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astringent Persimmon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1초

Dyeing Fastness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Cotton Dyed with Astringent Persimmon Juice

  • Jung, Jin-So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8권3호
    • /
    • pp.27-38
    • /
    • 2019
  • I reviewed about dyeing fastness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the non-mordant dyed cotton and iron mordant dyed cotton with astringent persimmon juice. In the UV-VIS spectrum of astringent persimmon juice, the maximum absorption wavelength of the juice was 272.0 nm, which was a characteristic peak of tannin. In dyeing fastness, light fastness of the non-mordant dyed cotton was a little low at grade 2~3. But by the iron mordant treatment, the light fastness was good at grade 4. Dry cleaning fastness to discoloration and contamination was excellent at grade 4~5 for both the non-mordant dyed cotton and iron-mordant dyed cotton. Their rub fastness were grade 3 and grade 2~3 respectively, in the dry condition, and grade 2~3 and grade 3 respectively, in the wet condition. In the perspiration fastness of the non-mordant dyed cotton, the discoloration from acidity and alkalinity was grade 3~4 and grade 3, respectively, and contamination from acidity and alkalinity was relatively good at grade 4. Meanwhile, in the perspiration fastness of the non-mordant dyed cotton, discoloration from acidity and alkalinity was fair, both recording grade 3~4, and contamination from acidity and alkalinity was very good, both recording grade 4~5. In the ultraviolet protection effect of the non-mordant dyed cotton and iron-mordant dyed cotton, the ultraviolet protection factor was both 50+, both of which showed an excellent ultraviolet blocking effect. And the protection rate of UV-A appeared 98.4% and 99.1%, respectively, and the protection rate of UV-B showed 98.7% and 99.2, respectively. In addition, both exhibited an excellent deodorization rate over 99.9% or more, irrespective of the passage of time. Also, both showed an excellent antimicrobial activity over 99.9% or more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nd Klebsiella pneumoniae.

떫은감 '청도반시'의 알코올 발효조건 모니터링 (Monitoring of Alcohol Fermentation Condition for 'Cheongdobansi' Astringent Persimmon (Diospyros kaki T.))

  • 이수원;이오석;장세영;정용진;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90-494
    • /
    • 2006
  • 청도반시를 이용하여 감와인 및 증류주 개발을 위해 감과실의 알코올 발효특성을 조사하였다. 알코올 발효에 적합한 균주를 선별한 결과 S. kluyveri DJ97이 알코올 함량 10.8%, 알코올 수율 96.3%로 높게 나타났으며, 메탄을 함량은 935 ppm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초기 $^{\circ}Brix$와 가수량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초기 $22^{\circ}Brix$, 가수 120%(v/w)군간에서 알코올함량 10.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ectinase 무처리군에서 알코올 함량이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Pectinase 처리군은 무처리군에 비해 acetaldehyde, n-propanol 및 isobutanol 함량은 낮게 나타났으나 methanol 함량은 증가시키므로 pectinase처리를 하지 않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감의 이용(利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4보(第四報) -$CO_2$탈삽처리중(脫澁處理中) Acetaldehyde, Alcohol 및 Tannin의 변화(變化)에 대(對)하여-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Persimmons(Part 4)-On the Changes of Acetaldehyde, Alcohol and Tannin During the Removal of Astringency by Carton Dioxide-)

  • 최종욱;손태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0권1호
    • /
    • pp.105-108
    • /
    • 1977
  • The changes of the contents of acetaldheyde and alcohol in Chungdo Bansi was determined during the removal of astringency by treatment of $CO_2$.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 of acetaldehyde and alcohol contents were determined to comparedits contents in the part of Chungdo Bansi and Buju, respectively. It showed that the variation of acetaldehyde and alchohol contents was higher 10 times non-astringent persimmon than astringent one, and acetaldehyde and alcohol contents in the core of non-astringent persimmon and sweep one were the higher than the other parts. It was assumed that acetaldehyde and ethanol contents had intimately relation to removal of astringency.

  • PDF

단감 품종 판별을 위한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마커 적용 검정 (The Application of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Markers for Discrimination of Sweet Persimmon Cultivars)

  • 박여옥;최성태;손지영;김은경;안광환;박지혜;정완규;장영호;김동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7호
    • /
    • pp.614-624
    • /
    • 2020
  • 최근 next-generation sequencing technology의 발달로 유전체 분석 사례는 증가하고 있으나, 단감에 있어 적용 가능한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마커 및 적용 결과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우리나라 고유 떫은감 5품종으로부터 개발된 SNP primer 들을 단감 품종에 적용하여 사용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수행하였다. Jung 등에 의해 개발된 19개 SNP primer들의 PCR 조건을 확인 한 후 본 실험의 전기영동 방식으로는 분석이 매우 어려웠던 8개의 primer를 제외한 11개의 SNP primer들을 최종 선발하였다. 1, 2차 검증을 통해 최종 선발된 11개의 SNP primer 들을 76품종 및 계통(불완전단감 20, 완전단감 30, 완전떫은감 20, 불완전떫은감 6)에 적용한 결과 38품종 및 계통(불완전단감 8, 완전단감 18, 완전떫은감 9, 불완전떫은감 3품종)은 각 품종 및 계통 간 구분을 할 수가 없었다. 그러나 최종 선발된 11개의 SNP primer 들을 신품종에 적용한 결과만를 보면 '감누리', '단누리', '홍추'와 '자미시', '미감조생'을 동시에 구분할 수 있어 단감 신품종 판별을 위한 특이적 마커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단감 잎 가해 해충으로 국내 처음 보고되는 미소 나방류 3종 (Three Microlepidopterous Insects, First Reported as Pests of the Leaf of Non-Astringent Persimmon in Korea)

  • 임유진;최윤정;변봉규;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29-132
    • /
    • 2013
  • 2012년 경남 창원의 농약 무살포 단감원에서 단감 잎을 가해하는 해충을 조사한 결과 국내에서 단감 해충으로 기록되지 않은 3종을 채집 동정하였다. 동정된 종은 몸노랑들명나방, 우묵날개원뿔나방, 사과잎말이나방이었다. 이들의 채집기록, 형태, 기주와 간단한 생태를 조사하여 보고한다.

포트포트폴리오 기법을 이용한 단기소득임산물의 최적 생산관리 전략 - 주요 유실수를 중심으로 - (Optimal Production Management Strategy for Non-timber Forest Products using Portfolio Approach - A case study on major fruit trees -)

  • 원현규;전준헌;이성연;주린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2호
    • /
    • pp.248-253
    • /
    • 2015
  • 본 연구는 단기소득임산물에 대한 최적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의사결정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포트폴리오 기법을 적용하였다. 대상품목은 밤, 대추, 호두, 떫은감이며,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임산물생산비 통계의 생산량, 생산비, 조수입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단위당 순수익을 분석하였다. 포트폴리오 모델에서 목적함수는 투자위험을 나타내는 유실수 품목의 수익 변동폭을 최소화하는 것이고, 제약조건은 최소 기대수익률을 달성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2013년 유실수의 생산비율 밤 7%, 대추 20%, 호두 5%, 떫은감 68%과 비교하여 포트폴리오에서는 미래의 유실수 생산비율을 평균 밤 10%, 대추 9%, 호두 3%, 떫은감 78%로 구성하는 것이 안정적인 소득증대를 위해서 보다 효율적인 것으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원인은 호두와 대추가 순수익이 가장 많았지만 생산량과 수익의 등락폭이 상대적으로 컸고, 떫은감과 밤은 상대적으로 안정된 생산량과 일정한 수익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신선 과일과 채소의 보관에 사용된 옹기의 저장성 향상 효과 (Effect of Korean Earthenware Container (Onggi) on Preservation of Fresh Fruits and Vegetables)

  • 정미진;김남용;안덕순;이동선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6권2_3호
    • /
    • pp.35-42
    • /
    • 2010
  • 바나나, 단감, 딸기, 방울 토마토, 팽이버섯의 저장에서 보관용기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플라스틱 용기와 유약 처리 옹기와 함께 유약을 바르지 않은 옹기와 자기(혹은 유리 용기)를 사용하였다. 유약처리옹기가 바나나, 단감, 방울토마토의 신선도 유지에 효과적이었고, 딸기와 팽이버섯에 대해서는 일부 약간의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거나 미미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 품목은 에틸렌에 대해 민감한 품목으로서 옹기의 에틸렌 흡착이 신선도 유지에 관계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규명이 필요하다.

  • PDF

감마선 처리에 의한 떫은감 과육의 세포벽 성분 및 물성 변화 (The change on cell wall composition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 of astringent persimmon fruits by gamma irradiation)

  • 김병오;차원섭;안동현;조영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12-51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감마선 조사가 떫은감 과육의 세포벽변화, 수렴성 및 경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감마선 조사 결과 떫은감 과육 중의 가용성 탄닌 함량의 변화는 대조구의 $181.04{\pm}1.72{\mu}g/g$에 비해 처리 방사선의 양이 5~20 kGy로 증가할수록 $146.31{\mu}g/g$에서 $128.09{\mu}g/g$으로 과육내의 가용성 탄닌의 양이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감과육의 경도는 방사선을 조사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해 방사선 조사한 감과육의 경도가 감소하였다. 세포벽 성분의 변화는 알콜불용성 물질의 경우 대조구의 39.3 mg/g에 비해 방사선 처리의 경우 37.2 mg/g로 낮아졌다. 수용성 물질의 함량은 대조구의 경우 11.4 mg/g이었으나, 방사선 조사의 경우 13.9 mg/g로 높아졌으며, 세포벽 성분의 함량은 대조구의 경우 26.6 mg/g였으나, 방사선 조사의 경우 23.1 mg/g로 낮아져, 떫은감 과육이 방사선조사에 의해 숙성이 일어나 세포벽성분의 함량이 감소하고 수용성물질의 함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벽 구성다당류 중 lignin의 함량과 pectin질의 함량은 대조구의 0.82 mg/g, 3.56 mg/g에 비교해 방사선 조사의 경우 0.77 mg/g, 3.14 mg/g로 감소하였다. 산가용성 hemicellulose의 함량은 lignin과 pectin처럼 방사선 조사에 의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알칼리 가용성 hemicellulose와 cellulose는 방사선조사에 의해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감과육에 존재하는 세포벽 분해 및 연화효소인 polygalacturonase, pectinesterase와 $\beta$-galactosidase의 활성의 경우 방사선 조사에 의해 모든 효소활성이 증가하였다. 방사선 처리감의 관능검사 결과 수렴성은 대조구의 경우 매우 떫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방사선처리 후에는 거의 떫지 않게 느껴졌고, 과육의 경도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대조구는 딱딱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방사선처리 후에는 약간 물렁해 지는 것으로 나타나 방사선처리에 의해 탄닌의 중합이 일어나며 과육의 숙성도 동시에 발생하였다. 따라서 감마선 처리는 떫은 감의 수렴성 제거와 숙성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초위성 마커를 이용한 감(Diospyros kaki Thunb.)의 유연관계 분석 (Evaluation of Genetic Diversity among Persimmon Cultivars (Diospyros kaki Thunb.) Using Microsatellite Markers)

  • 황지현;박여옥;김성철;이용재;강점순;최영환;손병구;박영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632-638
    • /
    • 2010
  • 총 20개의 감 SSR primer set을 사용하여 완전단감(PCNA) 12품종, 불완전단감(PVNA) 13품종, 불완전 떫은감(PVA) 15품종, 완전 떫은감(PCA) 8품종 등, 총 48개 유전자원의 유전적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획득된 114개의 다형성 밴드를 이용하여 UPGMA 방식으로 유사도 및 집괴분석을 수행한 결과 48개 품종들은 크게 2개의 그룹(cluster)으로 나뉘어졌으며, 제 1 cluster는 다시 4개의 subcluster를 형성하였다. 이는 탈삽의 특성을 기준으로 분류한 품종군과 대체로 일치 함을 알 수 있고, 품종군간의 유연관계에 있어서는 완전단감군은 불완전 단감군과, 그리고 완전 떫은감은 불완전 떫은감군과 유연관계가 더욱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평균 유사도의 값은 0.499였고 품종간 가장 높은 유사도 값(0.954)를 나타낸 것은 '청도반시'와 '함안반시'였고, 가장 낮은 유사도 값(0.192)를 나타낸 것은 '대마반'과 '애탕'이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2SSR primer 들은 유럽 감품종으로부터 개발되어 보고되었지만, 일본 및 국내 품종의 연구에서도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었고, 이들 마커들을 통해, 48개 품종 중 청도반시(Cheongdo-Bansi)와 경산반시(Gyeongsan-Bansi)를 제외한 모든 품종간 구별이 가능하였다. 이는 향후 신품종 개발시 품종보호를 위한 품종 특이적 마커로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단감 잎을 가해하는 새로운 나방류 해충 3종 보고 (Three New Lepidopteran Insect Pests of Persimmon Leaf in Korea)

  • 김성연;김정민;장미연;장신애;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11-114
    • /
    • 2015
  • 경남 창원과 진주의 농약 무살포 및 유기농 단감원에서 단감 잎을 가해하는 해충을 조사한 결과 국내에서 단감 해충으로 기록되지 않은 3종을 채집 동정하였다. 동정된 종은 가을뒷노랑밤나방, 푸른빛집명나방, 감잎가는나방(신칭)이었다. 이들의 채집기록, 형태, 기주와 간단한 생태를 조사하여 보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