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ws contents analysis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24초

정부의 위기 상황에서 의제설정과정 참여자들의 메시지 분석: 파라벤 치약 논란과 정부의 대응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Messages Produced by Participants in the Agenda Setting Process during a Government's Crisis Situation: Focusing on the Ministry of Drug and Food Safety's Response to Paraben Toothpaste Issue)

  • 이미나;홍주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60-476
    • /
    • 2015
  • 위기 커뮤니케이션에 있어 SNS를 비롯한 뉴미디어 활용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구체적인 활용 방안에 대한 고찰과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지난 해 논란이 되었던 식약처의 '파라벤 치약' 사례를 중심으로 정부의 위기관리 체계를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위기 시 대언론관계 관리와 뉴미디어의 역할에 대해 실무적 함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정책 이슈의 확산 과정을 SNS 중심의 의제설정 관점에서 살펴보고, 정책결정과정의 주요 참여자인 정부, 언론, 국민들이 정부의 위기 상황에서 어떤 메시지를 생산하였는지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파라벤 치약 이슈가 논란이 되었던 한 달여 동안의 사건 전개 과정을 4단계로 구분하고, 단계별로 식약처의 해명 자료와 주요 언론의 보도 기사(총 45건), 관련 트윗(총 645건)을 텍스트 분석, 어절 분석,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정부, 언론, 국민이 생산한 메시지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식약처의 위기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의 문제점에 대해 논의하고, 위기 발생 시 정부의 대언론 관계 관리 및 뉴미디어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체험관광객(트라이투어슈머:Trytoursumer)의 관광 소셜미디어 채널 중요도 분석 연구 (Importance Analysis on the Trytoursumer Social Media Channel)

  • 김영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4호
    • /
    • pp.193-200
    • /
    • 2016
  • 본 연구는 체험관광객의 관광 소셜미디어 채널의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관광 소셜미디어 채널의 요인을 관광커뮤니케이션 모델, 관광협업모델, 관광콘텐츠공유모델, 관광엔터테인먼트모델 등으로 분류하였다. 계층적 의사결정 방법인 AHP를 이용하여 실증 분석한 결과, 중요도의 측정결과로서 관광커뮤니케이션모델이 상대적으로 가장 주요한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관광콘텐츠공유모델, 관광협업모델, 관광엔터테인먼트모델 등의 순으로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광 소셜미디어 채널의 유형 14개의 전체평가요소 우선순위에서 관광커뮤니케이션영역의 소셜네트워킹의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관광협업영역의 소셜뉴스, 관광커뮤니케이션영역의 마이크로블로그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통해 체험관광객의 소셜미디어 채널 효율성 증대 및 활용 전략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 언론매체의 이념성향과 뉴스구성에 대한 연구 : 미 대선 후보 '버니 샌더스' 관련 보도의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Ideological Orientation and the Construction of News about Korean News Media : Focused on a Semantic Network Analysis for Articles about 'Bernie Sanders')

  • 이혜미;김혜영;유승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180-191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주요언론이 이념성향에 따라 보도 프레임을 달리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미국 대선 후보 주자였던 '버니 샌더스'를 대상으로 뉴스보도의 의미연결망을 분석하였다. 버니 샌더스라는 인물은 '미국'이라는 보수의 가치와 '불평등 해소'라는 진보의 가치를 동시에 지닌 인물이이서 언론의 이념적 차이가 잘 드러날 수 있는 대상이기도 하다. 보수언론과 진보언론의 빈도순위를 비교해 본 결과, 보수언론은 '사회주의자'와 '흑인'이라는 단어를, 진보언론은 '불평등'과 '문제'라는 단어를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수언론과 진보언론은 '한국'이라는 동일한 단어를 가지고 전혀 다른 의미구성을 보였다. 진보언론은 샌더스가 지적하는 사회문제와 기성정치에 대한 비판을 '한국'사회에 접목하여 이야기하고자 했다면, 보수언론은 '한국'이라는 단어와 구체적인 정당, 그리고 정치인의 이름을 거론해 샌더스와 닮았다고 한 발언에 대해 노골적인 표현으로 비난했다. 이는 동일한 단어를 사용함에도 전혀 다른 관점과 맥락에서 보도하는 경향성을 파악한 것으로, 사안에 대한 언론사의 의미구성이 이념적 지향에 따라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주요 단어들의 사용빈도 뿐만 아니라 단어들 간의 연결 강도와 중심성을 토대로 뉴스구성의 맥락을 해석했다는 점에서 보도분석을 위한 방법론의 확장에도 기여하고자 하였다.

Monitoring of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in the Articles of Four Major Daily Newspapers

  • Kim Kyung Won;Moon Eun Hye;Ahn Yun;Seo Jung Sook;Yoon Eun Young;Bae Hyun Joo
    •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 /
    • 제7권3호
    • /
    • pp.156-162
    • /
    • 2005
  • This study was done to analyze the contents of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in daily newspapers. Articles in four newspapers(Chosun, Donga, Hankook, Joongang Ilbo) published during November 2003 to April 2004 were monitored. In analysis, 216 articles were used. Classifying the articles by topics, cuisine/cooking $(19.4\%)$ and food/ nutrition related to diseases $(18.1\%)$ were most common. Articles regarding food sanitation or safety, obesity and diet accounted for $12.5\%$, respectively. Other topics in articles included food culture$(11.1\%)$, balanced meals/eating habits $(10.6\%)$ and functional foods $(7.9\%)$. About $77\%$ of articles were written for unspecified persons. Regarding the types of articles, news articles made up $44\%$ of monitored articles, followed by feature articles $(14.8\%)$, advertisement by articles $(12.9\%)$, serials by professionals $(11.6\%)$, and information of daily life $(8.8\%)$. Nineteen percent of articles did not have specific sources, while $20.8\%$ were based on interviews with professionals. Other sources of articles included research reports $(14.8\%)$, field reports $(12.1\%)$ and literature $(8.8\%)$. Contents analysis showed that four-fifth of articles were evaluated as 'contents and titles are consistent', 'not difficult to understand', 'contents are not exaggerated', and 'information is not overgeneralized'. Seventy-one percent of articles were evaluated positively on increasing awareness regarding food/nutrition, while $56.5\%$ were evaluated as providing practical information. The major problems in articles were 'intentional or indirect advertisements of specific items/companies' ($74.6\%$ of articles applicable), 'lacking in scientific basis/explanation' $(65.3\%)$, 'presenting unbalanced information due to focusing on specific area' $(46.7\%)$, 'unclearness of contents' $(38.4\%)$, and 'lacking in explanation of technical terms' $(35.2\%)$. To provide reliable information, stating the sources of articles clearly and supplementing the articles with scientific basis and balanced information on specific topics are needed. It is also necessary to explain the contents and technical terms clearly and to reduce the contents of intentional, indirect advertisement in nutrition-related articles.

공공정보화사업 제안요청서 품질분석 : 시스템 운영 개념을 중심으로 (Quality Analysis of the Request for Proposals of Public Information Systems Project : System Operational Concept)

  • 박상휘;김병초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7-54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evaluation model to measure the clarification level of stakeholder requirements of public sector software projects in the Republic of Korea. We tried to grasp the quality of proposal request through evaluation model. It also examines the impact of the level of stakeholder requirements on the level of system requirements. To do this, we analyzed existing research models and related standards related to business requirements and stakeholder requirements, and constructed evaluation models for the system operation concept documents in the ISO/IEC/IEEE 29148. The system operation concept document is a document prepared by organizing the requirements of stakeholders in the organization and sharing the intention of the organization. The evaluation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focuses on evaluating whether the contents related to the system operation concept are faithfully written in the request for proposal. The evaluation items consisted of three items: 'organization status', 'desired changes', and 'operational constraints'. The sample extracted 217 RFPs in the national procurement syst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valuation model proved to be valid and the internal consistency was maintained. The level of system operation concept was very low, and it was also found to affect the quality of system requirements. It is more important to clearly write stakeholders' requirements than the functional requirements. we propose a news classification methods for sentiment analysis that is effective for bankruptcy prediction model.

소셜미디어 데이터에 기반한 디지털 헬스케어 연구 동향 (Digtal Healthcare Research Trend based on Social Media Data)

  • 이택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515-526
    • /
    • 2020
  • 디지털 헬스케어는 의료 분야와 IT가 결합한 분야이며 소셜미디어에서도 디지털 헬스케어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제공되고 있다.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를 통해서 헬스케어와 관련된 자료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디지털 헬스케어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서 Naver와 Daum의 뉴스와 블로그에서 2008년 1월에서 2019년 6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기간별로 빈도가 높은 주요한 키워드들을 추출하여 워드클라우드로 시각화하였고 주요 키워드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분석을 하였다. 2008년에서 2011년 까지는 의료 분야 및 IT가 결합한 연구, 2012년에서 2015년까지는 의료 분야 및 IT를 기반으로 다양한 융합연구, 2016년에서 2019년 6월까지는 빅데이터, 블록체인, 인공지능 등의 4차 산업혁명 기술들을 적용한 융합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소셜 빅데이터 기반 사회적 이슈 리스크 유형 분류 (Social Issue Risk Type Classification based on Social Bigdata)

  • 오효정;안승권;김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1-9
    • /
    • 2016
  • 소셜미디어의 정치사회적인 활용도가 높아짐에 따라 소셜빅데이터 기반 온라인 동향분석 및 모니터링 기술에 대한 수요 역시 급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요구에 부합, 특히 여론 형성의 악영향을 끼치는 부정적 이슈 탐지를 위해 사회적으로 파장이 큰 이슈 중 공공여론이 부정적으로 형성될 이슈를 '리스크'로 정의하고 세부 유형을 분류한다. 리스크 유형 정의를 위해 뉴스 문서집합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슈 분야 즉 도메인별 특성을 파악하여 세부 유형을 정의한다. 또한 뉴스와 같은 공적미디어를 통해 정의된 리스크 유형이 개인화된 소셜 미디어에 나타난 리스크 유형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수행한다. 조사 결과에 따라 6개의 도메인별로 58개의 세부 유형을 정의하고 기계학습 방법을 통해 자동 분류 학습 모델을 구축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 소셜 미디어에 나타난 사회적 이슈 리스크를 자동으로 탐지, 분류가 가능함을 보인다.

실시간 기상 빅데이터를 활용한 홍수 재난안전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Flood Disaster Safety System Using Realtime Weather Big Data)

  • 김연우;김병훈;고건식;최민웅;송희섭;김기훈;유승훈;임종태;복경수;유재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351-362
    • /
    • 2017
  • 최근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통해 새로운 정보를 도출하기 위한 분석 기법들과 이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재난안전은 생활에 밀접한 서비스로 가장 중요하게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기상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홍수 재난안전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방대한 양의 정보를 검색하고 처리한다. 더불어 실시간 정보와 과거에 수집된 정보들을 결합하여 위험요인을 분석하고, 예측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제안하는 시스템은 사용자 메시지 및 뉴스와 같은 실시간 정보와 태풍 홍수 등으로 인한 하천 범람 등과 같은 재난 위험요인을 분석한 위험 예측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안하는 시스템을 통해 향후 발생 가능성이 있는 재난안전 사고 위험에 대비할 수 있다.

잡지 구독 영향 요인 연구 (Factors Influencing on Magazine Subscription)

  • 이용준;김원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286-294
    • /
    • 2012
  • 본 연구는 잡지소비자 499명을 대상으로 잡지종사자들의 전문성 인식, 잡지인지도, 잡지 한 부당 가격, 일반 독서량, 기사 및 광고비율이 잡지구독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SPSS 15.0과 AMOS 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및 구조모형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잡지종사자들의 전문성은 잡지인지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어 잡지소비자들이 잡지종사자들의 전문성이 높다고 인식할수록 잡지인지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잡지종사자들의 전문성은 잡지구독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어 소비자들이 잡지종사자들의 전문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잡지구독량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잡지소비자의 잡지인지도는 잡지구독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어 잡지인지도가 높을수록 잡지구독량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잡지의 한 부당 가격은 잡지구독량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잡지의 기사비율과 광고비율에 대한 인식은 잡지구독량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잡지소비자들의 일반 독서량은 잡지구독량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어 일반 독서량이 많을수록 잡지구독량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VR(Virtual Reality) 저널리즘의 영상텍스트 분석 - 뉴욕타임즈의 <난민(THE DISPLACED)>을 중심으로 (VR Journalism's Image Text Analysis - Based on The New York Times' )

  • 박만수;한동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173-183
    • /
    • 2017
  • 본 연구는 VR저널리즘인 뉴욕타임즈의 <난민(THE DISPLACED)>을 중심으로 영상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난민>의 영상텍스트 분석은 앵글, 쇼트(크기, 길이, 이동), 제한된 이용자 주도형 상호작용(시점, 사운드)의 틀로 분석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앵글은 Normal 앵글, Low 앵글 위주로 연출되었다. 둘째, 쇼트는 Medium, Full, Long 쇼트 순으로 연출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셋째, 쇼트의 길이는 대부분 롱테이크 연출이 많았다. 넷째, 대부분의 영상은 고정된 쇼트로 구성되어졌다. 마지막으로, 제한된 이용자 주도형 상호작용이다. 이는 두 가지 방법으로 나뉘는데 사운드와 독립된 주체의 움직임을 통한 시점유도와 이용자들에게 사실적 상황 인지를 통한 자유로운 시점으로 상호작용을 유도했다. 본 연구는 VR 저널리즘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논의 전진을 위한 기초 연구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