/l, respectively. chlorophyll a concentrations were fluctuated from 0.7 to $8.9{\mu}g/l$. Among 130 taxa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observed. diatoms occupied more than 81.54% of the total species, and the others were dinoflagellates and silicoflagellates.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ranged from $4.6{\times}10^4\;to\;2.6{\times}10^6cells/l$. In October, the standing crops were at bloom level showing more than $10^6cells/lat$ all stations. Dominant species changed by month and station. Leptocylindrus danicus occupied 59.84% in April and 22.03% in June. Pseudo-nitzschia pungens in August and Chaetoceros socialis and Skeletonema costatum in October were predominant species. In order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the total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tanding crops of diatoms, dinoflagellates, all phytoplanktons occurred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calculated us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for total standing crops was 0.63 which explained 63% of variance and that of $R^2$ for diatom was 0.82. In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the size of the communities were predominantly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silicate.

잠재적 위해종인 야광충의 항만 분포 특성과 수용능력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and Carrying Capacity of the Potentially Risky Species Noctiluca scintillans at International Korean Seaports)

  • 강정훈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2권4호
    • /
    • pp.449-462
    • /
    • 2010
  • Ongoing port baseline surveys are essential for developing ballast water management procedures in order to control unwanted or potentially risky species. Seasonal distributional patterns of marine dinoflagellate Noctiluca scintillans internationally recognized as harmful species and the related environmental factors were surveyed at Incheon, Gwangyang and Ulsan seaports in Korea from 2007 to 2009. The above three seaports were chosen because of their status as the busiest in Korea and characterized by their different bioregions. Average temperature ranged from $2.08^{\circ}C$ in winter to $26.39^{\circ}C$ in summer at Incheon, $7.22^{\circ}C$ in winter to $25.77^{\circ}C$ in summer at Gwangyang, and $11.59^{\circ}C$ in winter to $21.67^{\circ}C$ in summer at Ulsan during the study period. Average salinity varied from 26.88 in winter to 31.25 in summer at Incheon, 22.83 in winter to 33.41 in summer at Gwangyang, and 30.04 in winter to 33.90 in summer at Ulsan. Noctiluca scintillans appeared consistently at all ports during the study period, indicating its eurythermal and euryhaline nature. The highest abundances (21,813 to 41,753 $inds{\cdot}m^{-3}$) of N. scintillans were observed in May 2008 and 2009 at the outer stations of Incheon port. Abundances of between 10,000 and 30,000 $inds{\cdot}m^{-3}$ were only observed at the innermost station of Ulsan in May, while abundances of between 10,000 and 40,000 $inds{\cdot}m^{-3}$ were frequently observed throughout all stations at Gwangyang during the study period, coinciding with consistently high concentration of chlorophyll-a (hereafter chl-a) ($4.32-8.24\;{\mu}g\;l^{-1}$) compared to other ports. Spatio-temporal variation of chl-a concentration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bundances of N. scintillans (p>0.01). However, relatively high chl-a concentrations were consistently recorded along with high abundances of N. scintillans throughout all stations at Gwangyang compared to other ports. Abundances of N. scintillans observed at the three surveyed ports did not significantly (p>0.01) affect the concentration of dissolved oxygen in the surface mixed layer, indicating that the species abundances were not enough to cause reduction of dissolved oxygen during the study period. Presented results indicated that the Gwangyang seaport may provide the most suitable environment for a wide range of N. scintillans blooming compared to other po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