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H

검색결과 66,725건 처리시간 0.071초

Aragonite의 제조에 관한 연구 (Ⅰ). 주상형 아라고나이트의 생성 (Studies on the Preparation of Aragonite (Ⅰ). Formation of Aragonite of Pillar Shape)

  • 박성식;하호;이희철
    • 대한화학회지
    • /
    • 제39권7호
    • /
    • pp.578-584
    • /
    • 1995
  • $Sr(OH)_2$가 소량 첨가된 수산화칼슘 수용액에 $CO_2$ 가스를 흡수시켜 탄산화 반응을 행하였으며, 이 반응에서 반응온도와 $Sr(OH)_2$가 탄산화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주상형의 aragonite는 반응온도가 높을수록, $Sr(OH)_2(aq)/Ca(OH)_2(aq)$의 비가 클수록, 즉 $OH^-/CO_2(aq)$의 비가 클수록, 잘 생성되었다. $Sr(OH)_2$는 탄산화반응 초기에 aragonite와 유사한 사방정형의 $SrCO_3$를 쉽게 형성하고, 물에 대한 용해도가 높기때문에 $OH^-$ 이온을 증가시켜 용액내에 결정성장에 유리한 $CO_3^{2-}$ 이온을 보다 쉽게 형성시키므로 주상형 aragonite 생성에 유리한 역할을 하였다.

  • PDF

세라믹분체 표면에서 아크릴아마이드 중합(제2보) : MeOH가 질화규소 겔캐스팅에 미치는 영향 (Acrylamide Polymerization on Ceramic Powders(II) : Effect of MeOH on Si$_3$N$_4$ Gelcasting)

  • 류병환;김은영;이재도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20-224
    • /
    • 1999
  • 질화규소 겔케스팅 공정제어를 위하여, MeOH의 첨가가 겔화유도시간과 성형체의 건조속도 및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10~20 vol%의 MeOH 첨가에서 겉보기 겔화유도시간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이때의 건조속도는 약 25~40%의 증진효과를 나타내었다. 분산매에 대하여 40% MeOH 첨가 범위에서 성형체의 기계적 가공은 가능하였으나, 겔캐스팅 성형체의 상대밀도 및 강도는 다소 낮아졌다.

  • PDF

Rapid Quenching Dynamics of F Center Excitation by $OH^-$ Defects in KCI

  • 장두전;김필석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6권12호
    • /
    • pp.1184-1189
    • /
    • 1995
  • The rapid quenching dynamics of F center excitation by OH- defects in KCl crystals are investigated by monitoring ground state absorption bleach recovery, using a picosecond streak camera absorption spectrometer. F center absorption bleach in OH--doped crystals shows three distinguishable recovery components with the current temporal resolution, designated as slow, medium and fast components. The slow one is due to the normal relaxation process of F* centers as found in OH--free crystals. The others are consequent on energy transfer from electronically excited F centers to OH--vibrational levels. The fast component is a minor energy transfer process and resulting from the relaxation of somewhat distant, not the closest, associated pairs of F* and OH- defects. The energy transfer between widely separated F* and OH- defects opens up a recovery process via the medium component which is assisted by OH- librations, lattice vibrations and OH- dipole reorientations. The quenching behaviors of F* luminescence and photoionization by OH- are explained well by the relaxation process of the medium component.

추출 및 분획조건에 따른 인삼 조사포닌 중 ginsenoside 조성 차이 (The Difference of Ginsenoside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Extraction and Fractionation of Crude Ginseng Saponins)

  • 신지영;최언호;위재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82-287
    • /
    • 2001
  • 인삼 조사포닌을 기존의 고온 MeOH 추출/n-BuOH 분획법 및 고온 MeOH 추출/Diaion HP-20 흡착/MeOH 용출법과 새로이 시도된 고온 MeOH 추출/cation AG 50W흡착/$H_2O$ 용출/n-BuOH 추출법(AG 50W법), 상온 MeOH 추출/Diaion HP-20 흡착/MeOH 용출법(상온추출법)과 EtOAc/n-BuOH 직접 추출법으로 분리한 다음 기존의 HPLC/RI 방법으로 ginsenoside조성을 비교한 결과 EtOAc/n-BuOH 직접 추출법을 제외하고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분리능과 감도가 우수한 HPLC/ELSD방법을 사용한 결과, ginsenoside $Rb_2$, Rf, $Rg_1$$Rh_1$ 등을 뚜렷이 식별할 수 있었고 추출 및 분획방법에 따라 조사포닌간 ginsenoside의 현저한 조성차이를 볼 수 있었다. 특히 AG 50W법에 의해 분리된 조사포닌에서 뚜렷한 prosapogenin 피크를 볼 수 있었으며 LC/MS의 결과, ginsenoside $Rb_1$, $Rb_2$ 등의 7종의 주종 사포닌 이외에도 5종의 prosapogenin과 1종의 chikusetsusaponin을 포함한 총 13종의 ginsenoside를 동정하였다. 새로이 정립한 HPLC 분석조건, 즉 $NH_2$ 대신에 $C_{18}$ column을 사용하고 $KH_2PO_4/CH_3CN$ gradient로 상온추출법으로 분리한 조사포닌을 분석한 결과, malonyl ginsenoside 피크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보론산의 용액 화학 (Aqueous Chemistry of Boric Acid)

  • 이만승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7권4호
    • /
    • pp.23-28
    • /
    • 2018
  • 보론을 함유한 광석이나 2차자원으로부터 보론을 효과적으로 회수하기 위한 습식공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수용액에서 보론산의 농도분포 자료가 필요하다. 보론산은 pH 6 이하의 용액에서 $B(OH)_3$로, pH 12 이상의 용액에서는 $B(OH)_4{^-}$로 존재한다. 그러나 pH 6에서 11사이의 범위에서는 $B(OH)_3$$B(OH)_4{^-}$간의 중합체 형성반응이 일어난다. $B_3O_3(OH)_4{^-}$, $B_4O_5(OH){_4}^{2-}$와 같은 중합체의 몰분율은 보론산의 농도에 비례한다.

산 침출$Mg^{++}$액으로부터 $Mg(OH)_2$및 MgO 粉末의 製造 (Preparation of $Mg(OH)_2$and MgO from Acid Leaching $Mg^{++}$ Solution)

  • 최용각;이종현;원창환;이갑호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0권5호
    • /
    • pp.16-21
    • /
    • 2001
  • 자전연소고온반응법(SHS)에 의한 고순도 분말의 제조시에 주로 얻어지는 $Mg^{++}$ 유 부산물로부터 초미분 $Mg(OH)_2$및 MgO분말을 제조하였다 $Mg(OH) _2$제조시 최적의 실험 조건은 0.7M의 $Mg^{++}$ 을 함유하는 pH 1.42의 산침출 용액중에 9M의 KOH를 pH조절제로 첨가한 경우이다. 이때 pH는 약 13.0을 나타내며, 모든 $Mg^{++}$$Mg(OH)_2$로 침전되었다. $Mg(OH)_2$의 탈수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DSC를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소공정에 사용하였다. MgO분말은 건조된 Mg(OH)2 분말을 $400-450^{\circ}C$로 하소함으로써 제조되었으며, 제조된 $Mg(OH)_2$및 MgO분말의 크기 및 형상은 상용 분말과 유사하였다.

  • PDF

1-OH-Pyrene and 3-OH-Phenanthrene in Urine Show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Muscle in Dairy Cattle

  • Kang, Hwan-Goo;Jeong, Sang-Hee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7권1호
    • /
    • pp.15-18
    • /
    • 2011
  • The toxicities of phenanthrene (PH) and pyrene (PY) are less than benzo(a)pyrene (BaP), but both compounds are found in higher concentrations in the air, feed, and food. Most PAHs are metabolized to hydroxylated compounds by the hepatic cytochrome P450 monooxigenases system. Metabolites are excreted into urine and feces. We determined concentrations of PH, PY and BaP in muscle and hydroxylated metabolites, 3-OH-PH, 1-OH-PY, and 3-OH-BaP, respectively, in urine from dairy cattle (n = 24). We also evalu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compounds in muscle and their metabolites in urine. Concentrations of PH and PY in muscle ranged from 0.7~4.8 ng/g ($1.8{\pm}1.7$) and 0.4~4.1 ng/g ($1.2{\pm}1.2$), respectively. Concentrations of 3-OH-PH and 1-OH-PY in urine ranged from 0.1~5.9 ng/ml ($2.9{\pm}3.7$) and 0.5~3.6 ng/ml ($1.9{\pm}2.3$), respectively. Correlation coefficient for PY concentration in muscle versus 1-OH-PY in urine was 0.657 and for PH concentration in muscle versus 3-OH-PH in urine was 0.579. Coefficient determination for PY and PH concentrations in muscle was 0.886 and for 1-OH-PY and 3-OH-PH in urine was 0.834. This study suggests that 1-OH-PY and 3-OH-PH could be used as biomarkers for PAHs exposure in dairy cattle.

C60(CH2)nOH (n=0~2)와 C60(OH)2의 분자구조 및 분광학적 성질에 관한 이론 연구 (Theoretical Study for Structures and Spectroscopic Properties of C60(CH2)nOH (n=0~2) and C60(OH)2)

  • 이주영;김승준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6호
    • /
    • pp.905-911
    • /
    • 2011
  • [ $C_{60}(CH_2)_nOH$ ](n=0~2)와 $C_{60}(OH)_2$의 가능한 분자구조를 B3LYP/6-311G(d,f) 이론 수준에서 최적화 하였으며, 각 화합물의 가장 안정한 분자구조(global minimum)를 확인하고 결합에너지를 계산하여 구조적 특성에 따른 에너지와의 상호연관성을 고찰하였다. 보다 정확한 상대 에너지를 계산하기 위하여 진동주파수를 계산하여 영점 진동 에너지(zero-point vibrational energy, ZPVE)를 보정하였으며, IR 스펙트럼을 예측하였다. $C_{60}(CH_2)_nOH$ (n=0-2)에서 결합에너지의 경우, $-CH_2OH$기 보다 -OH기가 결합되었을 때 결합에너지가 약 10 kcal/mol 정도 더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녹차, 우롱차 및 홍차의 용매별 추출물의 카테킨류 함량 및 항산화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techins Contents and Antioxidative Effect of Various Solvent Extracts of Green, Oolong and Black Tea)

  • 이영자;안명수;오원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70-376
    • /
    • 1998
  • 대표적인 기호성 음료인 차의 발효정도에 따른 분류인 무발효차, 반발효차 및 발효차중 녹차, 우롱차 및 홍차, 그리고 녹차의 채엽 시기별에 따른 분류인 녹차 1번차, 녹차 2번차 및 녹차 3번차 등을 에탄올, 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얻은 각 추출물의 용매별 추출수율과 카테킨류 함량 분석 및 용매별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용매별 추출수율은 MeOH이 EtOH 및 EtAc 에 비하여 녹차류는 3~5배, 우롱차는 4~5배, 홍차는 5~7배 씩 각각 놓았다. 추출용매의 종류에 따른 총카테킨류 % 함량은 조카테킨이 EtOH 및 MeOH 추출물에 비해 홍차는 3배 , 녹차 및 우롱차는 2배정도 높은 것으로 EtOH이나 MeOH로 추출하는 것보다는 물추출물을 다시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분리정제하여 얻은 조카테킨의 경우가 순도가 매우 높은 EC, EGC, ECG 및 EGCG를 얻을수 있었다. 용매별추출물을 200, 500, 1000ppm씩 기질대두유에첨가하여 항산화효과를 측정시 EtOH 추출물, MeOH 추출물, EtAc 추출물 모두가 기존의 항산화제인 BHT, dl-α-tocopherol보다 좋은 항산화효과를 보였으며, 첨가량이 많을 수혹 항산화효과가 증가하였다. 또한 EtOH 추출물을 200 및 5000ppm, MeOH 추출물을 200 및 500ppm , EtAc ncnfanf을 200ppmTlr 각각 첨가시의 항산화효과는 녹차I >녹차II>녹차 III> 우롱차>홍차의 순이었으며, 이때 항산화효과는 네가지 카테킨류 성분인 EGC 함량이 많을수록 비례하여 컸다. 그러나 , MeOH 추출물을 1000ppm, EtAc 추출물을 500 및 1,000 ppm씩 각각 첨가시의 항산화 효과는 카테킨류 성분인 EGC 및 EGCG 함량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 PDF

객담 전처리 방법에 따른 객담 항산균 도말 및 배양 양성률 비교연구 (Comparison of Smear and Culture Positivity using NaOH Method and NALC-NaOH Method for Sputum Treatment)

  • 강형석;성낙문;이선숙;김도형;전두수;황수희;민진홍;김진희;원영섭;박승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5권5호
    • /
    • pp.379-384
    • /
    • 2008
  • 연구배경: NaOH (sodium hydroxide) 기법을 이용한 전처리 객담과 NALC-NaOH (N-acetyl-L-cysteine-sodiumhydroxide) 기법을 이용한 객담의 항산균 도말 및 결핵균배양 양성률 그리고 배지 오염률을 비교하여 실험실 검사과정 중의 일부분을 개선함으로써 검사 결과의 개선이 가능한 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7년 6월부터 2008년 6월까지 국립마산병원에서 객담 검사가 시행된 환자를 대상으로 환자에게서 객담배출 요령을 충분히 교육한 후 두개의 객담 검체를 채취하여 통상적인 NaOH 기법과 NALC-NaOH 기법을 각각 적용한 후 도말 및 배양 결과 그리고 배지 오염률을 비교하였다(n=436). 결 과: 항산균 도말 검사에서는 NaOH 기법에 비하여 NALC-NaOH 기법이 다소 높은 양성률(33.0% vs. 39.0%)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0.078). 결핵균배양 검사에서는 배지 오염률(culture contamination)은 각각 3.2%와 3.0%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배양양성률은 NALC-NaOH 기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배양 양성률(39.7% vs. 28.0%, p=0.0003)을 보였으며, 배양 결과를 도말 검사 결과와 연관 지어 분석하였을 때 도말 검사상 음성인 경우 NaOH 기법과 NALC-NaOH 기법은 각각 7.2%와 15.8% (p=0.0017), scanty를 보인 객담의 경우 각각 42.9%와 60.8% (p=0.036)의 배양 양성률을 보여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결 론: 도말 검사에서 음성이나 scanty를 보여 상대적으로 결핵균의 수가 적은 객담의 경우 NALC-NaOH를 이용함으로써 배양 양성률을 개선 시킬 수 있었으며 이는 임상적으로 폐결핵의 진단과 치료 경과 관찰에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