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utral metals (Ni, Cu, Zn)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1초

Evaluation of Metal Biosorption Efficiency of Laboratory-grown Microcystis under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 Pradhan, Subhashree;Singh, Sarita;Rai, Lal Chand;Parker, Dorothy 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8권1호
    • /
    • pp.53-60
    • /
    • 1998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pH, temperature, metal ion concentration and culture density on metal biosorption by the nuisance cyanobacterium Microcystis aeruginosa. Ni biosorption was higher at pH 9.2 than at neutral and acidic pH. In contrast the biosorption of Cu and Zn was maximum at pH 7.0. However, biosorption of Zn was difficult to measure at pH values 9.2 and 10.5, owing to the formation of insoluble complexes. All the test metals (Cu, Zn, and Ni) showed maximum biosorption rate at low culture densities of 40 mg dry wt $1^{-1}$. The biosorption of Cu, Zn, and Ni was maximum at $40^{\circ}C$. However, no worthwhile difference in Zn and Ni sorption was noticed at 4 and $29^{\circ}C$ as compared to $40^{\circ}C$. Of these three metals used Microcystis showed a greater binding capacity ($K_{f}$ value=0.84, Freundlich adsorbent capacity) and accelerated biosorption rate for Cu under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Fitness of mathematical models on metal biosorption by Microcystis confirmed that the biological materials behave in the same way as physical materia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efore using a biosorbent for metal recovery, the environmental requirements of the biosorbent must be ascertained.

  • PDF

경기북부 산업단지 주변 농지의 토양오염도 조사연구 (A Study on Soil Contamination Investigation of Farmland Around Industrial Areas in Northern Gyeonggi Province)

  • 박진호;권경안;정은희;김재광;김지영;오조교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393-400
    • /
    • 2017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on pH, heavy metals, oils and solvents in 34 surface soil samples and the samples are collected at two times for 17 farmland sites around 7 industrial areas in Northern Gyeonggi Province. As a result of pH for soil contamination monitoring network, the range of pH showed 4.4~8.4 and average was 6.3. The range of pH for Agricultural land around industrial area was 6.7~7.5 and average indicated 7.1 that mostly showed neutral condition in this area. he average concentrations of Cu, Pb, Ni, As and $Cr^{6+}$ are lower than Korea soil contamination worrisome levels at region 1 and the mean levels of farmland from the soil quality monitoring network.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Zn, Cd and Hg didn't exceed the soil contamination worrisome levels at region 1 but slightly higher than the mean levels of farmland from the soil quality monitoring network. The heavy metal levels of all samples are within Korea soil contamination worrisome levels at region 1.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tected heavy metal concentrations ranged from N.D. to ~32.7% of Korea soil contamination worrisome levels at region 1. BTEX, TPH, TCE and PCE were not detected in all samples and thus the farmland around the industrial areas were free from oils and solvents contamination.

보은제일폐탄광 주변 하천수의 지구화학적 특징 (Geochemistry of Stream Water around the Abandoned Boeun Coal Mine, Hoenam Area)

  • 전서령;신익종;이규승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0-27
    • /
    • 2001
  • 보은광산지역 하천수의 pH는 $6.8{\sim}8.2$로 약산성에서 약 알카리성에 걸친 수질변화를 보여주며, 건기보다는 우기의 하천수가 산성우의 영향으로 인해 다소 pH가 낮게 나타났다. 방치된 폐석 등의 영향으로 Mg, Ca, $HCO_3$, $SO_4$, Al, Fe, Zn, Ni, Co, Cr, Cd, Sr, U 이 하천수내에 부화되어 나타나며, Na, K, As, Cu, $NO_3$, Cl 등은 낮은 농도함량을 보여 이들 원소에 대해 폐광석으로부터의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인다. 주요 양이온 농도는 Mg>Ca>Na>K의 순서로 함량변화를 보이며, 음이온의 함량변화는 $SO_4>HCO_3>Cl>NO_3$의 순서로 나타나 본 하천수는 $Mg-SO_4$ 타입을 보인다. 하천수의 우기와 건기의 이온의 농도변화는 ${\pm}30$ % 이내에서 나타나며, Na, K, $HCO_3$, U, Sr, Cr은 우기 중에 낮은 농도를 보여 우수에 의해 희석되어졌을 가능성이 크다. 우기중에 높은 농도를 보이는 Ca, Mg, $NO_3$, Cd, Co는 약산성의 우수에 의해 기반암이나 폐석으로부터 쉽게 용출되는 원소들이라 판단되었다. TDS, EC 및 Ca, Na, Mg, $HCO_3$, $SO_4$, Fe, Ni, Sr, U등의 원소는 광산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하류를 향해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이들 원소에 대해서 광폐석이 특히 주요한 오염원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들 원소의 농도를 컨트롤하는 인자는 희석작용이나 흡착작용 등이 복합적으로 관여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광산지역의 하천수내에 일어나는 화학적 현상은 크게 두 가지로 얘기할 수 있다. 철을 함유한 황화광물(황철석 등)의 산화로 인한 Fe과 $SO_4$의 하천수내에 부화현상과 풍화된 기반암에서 탄산의 용출이나 이온교환작용에 의한 중화작용으로 하천은 산성을 띠기보다 오히려 약 알카리성을 띠는 특징을 보인다. 기반암의 영향으로 하천의 지나친 산성화는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보이나 하천내의 이온함량은 비오염수에 비해 극히 높은 값을 보여 방치된 폐석이 잠재적인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알카리상태에서 부화된 철은 철수산화물의 형태로 침전되어 하천의 적화현상을 일으키는 주원인 물질로 작용한다. 이들 철산화물은 침전되면서 동시에 하천내의 용존 중금속을 흡착이나 공침에 의해 동시에 침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방치될 경우 2차적 오염원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어, 이들 철산화물에 대한 보다 상세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려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