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olitsea sericea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1초

거제도 천장산 일대 상록활엽수림의 식물군집구조 특성 (Plant Community Structure Characteristic of the Evergreen Forest, Cheonjangsan(Mt.) at GeoJae)

  • 이광규;이수동;김지석;조봉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08-721
    • /
    • 2019
  • 본 연구는 거제도에 분포하는 난대림대의 식물군집구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에 상록활엽수가 우점하거나 분포하는 천장산 북동사면을 대상으로 조사구를 설정하였다. 조사구는 상록활엽수가 분포하는 능선, 계곡, 경사지 등 천장산을 대표할 수 있는 식생군락과 입지환경의 변화가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31개소의 방형구를 설치하였다. TWINSPAN에 의한 군락분류 결과, 참식나무-굴피나무, 참식나무-때죽나무, 참식나무-참회나무, 곰솔-참식나무, 참식나무-졸참나무, 굴참나무-굴피나무 6개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난대림의 천이경향에 의하면, 곰솔, 낙엽활엽수를 거쳐 상록활엽수로 진행된다라는 연구결과를 반영한다면, 곰솔군락 뿐만 아니라 졸참나무, 굴피나무, 굴참나무 등 낙엽활엽수가 우점하거나 경쟁하는 지역도 참식나무가 우점하는 상록활엽수로 천이가 진행될 것이다. 환경요인과 식생분포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경사도, Na+, K+, 전기전도도, 물리적 특성 중 점토(clay) 등이 식생분포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불갑산 상록활엽수림의 식물군집구조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Mt.)Pulgapsan, Korea)

  • 오구균;지용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0-41
    • /
    • 1995
  • 불갑산지역의 상록활엽수림에 대한 식생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40개 조사구에 대한 TWINSPAN과 DCA Ordination 기법을 적용한 결과 5개 식물군집유형 즉 푸조나무군집, 참식나무-푸조나무-비자나무군집, 낙엽활엽수혼효림군, 갈참나무군집. 굴참나무-갈참나무군집으로 분리되었다. 그러나 불갑산 식생은 천이도중상의 불안정한 식생구조라고 판단된다. 상록활엽수림대에서 극상수종으로 판단되는 참식나무는 푸조나무와 정의 상관관계를, 개서어나무, 굴참나무, 갈참나무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 PDF

Anticancer Activity of Taxillus yadoriki Parasitic to Neolitsea sericea against Non-Small Cell Lung Carcinoma

  • Park, Su Bin;Kim, Ha Na;Kim, Jeong Dong;Jeong, Jin Boo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3-93
    • /
    • 2019
  •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nti-cancer activity and potential molecular mechanism of 70% ethanol extracts of branches from Taxillus yadoriki parasitic to Neolitsea sericea (TN-NS-B) against human lung cancer cells, A549. TY-NS-B dose-dependently suppressed the growth of A549 cells. TY-NS-B decreased ${\beta}$-catenin protein level, but not mRNA level in A549 cells. The downregulation of ${\beta}$-catenin protein level by TY-NS-B was attenuated in the presence of MG132. Although TY-NS-B phosphorylated ${\beta}$-catenin protein, the inhibition of $GSK3{\beta}$ by LiCl did not blocked the reduction of ${\beta}$-catenin by TY-NS-B. In addition, TY-NS-B decreased ${\beta}$-catenin protein in A549 cells transfected with Flag-tagged wild type ${\beta}$-catenin or Flag-tagged S33/S37/T41 mutant ${\beta}$-catenin construct. Our results suggested that TN-NS-B may downregulate ${\beta}$-catenin protein level independent on GSK3${\beta}$-induced ${\beta}$-catenin phosphoryl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Y-NS-B may be a potential candidate for the development of chemopreventive or therapeutic agents for human lung cancer.

  • PDF

두륜산도립공원 상록활엽수림의 식생 특성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the Duryunsan Provincial Park -Focusing on the Daeheungsa(Temple) Area-)

  • 강현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52-564
    • /
    • 2019
  • 본 연구는 낙엽활엽수와 상록활엽수가 혼효하는 곳으로 식물학적 가치가 높은 두륜산도립공원 일대의 상록활엽수림을 대상으로 식생 특성을 파악하고자 진행하였다. 식생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100m^2$ 크기의 조사구 40개소를 설치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두륜산도립공원이 위치한 해남군은 난대림지역으로 40년간의 기상자료를 분석한 결과, 한랭지수 $-8^{\circ}C$ 월, 온량지수 $109.2^{\circ}C$ 월, 연평균강수량 1,310.5mm로 상록활엽수림의 분포적지라 할 수 있다. TWINSPAN에 의한 군락분류 결과, 붉가시나무군락-I, 붉가시나무군락-II, 참식나무-푸조나무군락 총3개 군락으로 분리되었다. 두륜산도립공원 내 상록활엽수림은 교목층에 우점하고 있는 붉가시나무가 아교목층에서도 세력을 넓혀가고 있으며, 붉가시나무 외에 교목성상의 상록활엽수인 참식나무와 생달나무 등이 전 층위에서 확인되고 있는 형태로 굴참나무, 졸참나무, 개서어나무 등의 낙엽활엽수가 도태되고 상록활엽수인 붉가시나무군락으로의 천이가 진행되고 있으며, 국지적으로 참식나무군락이 출현하고 있었다. 종다양도는 붉가시나무군락-I(1.3208), 붉가시나무군락-II(1.4916)에 비해 참식나무-푸조나무군락(1.0798)이 낮게 나타났다.

Preliminary search of intraspecific chloroplast DNA variation of nine evergreen broad leaved plants in East Asia

  • Lee, Jung-Hyun;Lee, Byoung-Yoon;Choi, Byoung-Hee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94-201
    • /
    • 2011
  • In order to acquire information on chloroplast DNA markers to evaluate the genetic diversity of evergreen broad leaved plants, we investigated the intraspecific variation of cpDNA in eight non-coding regions of nine species commonly distributed in East Asia. Although no variations were detected in psbA-trnH, rpoB-trnC, rpl16 and atpB-rbcL regions,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intraspecific variations was detected in the psbC-trnS, rps16 and trnL-F region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se three cpDNA markers are suitable to assess genetic diversity of the species investigated in this study. In contrast, intraspecific variations were detected in seven taxa except Hedera rhombea and Neolitsea aciculata. Neolitsea sericea and the taxa of Quercus had many polymorphic sites.

참식나무(Neolitsea sericea) 기주 참나무겨우살이(Taxillus yadoriki) 가지 추출물의 폐암세포 A549에 대한 세포생육 억제활성 (Inhibitory Effect of the Branch Extracts from Taxillus yadoriki Parasitic to Neolitsea sericea against the Cell Proliferation in Human Lung Cancer Cells, A549)

  • 박수빈;김하나;김정동;박광훈;어현지;안미연;정진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09-115
    • /
    • 2019
  • 이상의 연구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참식나무 기주 참나무겨우살이(TY-NS-B)는 $GSK3{\beta}$에 의한 ${\beta}$-catenin 인산화에 의존하지 않는 ${\beta}$-catenin의 분해 유도를 통해 암세포의 생육과 관련된 c-Myc의 발현을 억제하며, 이것은 비소세포성 폐암의 생육억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결과는 항암을 위한 대체보완소재로 참식나무 기주 참나무겨우살이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추가적 연구를 통해 참식나무 기주 참나무겨우살이가 어떻게 ${\beta}$-catenin의 분해 유도에 관여하는지에 대한 기전연구와 관련 활성물질의 분석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두륜산 상록활엽수림의 식물군집구조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Mt. Turyunsan, Korea)

  • 오구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3-57
    • /
    • 1994
  • 두륜산 지역의 상록활엽수림은 개서어가무가 우점하는 조사구군, 개서어나무와 붉가시나무가 경쟁적 관계에 있는 조사구군, 붉가시나무가 우점하는 조사구군, 참식나무가 우점하는 조사구군으로 크게 대별되었다. 대부분의 상록수림대에서 우점종으로 나타난 붉가시나무는 굴참나무, 졸참나무에서 개서어나무를 거쳐 천이된 수종으로 판단되며, 참식나무로 천이될 것으로 추정된다. 개서어나무와 졸참나무는 붉가시나무, 동백나무, 참식나무 및 후박나무와 경쟁적 관계에 있다고 판단되며, 동백나무와 붉가시나무 그리고 참식나무와 육박나무는 각각 동일한 생태적 적소를 갖는다고 판단된다.

  • PDF

多島海 海上國立公園內의 常錄闊葉樹林에 對한 植物社會學的 硏究 ( 4 ) - 外羅老島의 植生을 中心으로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Dadohae National Marine Park(IV) -The Vegetation of Oinarodo Island-)

  • Kim, Chul-Soo;Jang-Geun Oh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4권1호
    • /
    • pp.49-61
    • /
    • 1991
  • Phytosociological invesstigation of the forest vegetation was carried out in Oinrodo island at the period from June 5th 1990 to June 10th 1990 by Braun-Blanquet's method.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10 communities,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Machilus thunsbergii, Neolitsea sericea, Quercus glauca-Actinodaphne lancifolia, Pinus thunbergii, Chamaecyparis obtusa, Cryptomeria japonica, Quercus acutissima, Quercus variabilis, and Carpinus coreana community.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communities, the actual vegetation map was drawn in 1 : 50,000 scale.

  • PDF

이미지 조사를 통한 자생수종 활용에 관한 연구 -상층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Interior Lanscape Plant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Image -Focused on the Tall Trees-)

  • 조현진;방광자;이남현;이영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10-221
    • /
    • 199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te the visual preference and response between introduced and native trees for utilization of the south native trees in interior space. 1.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was below 500lux at 24 buildings of interior spaces surveyed. Generally the temperature was 24~$26^{\circ}C$, and humidity was 60~70%. 2. Total number of introduced tree species were 9 familiar, 16 genus, 18 species, especially palm genus were the largest tree among them at these surveyed interior spaces, but native trees were only 2 species. The introduced tree of 2 to 3m in height was 46 percent, and the case of 1.2 to 2m was 42 percent. 3. The mean of visual preference was the highest at Rhapis excelsa and howeia belmoreana, and followed with Neolitsea sericea, Daphniphllum macropodum, Listsea japonicum. In the mean of visual preference for selected tree groups, native tree was not different as compared with introduced tree. 4. Visual image factor of the native and introduced trees at interior spaces was classified by individual factor and emotional factor. These 2 factors were shown 66.5% total variance. The native tree was strongly recognized on individual factor, as , and introduced tree was also strongly recognized on emotional factor. 5. In the analysis of visual preference and image, a difference between the selected groups of the introduced and native trees were not shown significant, and the introduced trees were similar to the native trees on the visual image. This result was as follow There was an analogy between Cinnamomum camphora, Ligustrum japonicum and Ficus retusa, Ficus benjamina. There is an analogy between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Cinnamomum japonicum and Ficus retusa, Ficus benjamina. There was an analogy between Elaeocarpus sylvestris var. ellipticus, Fatsia japonica and Rhapis excelsa, Howeia belmoreana. There was an analogy between Neolitsea sericea, Daphniphyllum macropo여, Listsea japonica and Rhapis excelsa, Howeia belmoreana. There was an analogy between Elaeocarpus sylvestris var. ellipticus, Fatsia japonica and Dracaena fragranse, Ficus elastica, Monstera deliciosa.

  • PDF

불갑산도립공원의 식생구조 및 생태적 특성 (Vegetation Structure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 of Bulgapsan Provincial Park)

  • 기정현;이상철;유재혁;강현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10-323
    • /
    • 2024
  • 본 연구는 불갑산도립공원의 식생 특성을 밝히고자 시행되었다. 불갑산도립공원 내 64개의 조사구(단위면적 100m2)를 설치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TWINSPAN과 DCA를 사용하여 군락분리를 실시한 결과, 소나무-굴참나무군락, 소나무-리기다소나무-졸참나무군락, 굴참나무-개서어나무군락, 갈참나무-굴참나무-층층나무군락, 갈참나무-굴피나무군락, 활엽수혼효군락, 굴참나무군락으로 분리되었다. 식생군락구조 분석결과, 소나무와 낙엽성참나무류가 경쟁관계에 있는 군락은 소나무의 세력이 축소되고 있어 낙엽성참나무류로의 천이가 예상되며, 기타 활엽수림의 경우 현재의 상태가 유지될 것으로 보이나 난온대림 및 온대 남부 식생대에서 출현하는 참식나무와 비자나무가 함께 출현하고 있어 모니터링 등의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해 보인다. 군락별 종다양도는 경쟁이 활발한 소나무-리기다소나무-졸참나무군락이 2.6654로 가장 높게 확인되었고, 계곡부의 우수 식생들로 이루어진 활엽수혼효군락이 1.2548로 가장 낮게 확인되었다. 교목층의 우점종 및 특징적인 수목을 대상으로 연령을 분석한 결과, 불갑산도립공원 식생군락의 수령은 대략 37~87년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중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참식나무군락은 48~56년의 수령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