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clusal Stress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3초

완전 도재관을 위한 지대치 형성시 변연 형태에 따른 응력 분포의 유한요소법적 비교 (FEA estimates of margin design in all ceramic crowns)

  • 한상현;조정현;이은정;정숙인;오남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11
    • /
    • 2008
  • 현대 치의학에서는 환자의 심미적 만족을 충족시키기 위한 지속적인 관심으로 완전 도재관의 발전을 가져왔다. 최근의 연구 결과들은 완전 도재관의 물리적 성질과 마모 저항성, 색조의 안정성 등을 보고하고 있다. 이와 같이 여러 장점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파절에 대한 저항성에는 많은 의문점을 내포하고 있다. 구강 내에서 기능적인 교합력은 수복물의 변연에 응력을 주게된다. 이러한 응력은 주변 조직으로 잘 분산되어져야 하는데, 수복물의 변연 형태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여주게 된다. 변연 형태는 수복물의 부피와 모양, 그리고 변연에서의 적합도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완전 도재관에서의 변연 형태에 따른 응력 분포를 3차원 유한 요소 분석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상악 중절치가 기본 모델로 사용되었고, 완전 도재관을 재현하였다. 변연 형태로는 $90^{\circ}$ shoulder, $110^{\circ}$ shoulder, $135^{\circ}$ shoulder형태를 부여하고, 100N의 힘을 치축에 $45^{\circ}$ 방향으로 가하였다. 그 결과 도재 내부의 응력 분포는 $90^{\circ}$, $110^{\circ}$ 모델에 비해 변연 각도가 $135^{\circ}$인 모델의 경우가 응력의 분포가 고르게 나타났다. 그러나 변연에서는 $90^{\circ}$$110^{\circ}$ 모델의 응력보다 조금 더 집중되었다. $90^{\circ}$$110^{\circ}$ 모델의 비교시는 대체로 비슷했다. 알루미나 코아 내부의 응력 분포에서도 또한 $135^{\circ}$인 모델이 $90^{\circ}$$110^{\circ}$ 모델의 응력분포보다 더 잘 분포되었다. $90^{\circ}$$110^{\circ}$ 모델의 비교시는 $110^{\circ}$$90^{\circ}$ 모델에 비해 더 좋은 응력분포를 보였다. 알루미나 코아와 접착제 사이의 계면에서는 응력이 변연으로 갈수록 감소하고, 알루미나 코아와 도재 사이의 계면에서는 변연으로 갈수록 응력이 점차 증가하였다. $135^{\circ}$ shoulder는 고른 응력분포임에도 변연에서의 응력 집중이 나타나므로 완전 도재관의 변연으로는 적절하지 못하며, $90^{\circ}$ shoulder보다 상대적으로 좋은 응력분포와 변연 형성의 용이성이 우세한 $110^{\circ}$ shoulder가 완전 도재관의 변연에 추천될 수 있겠다.

균열치 증후군에 대한 문헌고찰 (A Literature Review on Cracked Teeth)

  • 조웅래;김대곤;박찬진;조리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7권3호
    • /
    • pp.305-316
    • /
    • 2011
  • 균열치는 저작운동과 온도자극에 대한 치아의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자주 발견되는 질환으로 균열의 진행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가장 흔한 원인으로는 저작과정 중의 갑작스러운 사고로 알려져 있지만 대부분 증령, 기존 수복물 또는 의원성 응력집중과 같은 기여요인이 있을 때 발생한다. 균열의 진행정도 및 치수침범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필수적이며 저작시 통증을 확인한 후 균열을 가급적 눈으로 확인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투과광이나 염색과 같은 보조적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치료는 즉각적인 통증완화를 위한 교합조정이나 파절편 고정이 필요하며 치수의 상태에 따라 근관치료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수도 있다. 궁극적인 치료로는 복합레진이나 접착 아말감으로 균열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킨 후 주조수복물을 이용한 교두보호가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균열치에 대한 다양한 원인, 치료, 예후 등에 관한 문헌을 고찰할 것이다.

수종의 상아질 접착제와 복합레진의 적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ATIBILITY OF DENTIN ADHESIVES WITH COMPOSITE RESINS)

  • 박진성;권혁춘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0권1호
    • /
    • pp.214-234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work was to study the compatibility of several commercially available dentin adhesives with composite resins. In this study, V-shaped cavity preparations were created on both buccal and lingual surfaces of 60 extracted human premolars($3mm{\times}3mm{\times}2mm$ deep). Preparations were located such that the occlusal margins were on the enamel and the gingival margins were on the cementum(1mm below the CEJ). These specimen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equal groups. Three dentin adhesives(Scotchbond Multi-Purpose, All Bond 2, Prisma Universal Bond 3)were applied to the cavity in accordance with each manufacturer's instructions. The teeth in each group were restored with four composite resins(Silux plus, Z100, Bisfil, Prisma TPH) in three increments, with each increment light-cured for 40 seconds. All specimens were exposed to 500 cycles of thermal stress. Specimens then placed in a silver nitrate solution(50% by weight) and stored in darkness for 24 hours. They were then immersed for 6 hours in photographic developing solution under flourescent light. Specimens were sectioned buccolingually through the center of the restoration and observed under a binocular stereoscope. To compare the marginal leakage, ANOVA and Dunkan's multiple range tests were used in analysis. Selected samples were further studi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XL20, Philips, The Netherland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all groups, the enamel margin showed significantly less leakage than the cementum margin. 2.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microleakage when composite resins were used with their proprietary dentin adhesives. 3. In comparison between dentin adhesives, Prisma Universal Bond 3 showed significantly less leakage at the enamel margin and Scotch bond multi-purpose showed significantly less leakage at the cementum margin than the other groups. 4. In comparison between composite resins, Silux Plus showed significantly more leakage than other groups at the enamel margin a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microleakage at the cementum margin. 5. According to the backscattere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microleakage occurred via gaps at the dentin adhesives/dentin interface.

  • PDF

타액에 의한 오염이 상아질 접착제의 미세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LIVARY CONTAMINATION OF TEETH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VAR10US DENTIN BONDING SYSTEMS.)

  • 최경규;류길주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8권3호
    • /
    • pp.203-20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salivary contamination of teeth on bonding efficacy of self-priming and self-etching DBSs. The materials used were Single Bond(SB, self-priming system, 3M), Unifil Bond(UB, self-etching system, GC), and Scotchbond Multi-Purpose Plus(SM, 3M) as control. Forty five human molars randomly allocated to three groups as dentin bonding systems tested and embedded in epoxy resin. Then the specimens were wet-ground to expose flat buccal enamel surface or flat occlusal dentin surface and cut bucco-lingually to form two halves with slow speed diamond saw. One of them was used under non-contamination, other under contamination with saliva. The bonding procedure was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directions and resin composite(Z-100, 3M Dental Products, St. Paul, MN) was built-up on the bonded surface 5mm high. The specimens were ground carefully at the enamel-composite interface with fine finishing round diamond bur to create an hour-glass shape yielding bonded surface areas of $1.5{\pm}0.1\textrm{mm}^2$. The specimens were bonded to the modified microtensile testing apparatus with cyanoacrylate, attached to the universal testing machine and stressed in tension at a CHS of 1mm/min. The tensile force at failure was recorded and converted to a tensile stress(MPa). Mean values and standard deviations of the bond strength are listed in table. One-way ANOVA was used to determine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95% level. The bond strength of SBMP and SB were not affected by salivary contamination, but that of UB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salivary contamin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BSs with total etch technique seems less likely affected by salivary contamination in bonding procedure.

Comparison of fracture strength after thermomechanical aging between provisional crowns made with CAD/CAM and conventional method

  • Reeponmaha, Tanapon;Angwaravong, Onauma;Angwarawong, Thidarat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2권4호
    • /
    • pp.218-224
    • /
    • 2020
  • PURPOS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fracture strength and fracture patterns of provisional crowns fabricated from different materials and techniques after receiving stress from a simulated oral condition. MATERIALS AND METHODS. A monomethacrylate-based resin (Unifast Trad) and a bis-acryl-based (Protemp 4) resin were used to fabricate provisional crowns using conventional direct technique. A milled monomethacrylate resin (Brylic Solid) and a 3D-printed bis-acrylate resin (Freeprint Temp) were chosen to fabricate provisional crowns using the CAD/CAM process. All cemented provisional crowns (n=10/group) were subjected to thermal cycling (5,000 cycles at 5°-55℃) and cyclic occlusal load (100 N at 4 Hz for 100,000 cycles). Maximum force at fracture was tested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RESULTS. Maximum force at fracture (mean ± SD, N) of each group was 657.87 ± 82.84 for Unifast Trad, 1125.94 ± 168.07 for Protemp4, 953.60 ± 58.88 for Brylic Solid, and 1004.19 ± 122.18 for Freeprint Temp. One-way ANOVA with Tamhane post hoc test showed that the fracture strength of Unifast Tra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than others (P<.01).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among other groups. For failure pattern analysis, Unifast Trad and Brylic Solid showed less damage than Protemp 4 and Freeprint Temp groups. CONCLUSION. Provisional crowns fabricated using the CAD/CAM process and the conventionally fabricated bis-acryl resins exhibited significant higher fracture strength compared to conventionally fabricated monomethacrylate resins after the aging regimen. Therefore, CAD/CAM milling and 3D printing of provisional restorations may be good alternatives for long term provisionalization.

턱관절균형의학에서 편차발생현상의 신경과학 및 재료역학적 해석과 일반화 (Interpretation and Generalization by Neuroscience and Material Mechanics on Deviation in Temporomandibular Joint Balancing Medicine)

  • 지규용
    • 턱관절균형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6
    • /
    • 2022
  • Objectives: For the deviation phenomenon occurring during the treatment process in temporo-mandibular balancing medicine (TBM), hypotheses were established regarding the cause and mechanism of form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neuro-science and material mechanics, and a verification method was proposed. Methods: The deviation phenomenon was theoretically analyzed based on the structure theories of material mechanics of the joint and the neurological pain mechanism. Results: Deviation occurs due to temporary yield by the accumulation of heterogeneous stress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and the affected joint. Because the joint structures are corresponding with material mechanics showing compressive and tensile properties. The size of the deviation is expressed in terms of strain. The occlusal surface of the teeth is level with the axial joint. Since the magnitude of the deviation has a proportional relationship with the degree of abnormality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he magnitude of the deviation calculated by the balance measurement can be replaced by the strain. The major variables involved in the occurrence of deviations are the strength of joint structures and neurological conditions. Therefore plastic deformation and adaptation occur as a long-term depression of neural circuits is strengthened in different ways at different locations each time in various clinical situations. This is the reason why the sequence of the restoration process while correcting deviations is following reverse order of the accumulation in many layers in the muscular nervous system. Conclusions: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inferred that the occurrence and correction of the deviations are corresponding with the plastic deformation and neuro-plasticity.

변형된 임플란트 임시 지대주의 물성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Physical Property of Provisional Prosthesis using Modified Temporary Abutment)

  • 양병덕;윤태호;최운재;박주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2권4호
    • /
    • pp.329-340
    • /
    • 2006
  • Statement of problem: Damping of the peak force transmitted to implants has been reported by in vitro studies using impact forces on resin-veneered superstructures. Theoretical assumptions suggest that use of acrylic resin for the occlusal surfaces of a prosthesis would protect the connection between implant and bone.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sthesis materials and the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implant system also needs to be investigated under conditions that resemble the intraoral mechanical environmen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racture strength and modes of temporary prosthesis when a flange or occlusally extended structure were connected on the top of the abutment. Material and method: Modified abutments of winged and bulk design were made by casting the desired wax pattern which is made on the UCLA type plastic cylinder. Temporary crowns were made using templates on the modified abutments, and its fracture toughness and strain were compared to the traditional temporary prosthesis. To evaluate the effect of aging, 5.000 times of thermocycling were performed, and their result was compared to the 24hours specimen result.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is study: 1. In the fracture toughness test, temporary crown's fracture line located next to the screw hole while modified designs with metal support showed fracture line on the metal and its propagation along the metal-resin interface. 2. Wing and bulk structure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acture toughness (p>0.05), but wing structure showed stress concentration on the screw hole area compared to bulk structure which showed even stress distribution. 3. In the fracture toughness test after thermocycling, wing and bulk structure showed increased or similar results in metal supported area while off-metal area and temporary crown showed decreased results. 4. In the strain measurement after thermocycling, its value increased in the temporary and bulk structure. However, wing structure showed decreased value in the loading point while increased value in the screw hole area. Conclusion: Wing type design showed compatible result to the bulk type that its application with composite resin prosthesis to the implant dentistry is considered promising.

Glass fiber 강화 복합레진을 사용한 3본 고정성 국소의치의 개념 설계 연구 (Conceptual Design of the Three Unit Fixed Partial Denture with Glass Fiber Reinforced Hybrid Composites)

  • 나경희;이규복;조광헌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18권3호
    • /
    • pp.145-155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knitted glass fabric 강화 레진에 대한 치과보철소재로서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가장 높은 수준의 교합하중이 작용하게 되는 구치부 3본 고정성국소의치에 이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해석을 수행하였다. 우선 구치부3본 고정성국소의치에 대해 knitted glass fabric 강화 레진을 적용한 두 가지 설계 개념을 상정하였고, 각 설계형상에 대한 유한요소해석을 하였다. 강도 평가를 위해서75N의 생리적인 반복 수직 교합 하중 조건을 부여, 보철물에 유도되는 국소응력을 피로강도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각각의 설계에는 knitted glass fabric을 모재로 하고 보강재로 unidirectional 형의 glass 복합재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념설계 된 두 가지의 3본 고정성국소의치는 수직 교합 하중 75N 에 대해 충분한 강성과 강도를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공치와 knitted caps사이의 연결 부위에서 국소적인 응력 집중이 관찰되었으나 그 크기는 재료의 피로강도 범위 이내였으며 국소적인 설계변경을 통하여 응력분포를 더욱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knitted glass fabric 은 새로운 치과 보철 소재로서의 그 가능성이 기대된다.

Mandibular Posterior Crossbite Appliance의 적용시 응력 분포에 관한 광탄성법적 연구 (Photoelastic evaluation of Mandibula Posterior Crossbite Appliance)

  • 정원중;장성호;윤영주;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59-566
    • /
    • 2001
  • 본 연구는 설측 이소맹출된 하악 제2대구치의 협측 반대교합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mandibular posterior crossbite appliance에 의해 하악 제2대구치의 치근단과 그 주위의 치조골에 발생되는 응력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광탄성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하악의 치조골을 재현하기 위해 PL-3 형의 epoxy resin과 PL-3 보다 경질인 레진치아를 사용하여 설측 이소맹출된 하악 제2대구치를 광탄성모형으로 재현하였다. 광탄성 모현상에 mandibular posterior crossbite appliance를 적용하고 힘을 가하기 전과후의 응력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원형편광기 를 사용하여 모형의 전후방에서 관찰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하악 제2대구치의 협측면에 힘을 가한 경우, 설측 치조정과 치근첨 부위에 응력이 집중되어 나타났고 회전중심이 치근 협측면의 중간 1/3부위와 치근첨 부위에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제 2대구치에 협측으로의 비조절성 경사이동 및 회전력이 발생하였다. 2. 하악 제2대구치의 설측면에 힘을 가한 경우에는 협측면에 힘을 가한 경우 보다 치근첨에 더 많은 응력이 발생하였다. 또한 치근하방의 치조골 부위에 응력이 증가하였으며 치근의 협측면과 치근첨 부위의 회전중심도 없어져 이로 인한 협측으로의 조절성 경사 이동 및 함입력이 관찰되었다. 3. 하악 제2대구치의 협측이나 설측에 힘을 가한 경우, 고정원인 제1대구치의 치근첨 부위는 힘을 가하기 전의 초기 응력상태와 비교할 때 응력의 증가는 보이지 않아 구치부 협측 반대 교합의 개선시 하악의 설측 호선은 효과적인 고정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설측 이소맹출된 하악 제2대구치의 구치부 협측 반대교합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mandibular posterior crossbite appliance를 적용할 때, 제2대구치의 협측면보다는 설측면에서 힘을 부여하는 것이 교합장애를 야기시킬 수 있는 비조절성 경사이동과 구치의 회전을 피하면서 협측으로의 조절성 경사이동 및 함입력을 적용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 PDF

반복하중에 따른 수종 임플란트의 피로파절에 관한 연구 (Fatigue fracture of different dental implant system under cyclic loading)

  • 박원주;조인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24-434
    • /
    • 2009
  • 연구목적: 임플란트는 수직교합 하중에는 비교적 잘 견디나 측방하중에 대해서는 약한 역학적 성질을 갖고 있으므로 임플란트의 재료 특성과 기하학적 형태에 따른 응력 분석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연구재료 및 방법: 외부육각구조를 갖는 28개의 임플란트를 7개씩 4군으로 나누어 그 제품에 적합한 UCLA gold abutment를 이용해, 제3형 금합금으로 보철 물을 제작하였고, A군 (3i, FULL $OSSEOTITE^{(R)}$-Implant), B군 (Nobelbiocare, Branemark $System^{(R)}$Mk III Groovy RP), C군 (Neobiotec, $SinusQuick^{(TM)}$ EB), D군 (Osstem, US-II)으로 분류하였다. 고정체와 지대주나사, 지대주를 연결한 후 수직적으로 절단하여 연마한 후 미세경도계를 이용하여 10군데에서 경도측정을 실시하였고, 동적하중 피로시험기를 이용하여 60-600 N범위로 파절시까지 동적 하중을 가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지대주나사 및 고정체의 파절 양상과 파절 위치 등을 관찰하였고, 유한요소분석을 통해 고정체와 지대주 나사에 나타나는 응력 분포와 파절면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1.고정체 경도는 A, B, C, D군에서 각각 245.3, 289.7, 281.3, 300.4 Hv로 D군이 가장 높았고, A군이 가장 낮았다. 지대주 나사의 경도는 A, B, C, D군에서 각각 340.00, 317.62, 306.5, 306.2 Hv로 A군이 가장 높고, D군이 가장 낮았다. 2. 모든 실험군에서 임플란트 고정체의 파절은 응력이 집중되는 고정체 3-4번째 나사산 홈 (valley) 부위 또는 내면의 사공간부와 일치하는 부위에서 발생되었고, 피로수명은 A, B, C, D군에서 각각 31585, 47311, 30141, 105371로 D군이 가장 높았으며, A, B, C군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3. 파절양상은 B군과D군에서는 고정체와 나사 모두에서 수직 (longitudinal)파절과 수평 (transverse)파절이 동시에 일어나는 복합 (complex mode) 파절이 관찰 되었고, A와 C군에서는 고정체에서 수평 (transverse mode) 파절만이 관찰되었다. 4. 유한요소분석 결과 인장응력이 가장 높은 고정체 표면부에서 피로 균열이 시발되어 압축응력이 가장 높은 반대편 부위로 피로균열이 전파되었으며, 최대 유효 응력값은 C군이 가장 높았고, B군에서 가장 낮았다. 결론: 피질골 높이와 일치하는 임플란트 고정체 부위에서 최대 인장 주응력이 발생되며, 고정체 사공간부 (dead space)가 최대 인장 주응력이 작용하는 지그 표면과 일치할 때 피로파절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악골에 식립된 임플란트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수명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가능한 임플란트 주위의 골소실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나 골흡수가 일어나 사공간부 수준까지 진행된다면 임플란트의 파절 빈도가 증가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