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point pollutant

검색결과 219건 처리시간 0.027초

대청호 유역 비점오염원 제어를 위한 생태습지의 오염물질 제거효율 평가 (Evaluation of Removal Efficiency of Pollutants in Constructed Wetlands for Controlling Nonpoint Sources in the Daechung Reservoir Watershed)

  • 박별님;조영철
    • 생태와환경
    • /
    • 제56권2호
    • /
    • pp.127-139
    • /
    • 2023
  • 대청호는 유역에 있는 비점오염원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염물질로 인해 남조류 과다증식에 기인한 녹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녹조 관리 대책 중 하나로 인공습지를 설치하여 호소에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저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원의 관리방법으로 인공습지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대청호 상류에 설치된 서화천 생태습지를 대상으로 2014년부터 2020년까지 유입수 및 유출수의 BOD, COD, SS, T-N, T-P 등 오염물질 농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체적으로 인공습지에서의 처리를 통해 오염물질의 농도가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유기물질보다 질소, 인과 같은 영양염류에 있어 높은 처리효율이 확인되었다. 유입수의 오염물질 농도에 따른 처리효율을 구간을 나누어 분석한 결과 대체적으로 고농도에서 처리효율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설치 및 운영 경과에 따른 연도별 인공습지 처리효율을 분석한 결과, T-P에서 큰 변화가 확인되었다. 이는 인공습지 조성 초기에는 식생의 성장에 따라 높은 처리효율을 보였지만, 식생이 안정화되고 습지 퇴적층이 포화됨에 따라 처리효율이 점진적으로 감소한 결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기 강우 등 높은 농도의 오염물질 유입 및 주기적인 퇴적토 준설 등의 관리가 이루어진다면 인공습지가 유역면적이 넓고, 비점오염원의 영향을 크게 받는 댐 저수지의 부영양화 억제에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낙동강 중류유역의 지역별 비점오염 특성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in Mid-stream of Nakdong River)

  • 손성호;최경숙
    • 한국관개배수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81-193
    • /
    • 2007
  • The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in middle-stream of Nakdong River Were studied through analysis of pollutant loads of 8 sub-watersheds divided based on administrative district. The pollutant concentration of each sub-watershed was collected from Nakdong-River Water Research Institute and Daegu Regional Environmental Office, respectively. Pollution items analysed in this study were BOD, SS, T-N and T-P. High degree of non-point pollution was observed from Gumi, Goryeong, Gyeongsan, Daegu and Sungju, and pollution was usually increased during rainy season. This result indicates that a given pollution condition within the watershed can be more sensitive than location factor to the level of water quality. The main sources of non-point pollution were population and livestock, as well as landuse factor, and were found to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water pollution. Alternative solutions for controlling pollution sources, therefore, should be provided to meet target levels of water quality in this region.

  • PDF

교량지역의 다양한 비점오염물질 원단위 산정방법 비교 (Comparison of Estimation Method of Pollutant Unit Loads from Bridge Area)

  • 김태원;길경익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97-604
    • /
    • 2011
  • This research analyzed the runoff patterns and estimated unit loads of selected pollutatnts using monitored data conducted for three years in a bridge area. Three estimating methods; the arithmetic average method, the regression method and the rainfall class method were used to estimate the unit load. Results of three estimating methods were compared with the unit pollutant loads from landuses in Korea and the unit pollutant loads from urban watersheds in Milwaukee, USA. Unit load using the arithmetic mean method were found to be overestimated. In terms of TSS, unit loads of two estimate were half lower than that of USA. Estimated TN and TP unit loads of three estimate were lower than that of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

장기모의를 통한 도시유역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용량 산정 (Determination of Design Capacity for NPS Pollutant Treatment Facilities by Long-term Simulation in Urban Areas)

  • 주진걸;유도근;김중훈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41-847
    • /
    • 2011
  • In this study, a method to determine the design capacities of nonpoint source (NPS) pollutant treatment facilities in urban areas was suggested. A facility capacity to treat 80 percent of total SS discharge was estimated by 2-year rainfall - runoff - build-up and wash-off simulation at Goonja drainage district in Seoul. For wash-off simulation, four wash-off models (EMC, RC, EXP, and Joo model) were used. As the results, 80 percent of total SS discharge could be treated with only 7.7~31.4% facility capacity of peak flow. The suggested method and results will provide a guideline to determine design capacities of NPS pollutant treatment facility in urban areas.

다양한 회귀분석을 통한 강우유출용적에 따른 비점오염부하량 예측방안 (Predictive Relationships of the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with Stormwater Runoff Volumes based on the Various Regression Analyses)

  • 신지웅;길경익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57-263
    • /
    • 2011
  • This study analyzes the correlations between non-point sources and runoff to estimate non-point sources for effective management. From the monitoring results, the correlation factors among pollutant mass loading, EMC, total runoff volume and average flow are calculated. And using correlation factors, the most related two constituents are determined. Also the most appropriate regression between two constituents are determined. Pollutant mass loading and total runoff volume has the highest correlation. Also, compound regression is found to be the most appropriate regression. This shows that pollutant mass loading increases as total runoff volume increases. It is not continuous increase but has some pattern.

고속도로 영업소 토지이용에서의 비점오염원 원단위 산정 (Determination of Nonpoint pollutant Unit Loads in Toll-gate of Highway)

  • 손현근;이은주;이소영;김이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9-75
    • /
    • 2008
  • 토지이용의 고도화는 다양한 비점오염물질의 축적을 야기하며 강우 시 유역에 존재하는 수계로 유출되어 수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현재 환경부는 이러한 비점오염물질의 유출을 저감하기 위하여 다양한 토지이용별 비점오염물질 유출원단위를 제정하여 유역관리에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적용되고 있는 토지이용별 원단위는 논, 밭, 대지, 목장, 임야, 골프장 및 기타와 같이 7개로 분류하고 있다. 이러한 원인으로 인하여 실제로 비점오염물질의 유출이 매우 높은 상업지역, 주거지역, 도로, 고속도로, 주차장, 산업지역, 공공지역 등과 같은 토지이용에 대하여 명확한 토지이용별 유출원단위를 제시하지 못하여 수질오염총량관리제 시행에 큰 애로사항으로 남아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포장지역중 불투수율이 높은 고속도로 영업소 지역의 토지 이용에 대하여 2006부터 2007년까지 약 2년에 걸친 모니터링 자료를 활용하여, 비점오염 저감시설 설치와 계획수립 시 적합한 원단위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원단위법에 의한 비점오염부하량 산정 시 토지피복 특성을 반영하는 고해상도 항공영상의 활용방안 (Application of the High Resolution Aerial Images to Estimate Nonpoint Pollution Loads in the Unit Load Approach)

  • 이범연;이창희;이수웅;하도
    • 환경영향평가
    • /
    • 제18권5호
    • /
    • pp.281-291
    • /
    • 2009
  • In Total Water Pollutant Load Management System of Korea, unit load approach based on land register data is currently used for the estimation of non-point pollutant load. However, a problem raised that land register data could not always reflect the actual land surface coverages which determine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ion sources. As a way to overcome this, we tried to establish quantita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aerial images (0.4m resolution) which reflect actual land surface coverages and the land registration maps according to the 19 major designated land-use categories in Kyeongan watershed. Analyses showed different relationships according to the land-use categories. Only a few land-use categories including forestry, road and river showed essentially identical and some categories such as orchard, parking lot and sport utility site showed no relationships at all between image data and land register data. Except for the two cases, all the other categor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linear relationships between image data and land register data. The analyses indicate that using high resolution aerial maps is a better way to estimate non-point pollutant load. If the aerial maps are not available, application of the linear relationships as conversion factors of land register data to image data could be an possible option to estimate non-point pollutant loads for the specific land-use categories in Kyeongan watershed.

강우시 도시지역 비점오염원 유출특성 분석 - 홍제천 상류 유역을 중심으로 - (Analyzing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s During Rainfall in Urban Area - Focussing on upstream of Hongjechun watershed)

  • 황병기
    • 환경영향평가
    • /
    • 제14권2호
    • /
    • pp.63-73
    • /
    • 200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haracterize stormwater runoff of pollution material from nonpoint sources during rainfall in drainage basins of Hongjechun watershed, and to suggest management methods to control the first flush of nonpoint sources. We conducted 4 times of field surveys including 3 times of wet period and 1 times of dry period for 5 stations, which consist of 3 stations in main stream of Hongjechun and 1 station in tributaries of Sinyoungchun and Gukichun, respectively. The variation of pollutant concentrations in terms of BOD, COD, SS and TP was large depending on the flow rate of stormwater, while a little change of TN concentration was investigated. Depending on the rainfall event, the difference of flowrates, and runoff loadings was large, while the difference of those for dry wether period was not noticeable for various sub-basins. In the results of unit load calculation, the range of 153-277 kg/ha/yr for BOD, 222-422 kg/ha/yr for COD, 264-432 kg/ha/yr for SS, 40-70kg/ha/yr for TN, and 13-25 kg/ha/yr for TP was obtained for Hongjechun, Sinyoungchun, and Gukichun sub-basins. Compared with the previous studie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founded to be acceptable.

방동저수지 유역의 토지이용에 따른 비점오염 부하발생 원단위 산정 (Load factor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owing to Land Use in Bangdong Reservoir Watershed)

  • 문종필;김태철;안병기
    • 농업과학연구
    • /
    • 제26권2호
    • /
    • pp.61-69
    • /
    • 1999
  • 1. 방동저수지 상류 5개 토지이용별 유출수량과 수질조사를 실시하고 비점오염원 원단위를 산정 하였다. 산지에서 SS 84kg/ha/년, BOD 4.2kg/ha/년, COD 15kg/ha/년, T-P 0.1kg/ha/년, T-N 1.1kg/ha/년으로 배출부하원단위가 가장 작았다. 거주지역에서 SS 319kg/ha/년, BOD 34kg/ha/년, COD 98kg/ha/년, T-P 5.6kg/ha/년, T-N 8.7kg/ha/년으로 배출부하 원단위가 가장 많았다. 2. 비점오염원은 강우-유출과 관련이 있어 전체 비점오염원의 약 46%가 7~8월에 유출되며, 건기인 10월에서 4월까지는 연간 총량의 약20%, 5월에서 9월까지는 약80%가 유출된다. 3. 유기물질인 SS, BOD, COD는 거주지역에서, 영양물질인 T-N은 논 밭지역에서 T-P는 논 밭 거주지역 및 방목지에서 많이 유출되고 있다. 4. T-N, T-P 등 영양물질이 농지에서 많이 유출되어 저수지와 같은 폐쇄수역에 부영양화로 인한 수질악화의 원인이 된다. 비점오염원이 우기에 집중배출되어 공공수역에 큰 오염원으로 작용하므로 도시하천을 이용한 비점오염원 관리방안과 비점오염원 발생원 저감방안을 적극 추진하여야 한다.

  • PDF

격자기반의 지형 및 지리정보자료와 GIS분석기법을 이용한 유역의 유출량 및 오염부하량 추정 (Estimation of Flows and Pollutant Loads from GIS Analysis using Cell-based Geospatial and Georgraphic Information Data)

  • 조재명;이미란;윤홍식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81-392
    • /
    • 2011
  • 본 연구는 하천 유역에 대한 수문분석의 대표적인 요소인 유출량과 오염부하량을 추정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수문학적 모델링 방법과는 달리 GIS분석기법을 적용하였다. 분석을 위한 기본 자료로는 토양도, 토지이용도, 수계도, 강수량 등의 유역형태 및 기상학적 특성을 정량화한 지리정보자료와 수치표고모형과 같은 지형 자료를 이용하였다. 토양, 토지 이용 인자에 대한 기준값으로는 미국토양보존국(SCS)에서 제시하고 있는 토양 분류 기준 및 유출곡선지수(CN)와 환경부에서 제시하고 있는 토양의 기대평균농도(EMC)를 적용하였다. 고흥군 고읍천 유역의 2010년 7월~8윌의 9개 강우사상에 대하여 유출량 및 오염부하량의 추정값과 실측값을 비교한 결과, 유출량은 평균 3.86%의 차이를 갖으며, 오염부하량은 평균 5.67%의 차이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각 강우사상별 분석결과 추정 유출량은 강우량이 적을수록 그 오차가 매우 커지며, 추정 오염부하량은 강우량 및 계절의 변화에 따라 오차량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우리나라의 토양 및 토지이용에 적합한 배수 분류기준과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기대평균농도가 제시된다면 보다 정확한 유출량 및 오염부하량의 추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