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rth Korea Geographic Information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5초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북한지역 지리정보 구축 실험연구 (Acquisi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in North Korea Us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 사공호상;한선희;박진형;서기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46-56
    • /
    • 2004
  • 남북한간 경제협력과 교류가 어느 때 보다도 활발하게 추진됨에 따라 북한지역에 대한 지리정보의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렇다 할 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북한지역의 지리정보를 획득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실효성 있는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북한의 사례지역에 대해 실제로 지리정보를 구축하고, 위치정확도도 검증하였다. 실험연구 결과, 총 52개 항목의 지리정보를 추출하였다. 또한 스테레오 영상의 수평 및 수직오차는 각각 4.6m와 0.9m로 상당히 정확하였으며, 단영상의 수평오차는 약 9m 정도로 스테레오 영상보다는 크지만 북한관련 업무나 연구의 기초자료로 만족할 수 있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 PDF

SPOT-5 위성영상을 이용한 북한지역 지리정보 구축에 관한 연구 (Assembling Geographic Information with SPOT-5 Satellite Imagery : A Case Study on North Korea)

  • 사공호상;박진형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34-142
    • /
    • 2005
  • 본 연구는 SPOT-5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북한지역의 지라정보를 구축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실험연구를 통하여 그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접근이 불가능한 북한지역의 3차원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 사용한 지상 기준점은 일제시대에 제작된 삼각점으로, 미군정에 의해 갱신된 후 1960년대에 국립지리원에 전달된 것이다. 이러한 삼각점을 이용하여 지상 기준점을 획득하고 입체영상을 구성한 후 설계된 레이어에 따라 북한의 지리정보를 구축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구축된 지리정보의 위치정확도를 검증한 결과, 평균 수평오차가 8.755m로 나타나, 축척 1:25,000에 해당하는 공공측량 작업 규정의 오차한계 17.5m를 만족하였다.

  • PDF

북한지역 국토이용 DB 구축 연구 (A Study on Building Database for Territorial Use of the North Korea)

  • 사공호상;서기환;한선희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5권3호
    • /
    • pp.323-333
    • /
    • 2007
  • 최근 들어 남북한은 경협을 중심으로 교류가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도로철도 연결, 공단개발 등과 같은 남북한 협력사업이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북한지역의 지형지물과 같은 물리적인 지리정보와 토지이용현황 등에 관한 기초자료를 구축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북한지역의 국토이용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의 구축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고자 북한지역의 국토이용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실험적으로 구축하고, 이를 통하여 절차와 과정을 구체화하였다. 북한지역의 국토이용 현황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는 지형도, 위성영상, 주제도 등 모든 종류의 가용자료를 수집 활용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는 스캐닝, 위성영상처리, 토지피복분류 등 적합한 처리과정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였다. 또한 기존 자료를 DB화 하는데 그치지 않고 구축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벡터형태의 지리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하여 정성적, 정량적인 북한지역 국토이용현황조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

SPOT/VEGETATION NDVI 자료를 이용한 북한지역 식생 변화 탐지 (A Detection of Vegetation Variation Over North Korea using SPOT/VEGETATION NDVI)

  • 염종민;한경수;이창석;박윤영;김영섭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8-3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원격탐사자료를 이용하여 현장관측이 불가능한 북한 지역에 대한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산출을 통하여 1999년부터 2005년까지 7년간의 지표 상태 모니터링 하였다. 북한의 산림 지역은 소위 한반도의 폐라고 불리며, 한반도 내에서 가장 풍부한 산림지역이 위치하고 있다. NDVI는 식생의 활력 지수를 나타내며, 유사한 많은 연구에서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 지역 식생의 변화를 탐지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였다. NDVI의 변동은 북한 지역에서 가뭄이나 태풍의 영향을 잘 반영하고 있으며, 북한 지역이 태풍이나 가뭄을 겪고 있을 때 평년보다 낮은 NDVI 수치가 나타났다. 특히, 최근 정치적, 경제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는 북한 지역 식량 생산 정보이 간접적인 파악을 위해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식량 생산 동향을 유추하였다.

  • PDF

남북한 측량제도 및 지리정보 통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Unification Scheme of Surveying Policy and Geographic Inform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 최윤수;박홍기;이호남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93-200
    • /
    • 2006
  • 지리정보와 이것의 기반이 되는 측량 성과는 중요한 국가 인프라이므로 체계적인 방안을 수립하고 대응하지 않을 경우 통일이후, 막대한 비용과 사회적 혼란이 야기될 것이다. 통일이후 한반도의 효율적인 국토활용과 국토공간에 대한 지형도 제작 등 통일을 대비한 측량정책 제도의 기본방향을 수립하여 통일비용과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자료조사 및 측량 전문가 면담, 관련 기관 방문과 세미나 개최를 통해 남북한의 측량관련 현황 및 통일 독일의 사례를 분석해 보았다. 우선 통일이후 변화하는 환경을 예측하고 이에 따른 측량 관련 법 제도 및 측량기준을 통합하는 측량정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며, 2007년 세계측지계 도입을 바탕으로 한 남북한 기준점 개편 및 성과 통합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반도 및 인접국의 지도와, 북한의 도시지역 우선으로 대축척지도를 제작할 필요성 및 통일을 대비한 국토지리정보원의 위상과 역할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적극적 준비와 방안 모색으로 통일에 대비한 측량정책 및 제도의 기본방향을 수립하고 통일비용 최소화라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북한의 GIS 연구동향 분석 (A Review on GIS Research Trends in North Korea)

  • 김창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89-197
    • /
    • 2007
  • 언어와 이념에 관계없이 세계의 모든 지역에서 그 지역의 공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는 GIS가 북한에서는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를 남한의 현황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북한의 GIS 관련 연구 논문들을 조사하고 이를 주제별로 분류하였다. 북한의 GIS 연구 논문에 대한 주제별 분류는 남한의 GIS 연구동향과 비교하기 위해서 2007년에 수행된 남한의 GIS 연구동향 분석에서 적용한 분류 기준에 근거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북한의 GIS 분야에 대한 연구는 측지/측량, 지도제작, 기상, 농업, 재해 분야에 집중되어 있으며, 국가 GIS 정책과 유통, GIS 교육, 인터넷 GIS, 교통 분야 등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리고 연구에 활용된 자료의 상당부분은 기상위성 영상과 Landsat 영상 등 중 저해상도의 위성영상 데이터였다. 이는 북한의 GIS DB 인프라가 열악함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 PDF

위성 강우자료를 이용한 북한지역 홍수량 추정 (Flow Estimation Using Rainfalls Derived from Multiple Satellite Images in North Korea)

  • 김주훈;최윤석;김경탁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1-42
    • /
    • 2015
  • 본 연구는 위성으로부터 유도된 위성강우자료와 글로벌 지형자료를 활용하여 대표적인 비접근 지역인 북한지역의 청천강 상류에 위치한 동신군 지역을 대상으로 홍수량을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북한지역 홍수량 추정을 위한 모형은 IFAS를 이용하였고, 검증이 가능한 국내의 갑천 유역에 대하여 모형에 대한 매개변수를 보정하였다. 모형의 검증을 위하여 낙동강의 병성천 유역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북한지역에 대한 위성강우를 이용한 분석에서 지상계측 자료를 이용하여 위성강우자료를 수정하였다. 수정된 위성강우를 이용한 유출분석에서는 첨두유출량이 CMORPH가 $4,885.8m^3/s$, GSMaP_NRT가 $5,717.5m^3/s$의 유출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더 많은 강우사상을 적용 및 검증을 통해 미계측/비접근 지역에 대한 수문분석에 활용할 계획이다.

SL/SST variations and their correlations in the North East Asian Sens by remote sensing (Topex/Poseidon, NOAA)

  • Yoon, Hong-Joo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3년도 공동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7-299
    • /
    • 2003
  • Altimeter(Topex/Poseidon) and AVHRR(NOAA) data were used to study the variations and correlations of Sea Level(SL) and Sea Surface Temperature (SST) in the North East Asian Seas from November 1993 to May 1998. This region is influenced simultaneously to continental and oceanic climate as the border of the East Sea(Japan Sea). SL and SST have increased gradually every year because the global warming, and presented usually a strong annual variations in Kuroshio extension region with the influence of bottom topography.

  • PDF

임연군락의 분포 특성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Mantle Communities)

  • 정용규;김원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1호
    • /
    • pp.7-13
    • /
    • 1998
  •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about 8 syntaxa of mantle communitly (Mantelgesellschaften) in South Korea was studied.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geographic and bioclimatic analysis on 326 phytosociological releves on the basis of syntaxonomy and hierarchical system of mantle community already obtained from Zurich-Montpellier School's method, which involves direct analysis on the latitude, altitude, annual mean temperature and the lowest temperature of each site.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mantle communities in South Korea appeared from South to North in the order of Mallotetum japonicae, Clerodendretum trichotomae, Akebietum quinatae, Lonicero-Puerarietum lobatae, Spiraetum salicifoliae. Dioscoreo-Actinidietum argutae, Sorbarietum stellipilae and Tripterygietum regelii. It is suggested that the information (syntaxonomical, floral, geographic and bioclimatic data) of Japan, North Korea and China is essential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mantle community in Korean Peninsula.

  • PDF

북한의 지역별 기상학적 가뭄의 평가와 유형분류 (Assessment and Classification of Meteorological Drought Severity in North Korea)

  • 유승환;남원호;장민원;최진용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0권4호
    • /
    • pp.3-15
    • /
    • 2008
  • North Korea is one of the most vulnerable countries of the world for drought but still it is difficult to find scientific researches for understanding of the drought characteristics. This study analyzed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meterological drought severity and classified the drought development types in North Korea. All eleven drought indices were tested such as seasonal rainfall, PDS, SPI and so on, and then drew the drought risk map by each indicator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for twenty one meteorological stations. In addition meteorological drought characteristics in North Korea was classified to six patterns on Si/Gun administrative units using cluster analysis on the drought indicators. The cluster III has the strongly drought-resistant area due to sufficient rainfall and the cluster V was considered as the most drought-vulnerable area, Pungsan and Sinpo, because of the severest drought condition for eight drought indica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provided for the basic understanding of regionalized drought severity and characteristics confronting the risk of drought from climate variations in Nor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