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w-urbanism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9초

뉴욕사례를 통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관점의 도시 오픈 스페이스 디자인 경향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Design Tendency of Urban Open Space from the Viewpoint of Landscape Urbanism in the New York Case)

  • 두보위;홍관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889-904
    • /
    • 2021
  • 현대 도시의 불확실성과 유동성은 전통적인 도시계획에 큰 도전을 제기했지만, 이런 도전은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이 급성장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도시 오픈 스페이스는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중요한 실천의 장으로, 수많은 경관 디자이너들에게 전시의 플랫폼을 제공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핵심적인 내용이 오픈 스페이스 속에서 표현하는 방식을 탐구하고, 국내 오픈 스페이스 디자인 경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때문에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이론과 실천이 창시된 뉴욕에 연구 시각을 집중했다. 연구방법은 도시 오픈스페이스 구성요소와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핵심개념을 바탕으로 분석틀을 구축하여 사례 실증 분석을 중심으로 뉴욕시의 도시 오픈스페이스를 고찰하는 것이다. 사례 분석을 통해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다섯 가지 특징을 알 수 있었다. 즉, 자연 지형 융합이나 모방, 녹색 인프라 구축, 생태 복원력 강조, 무계획적인 사건 대응하는 적응성, 다중스케일에서 부지의 해석이다. 본 연구는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관점에서 제시한 디자인 제언은 향후 국내 도시 오픈 스페이스 디자인 방향에 참고할 가치가 있는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실천적 전개 양상 (Development of Landscape Urbanism in Practice)

  • 김영민;정욱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17
    • /
    • 2014
  •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실천은 두 가지 측면에서 비판을 받아왔다. 하나는 차별화된 설계나 계획의 형태적 대안이 결여되어 있다는 비판이며, 다른 하나는 이론과 실천 사이의 괴리를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연구자들은 실천적 성과를 보여줄 수 있는 추가적인 사례를 지속적으로 제시하거나, 이론적 개념을 토대로 구체적인 설계 전략들을 도출하려고 노력해왔다. 그러나 기존의 접근 방식들은 실천이 이론의 형성에 미친 영향을 간과해온 한계점을 보인다. 본 연구는 실천적 사례를 중심으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전개 양상을 명확히 밝히고, 이론과 실천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여 실천적 이론으로서의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정체성을 재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문헌을 검토하여 수평성, 인프라스트럭처, 프로세스, 생태, 매체, 혼성, 부지, 스케일의 여덟 가지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주요한 이론적 개념을 정리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주요 문헌에서 인용된 사례들 중 51개의 프로젝트를 성격과 시기에 따라 원형적 사례, 선행적 사례, 예시적 사례, 발전적 사례로 구분하고, 실천적 전략과 앞서 도출된 주요 개념들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초기에는 선구적인 프로젝트들로부터 이론적 내용과 개념들을 구성하던 해설적 이론의 성격이 강했지만, 이후 이론적 구조가 갖추어지면서 이론에 기반을 둔 실천적 사례가 등장하면서 생산적 이론으로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원형적 사례, 선행적 사례, 예시적 사례, 발전적 사례들은 그 시기와 성격에 따라 특징적인 방식으로 이론에 영향을 주었으며, 이론적 개념을 새로운 전략을 통해 실천의 형태로 구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실천에 대한 비판에 대해 대응할 실마리를 제시해 주고, 실천적 이론을 지향하는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한계와 가능성을 보다 명확히 파악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ownscape in a High-rise: Imageability and Accessibility of Vertical Malls in Hong Kong

  • Tan, Zheng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143-152
    • /
    • 2015
  • The increasing integration of public space and consumerism in Hong Kong has yielded new urban forms. The emergent vertical malls in Hong Kong and other East Asian metropolises have overturned the existing vertical order of the city. This vertical order is determined by the level of accessibility, but is being challenged by widely adopted vertical circulation technology. Inspired by Fredric Jameson's and Rem Koolhaas' reflections on the cultural significance of vertical transportation,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flict between market logic and urban design requirements in the vertical interior spaces. "Departmentalization," as the current programming formula for vertical malls, can be further optimized by critically applying urban design doctrines such as Kevin Lynch's five elements of city image. It concludes with a statement that the knowledge base of vertical urbanism should be open to a set of new terminology informed by a new technological environment.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비판적 견해에 대한 고찰 - 담론의 내재적 체계를 중심으로 - (Criticism of Landscape Urbanism - Focused on Internal Structures of the Discourse -)

  • 김영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87-104
    • /
    • 2015
  •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이 이룬 성과만큼 담론에 대한 다양한 비판도 함께 제기되어왔다. 오늘날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이론적 구도와 한계를 명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동안 제기된 비판적 견해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각각의 관점에 따라 제기되어온 여러 비판적 견해를 분석할 수 있는 종합적인 해석의 틀이 필요하다는 판단 하에 논리학과 기호학에서 사용되는 내포와 외연의 개념을 도입하여 분석을 진행한다.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전개과정을 비판적 견해를 중심으로 통시적으로 재구성한 뒤, 이를 바탕으로 30여 편의 비판적 견해가 담긴 문헌을 선정하여 분석한다. 비판적 견해의 성격에 따라 내재적 비판과 외재적 비판으로 구분하고 이중 내재적 비판에 해당되는 견해들만을 본 연구의 주제로 다룬다.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에 대한 내재적 비판은 이론, 실천, 그리고 이론과 실천과의 관계로 구분할 수 있다. 이론적 내용에 대한 비판은 개념의 모호함과 개념의 모순을 지적하는 비판들로 나누어진다. 이중 개념의 모호함은 사전적 애매함과 내포적 모호함으로 인해 발생한다. 기존의 개념을 확장적으로 재해석하면서 발생한 개념의 모호함의 문제는 담론의 구조적인 한계를 드러낸다. 실천에 대한 비판의 경우 실천적 결과의 부재, 형태중심적 실천, 기존 조경과의 실천적 차별성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이중 실천적 결과의 차별성 부재는 다수의 경계사례를 허용하는 외연적 모호함으로 인해 나타나는데, 경계사례들이 기존 조경의 외연이나 경계사례와 중복이 되면서 담론의 정체성이 모호해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론과 실천의 관계에 대한 비판은 대부분 실천적 방법론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이에 대한 비판들은 실천적 방법의 오류와 실천적 방법의 부재를 지적하는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이 중 실천적 방법의 부재는 그동안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이 제시한 해답으로는 해결이 될 수 없는 이론의 구조적인 문제에 해당된다. 담론의 구조적인 문제들은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약점이기도 하지만 이론적인 영역을 확장하고 잠재성을 인정받을 수 있었던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향후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방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내재적 비판뿐만 아니라 외재적 비판에 대한 고찰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Signaling Smartness: Smart Cities and Digital Art in Public Spaces

  • Littwin, Karolina;Stock, Wolfgang G.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8권1호
    • /
    • pp.20-32
    • /
    • 2020
  • Informational urbanism is a new research area in information science. In this study, art history joins informational urbanism: Are digital artworks in public urban spaces recognized as essential assets of a smart city? We employed case study research, working with the example of the huge digital media façade of the Arthouse Graz as an artwork in a public space. In a mixed-methods approach, we asked passers-by and interviewed experts on Graz as a smart city and on the Arthouse's role concerning the image of Graz as a smart city. The research found strong hints that indeed digital artworks with large screens or media façades at public spaces are parts of a city's weak location factors as well as of the city's urban structure and may symbolize the city's smartness. A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finding is that artists, computer and information scientists, city planners, and architects should include interactive contemporary digital art into city spaces in order to demonstrate the city's way towards knowledge society.

Conjoined Towers for Livable and Sustainable Vertical Urbanism

  • Moon, Kyoung Sun;de Oliveira Miranda, Miguel Darcy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387-396
    • /
    • 2020
  • While tall buildings are an essential building type to accommodate an ever-growing urban population, as buildings become taller and taller, many design challenges arise. As floor spaces are repeated vertically, the occupants' natural horizontal circulation-based social interactions are limited. As buildings become ever taller, safe evacuation to the ground level becomes more challenging in emergencies. With respect to safety as well as serviceability, one of the most fundamental design challenges of exceedingly tall buildings is their structural systems that make the physical existence of tall buildings possible. While many different design solutions can be sought to resolve these issues as well as other design challenges of extremely tall building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otential of conjoined towers to create more livable and sustainable vertical environments. Emphasis is placed on the social and structural capabilities of conjoined towers in providing enhanced social interactions and more efficient ultra-tall structures. The related brief history of conjoined towers is presented. To understand their current status, contemporary design practices of conjoined towers are discussed. Lastly, a new concept of superframed conjoined towers developed for exceedingly tall building complexes is introduced through design studies. Though envisioning future tall buildings is challenging, conjoined towers can be among the strong candidates toward more livable and sustainable vertical urbanism.

콜린 로우의 건축론 -그의 자유주의와 형식자적 입장- (A Study on the theory, history and criticism of Colin Rowe - A Criticism of his Liberalism and Formalist Approach -)

  • 강혁
    • 건축역사연구
    • /
    • 제17권1호
    • /
    • pp.7-28
    • /
    • 2008
  • Colin Rowe was an important historian, theorist and critic in Modern architecture. His significance in Modern architectural history lies in not only historiography which has changed our view of Modernism but deep theoretical involvement in practice. This study is a critical review and analysis on his formalist approach in Architecture. With a view that his position of formalist has indispensible relationship with liberalism from K. Popper's critical rationalism, this study try to show how his philosophical background has an influence upon his way of seeing architecture, history, form, urbanism, and meaning, etc. And this study also try to explain why the principle of architecture as an autonomous discipline which is the main point of view in Rowe's criticism has been so successful and influential. This study also explain what is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 of Rowe's formalist approach and way of reading buildings. His intelligent way of formal analysis can give us new understandings of how the form generates and the process of design goes on. Furthermore it guide us a new horizon of architecture as a language game. Since his early writings showed both side of formalist approach in architecture and it didn't changed a lot. We can understand his 'Collage City' was a his final answer to his formalist way of mak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we can estemate it as a utopia without utopianism and an ideology without ideological color.

  • PDF

도시재생사업 모니터링 지표 구축 및 적용 방안 연구 - 해외 도시재생 모니터링 지표 고찰을 중심으로 - (The Study on Elaboration and Applications of the Urban Regeneration Monitoring Indicators - Based on Foreign Cases -)

  • 최민아;최지인;양동석
    • KIEAE Journal
    • /
    • 제13권3호
    • /
    • pp.51-60
    • /
    • 2013
  • The necessity of urban regeneration is recently increasing because of the deterioration existing urban area and the slowdown of new development operations. The urban regeneration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private operations by its public characters, which is the basis of public support. This character demands verification of the adequacy for public finance support by monitoring urban regeneration planning and oper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how the monitoring indicators and its application in legal system for urban regeneration through the examination of foreign countries cases. London, San Francisco, and France urbanism regulation and planning system show the measure for introducing urban regeneration monitoring system into korean urbanism institu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by suggesting the circulation structure of urban regeneration by linking planning, operations and monitoring phases. The monitoring system permits improvement of urban regeneration by clarifying objects and ameliorating efficiency by continuos observation and application of its evaluation.

20세기 후반 북한의 '주체건축'에 대한 비평적 연구 - 『건축예술론』을 중심으로 - (A Critical Understanding of 'Juchegeonchuk' in North Korea in the Late 20th Century: Focused on The Art of Architecture)

  • 서명수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6호
    • /
    • pp.39-46
    • /
    • 2018
  • This research scrutinizes the concept of 'Juchegeonchuk' (self-reliance ideology in architecture), which is a key concept to understand the architecture and urbanism of North Korea in the 1970's and 80's. In the 1970's and 80's, Kim Jong-il began to appear in politics in earnest after Kim Il-sung appointed Kim Jong-il as Kim Il-sung's successor to the next generation. There have been many previous studies about 'Juchesasang' (self-reliance ideology) in various fields, except in architecture. On the other hand, the in-depth research into Juchegeonchuk, which was a method to strengthen Juchesasang, was not good enough in architecture. In this sense,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concept of Juchegeonchuk based on the Geonchugyesullon (The Art of Architecture), which embodied the thought of architecture and culture of Kim Jong-il published in 1992. This research scrutinizes the idea of Juchegeonchuk on The Art of Architecture, and its representation in architecture and urbanism in Pyeongyang based on the idea of Juchegeonchuk. It enables to find a new interpretation of North Korea's architecture introduced by Kim, Jong-il in the late 20th centu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