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Messages Produced by Participants in the Agenda Setting Process during a Government's Crisis Situation: Focusing on the Ministry of Drug and Food Safety's Response to Paraben Toothpaste Issue

정부의 위기 상황에서 의제설정과정 참여자들의 메시지 분석: 파라벤 치약 논란과 정부의 대응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5.05.28
  • Accepted : 2015.06.16
  • Published : 2015.07.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on government crisis management strategies and on the use of SNS in crisis management.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Ministry of Drug and Food Safety's responses to paraben toothpaste issue, media coverage of paraben toothpaste issue, and public responses to paraben toothpaste issue. Through textual analysis and the network analysis of 45 news articles and 645 tweets, this study found that Ministry used one-way communication strategy and mostly negative issues regarding Ministry's crisis response strategies were diffused via the media and Twitter.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media relations and use of SNS in crisis manage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useful implications for government officials and PR practitioners in their crisis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strategy.

위기 커뮤니케이션에 있어 SNS를 비롯한 뉴미디어 활용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구체적인 활용 방안에 대한 고찰과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지난 해 논란이 되었던 식약처의 '파라벤 치약' 사례를 중심으로 정부의 위기관리 체계를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위기 시 대언론관계 관리와 뉴미디어의 역할에 대해 실무적 함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정책 이슈의 확산 과정을 SNS 중심의 의제설정 관점에서 살펴보고, 정책결정과정의 주요 참여자인 정부, 언론, 국민들이 정부의 위기 상황에서 어떤 메시지를 생산하였는지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파라벤 치약 이슈가 논란이 되었던 한 달여 동안의 사건 전개 과정을 4단계로 구분하고, 단계별로 식약처의 해명 자료와 주요 언론의 보도 기사(총 45건), 관련 트윗(총 645건)을 텍스트 분석, 어절 분석,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정부, 언론, 국민이 생산한 메시지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식약처의 위기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의 문제점에 대해 논의하고, 위기 발생 시 정부의 대언론 관계 관리 및 뉴미디어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박경희, "정부의 공공서비스 위기 대응에 대한 국민의 평가.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감성적 소구, 쟁점 관여도, 정부 책임성이 국민의 커뮤니케이션 수용과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 홍보학연구, 제17권, 제3호, pp.414-471, 2013.
  2. D. K. Wright and M. D. Hinson, "How Blogs and Social Media Are Changing Public Relations and the Way It Is Practiced," Public Relations Journal, Vol.2, No.2, pp.1-21, 2008.
  3. 김정미, 김재화, 원광재, "역대 정부의 위기커뮤니케이션 전략 비교연구", 정치커뮤니케이션, 제4호, pp.81-117, 2006.
  4. A. Macintosh, "Characterizing E-participation in Policy-making," System Sciences, 2004. Proceedings of the 37th Annual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5-8 Jan. 2004.
  5. A. Macintosh, "Characterizing E-participation in Policy-making," System Sciences, 2004. Proceedings of the 37th Annual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5-8 Jan. 2004.
  6. R. A. Edwards, "The Moderator as an Emerging Democratic Intermediary: The Role of the Moderator in Internet Discussions about Public Issues," Information Policy, Vol.7, pp.3-20, 2002.
  7. H. Rheingold, Smart Mobs: The Next Social Generation, Cambridge, MA: Basic Books, 2002.
  8. H. Rheingold, Smart Mobs: The Next Social Generation, Cambridge, MA: Basic Books, 2002.
  9. W. T. Coombs, "Protecting Organization Reputations during a Crisi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ituational Crisis Communication Theory," Corporate Reputation Review, Vol.10, No.3, pp.163-175, 2007. https://doi.org/10.1057/palgrave.crr.1550049
  10. F. F. Suarez, "Network Effects Revisited: The Role of Strong Ties in Technology Selec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8, No.4, pp.710-720, 2005. https://doi.org/10.5465/AMJ.2005.17843947
  11. 이미나, 홍주현, "기업의 위기 대응 전략에 따른 공중의 반응 분석: 트위터 상의 이슈 확산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홍보학연구, 제18권, 제4호, pp.30-60, 2014.
  12. W. T. Coombs, "Protecting Organization Reputations during a Crisi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ituational Crisis Communication Theory," Corporate Reputation Review, Vol.10, No.3, pp.163-175, 2007. https://doi.org/10.1057/palgrave.crr.1550049
  13. F. F. Suarez, "Network Effects Revisited: The Role of Strong Ties in Technology Selec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8, No.4, pp.710-720, 2005. https://doi.org/10.5465/AMJ.2005.17843947
  14. 홍주현, 윤해진, "18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의 연설문 네트워크 분석: 단어의 가시성(visibility)과 단어간 연결성(connectivity)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24-44,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9.024
  15. 이창길, "정권 초기의 가치지향과 정책우선순위 :참여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언어네트워크 비교분석", 한국행정학보, 제44권, 제3호, pp.165-189, 2010.
  16. 김영욱, "정치인의 이미지회복 커뮤니케이션 분석: 김영삼 대통령의 IMF사태 관련 언변 중심", 광고학연구, 제15권, 제5호, pp.397-421, 2004.
  17. 김정미, 김재화, 원광재, "역대 정부의 위기커뮤니케이션 전략 비교연구", 정치커뮤니케이션, 제4호, pp.81-117, 2006.
  18. 이현우, 최윤형, "위기관리에서 상황적 위기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전개과정과 향후연구를 위한 제언", 홍보학연구, 제18권, 제1호, pp.444-475, 2014.
  19. C. W. Chung and H. W. Park, "Textual Analysis of a Political Message: The Inaugural Addresses of Two Korean Presidents," Social Science Information, Vol.49, pp.215-239, 2010. https://doi.org/10.1177/0539018409359370
  20. 박별나, 이윤경, 구자을, 홍영수, 김학용, "고등학교 과학 및 생물교과서 과학용어 네트워크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5호, pp.427-435,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5.427
  21. 홍주현, 차희원, "위기 이슈의 발생가능성과 파급효과에 따른 이슈 확산 네트워크 유형 연구: 식품 관련 위기 이슈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제58권, 제2호, pp.365-395, 2015.
  22. S. P. Borgatti, "Centrality and Network Flow," Social Networks, Vol.27, pp.55-71, 2005. https://doi.org/10.1016/j.socnet.2004.11.008
  23. P. A. Gloor and Y. Zhao, "Analyzing Actors and Their Discussion Topics by Semantic Social Network Analysis," Proceeding of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IV'06), 2006.
  24. 임유진, 김영욱, "국내 소셜미디어 이용 현황에 관한 탐색적 연구", 홍보학연구, 제18권, 제1호, pp.41-69, 2014.
  25. A. Jungherr, "Twitter in Politics: Lessons Learned during the German Superwahljahr 2009," CHI, April 10-15, 2010, Atlanta, Georgia,USA. www.cs.unc.edu/-julia/accepted-papers/Superwahljahr.pdf
  26. S. P. Borgatti, "Centrality and Network Flow," Social Networks, Vol.27, pp.55-71, 2005. https://doi.org/10.1016/j.socnet.2004.11.008
  27. 김민지, 김영욱, "미디어, 관계성과 이미지 회복 전략이 공중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수용에 미치는 영향: 신문과 트위터(Twitter) 비교 분석 중심", 한국언론정보학보, 제61호, pp.134-158, 2013.
  28. B. F. Liu, L. Austin, and Y. Jin, "How Publics Respond to Crisis Communication Strategies: The Interplay of Information Form and Source," Public Relations Review, Vol.37, pp.345-353, 2011. https://doi.org/10.1016/j.pubrev.2011.08.004
  29. S. Utz, F. Schultz, and S. Glocka, "Crisis Communication Online: How Medium, Crisis Type and Emotions Affected Public Reactions in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Disaster," Public Relations Review, Vol.39, No.1, pp.40-46, 2013. https://doi.org/10.1016/j.pubrev.2012.09.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