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gative Stain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2초

개에서 아밀로이드 생산 치원성종양 2예 (Amyloid-producing Odontogenic Tumor in Two Dogs)

  • 김형진;강민수;오원석;김은옥;이우열;김은영;김대용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79-281
    • /
    • 2009
  • Amyloid-producing odontogenic tumors were described in the gingival masses of two Maltese dogs. Gingival masses were surgically removed and submitted for diagnosis. On histopathology, the masses were poorly demarcated, infiltrative, and consisted of cuboidal and columnar epithelial cells with palisading pattern. Nodular deposit of congophilic amyloid-like material and mineralization were another features of the tumors. Immunohistochemically, the neoplasticd cells were positive to pancytokeratin and neuron-specific enolase but were negative to vimentin. The amorphous homogeneous eosinophilic materials were positive to Congo red stain and showed apple-green color under the polarized microscope. Based on these results, both cases were diagnosed as amyloid-producing odontogenic tumors in dogs.

Chitinimonas naiadis sp. nov., Isolated from a Freshwater River

  • Padakandla, Shalem Raj;Chae, Jong-Ch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7호
    • /
    • pp.1300-1305
    • /
    • 2017
  • A rod shaped, aerobic, Gram-stain-negative, and motile bacterium, strain $AR2^T$, was isolated from a water sample of Yeongsan river, Republic of Korea. Strain $AR2^T$ clustered closely with the members of the genus Chitinimonas and showed the highest 16S rRNA gene sequence similarity with Chitinimonas prasina $LY03^T$ (96.4%), Chitinimonas viridis $HMD2169^T$ (96.4%), Chitinimonas taiwanensis $cf^T$ (96.2%), and Chitinimonas koreensis $R2A43-10^T$ (94.2%). The predominant fatty acids of strain $AR2^T$ were identified to be summed feature 3 (comprising $C_{16:1}{\omega}7c$ and/or $C_{16:1}{\omega}6c$), $C_{16:0}$, and $C_{10:0}3-OH$. Diphosphatidylglycerol, phosphatidylglycerol, and phosphatidylethanolamine were found to be the major polar lipids. The genomic DNA G+C content was 60.4 mol%. Based on the polyphasic characterization, the isolated strain $AR2^T$ is described as a representative of a novel species in the genus Chitinimonas, for which the name Chitinimonas naiadis sp. nov. (type strain =$AR2^T$ =KCTC $42755^T$ =JCM $31504^T$) is proposed.

요부 경막외 스테로이드 주입 후 발생한 무균성 수막염 -증례 보고- (Aseptic Meningitis after a Lumbar Epidural Steroid Injection -A case report-)

  • 황병문;임정길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8권1호
    • /
    • pp.52-55
    • /
    • 2005
  • Complications following a well conducted epidural steroid injection are rare. A 50-year-old man developed a headache and neck stiffness 2 days after a lumbar epidural steroid injection. Under the impression of aseptic meningitis, fluid and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therapy was started immediately after cerebrospinal fluid (CSF) sampling. The CSF was turbid, and revealed a white blood cell count, protein, glucose and pressure of $550/{\mu}l$ (98% lymphocyte), 107.9 mg/dl, 48 mg/dl (serum 113 mg/dl) and $17cmH_2O$, respectively. The CSF stain and culture, and antibody test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for pathogens were negative. A computed tomography (CT) scan of the brain revealed no abnormality, and a chest roentgenogram and the results of the neurological examination were normal. Under the impression of aseptic meningitis, the condition was managed conservatively, without antibiotics. Seven days later, the clinical symptoms had improved, and the patient discharged.

Microelectromechnical system 소자를 위한 박막형 2차전지용 $SnO_2$ 음극박막의 충방전 특성 평가 (Charge/Discharge Characteristics of $SnO_2$ thin film as an anode of thin film secondary battery for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device)

  • 남상철;조원일;전은정;신영화;윤영수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6-41
    • /
    • 2000
  • $SnO-2$ thin films for thin film secondary battery anode were deposited n glass substrate with stain-less steel collector and charge/discharg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feasibility of $SnO-2$ thin film as a new anode material. The as-deposited films were pure $SnO-2$ phase which is not related to deposition condition. The grain size on the surface of as-deposited films increased with increase of oxygen partial pressure. However, the grain size did not show any change above oxygen partial pressure of 80:20.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as-deposited films increased after decreasing because of resputtering effect of oxygen negative ion in plasma. All films showed typical $SnO-2$ anode characteristics which has a side effect at the first cycle, which is not related to the deposition condition. The charge/discharge experiments of 200cycles indicated that capacity of $SnO-2$ films depended on oxygen contents and surface roughness. The cycle characteristics was determined by initial charge/discharge reaction. The $SnO-2$ film with low initial capacity showed more stable cycle characteristics than film with high initial capacity.

  • PDF

Paenibacillus gyeongsangnamensis sp. nov., Isolated from Soil

  • Hyosun Lee;Dhiraj Kumar Chaudhary;Dong-Uk Ki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4권8호
    • /
    • pp.1636-1641
    • /
    • 2024
  • A Gram-stain-positive, aerobic, white-coloured, rod-shaped bacteria, designated as a strain dW9T, was isolated from soil. Strain dW9T was catalase-positive and oxidase-negative. Strain dW9T grew at temperature of 20-37℃ and at pH of 5.0-7.0. Phylogenetic and 16S rRNA gene analysis indicated that strain dW9T belonged to the genus Paenibacillus with its closest relative being Paenibacillus filicis S4T (97.4% sequence similarity). The genome size of dW9T was 7,787,916 bp with DNA G+C G+C content of 51.3%. The digital DNA-DNA hybridization (dDDH) and average nucleotide identity (ANI) values of dW9T with its closest relatives were found to be <22.0% and <74.0%, respectively. The only respiratory quinone was MK-7, and the major fatty acids were antiso-C15:0 and iso-C16:0. Overall, the comprehensive taxonomic analysis revealed that strain dW9T met all the fundamental criteria to be classified as a novel species within the genus Paenibacillus. Accordingly, we propose the name Paenibacillus gyeongsangnamensis sp. nov., with the type strain dW9T (=KCTC 43431T =NBRC 116022T).

Mesorhizobium koreense sp. nov., Isolated from Soil

  • Hyosun Lee;Dhiraj Kumar Chaudhary;Dong-Uk Ki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4권9호
    • /
    • pp.1819-1825
    • /
    • 2024
  • An aerobic, Gram-stain-negative, catalase-positive, rod-shaped, and motile bacteria, designated as a strain WR6T was isolated from soil in Republic of Korea. Strain WR6T grew at temperatures of 10-37℃, at pH of 5.0-9.0, and at NaCl concentrations of 0-3.0% (w/v). Phylogenetic and 16S rRNA gene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confirmed that strain WR6T affiliated to the genus Mesorhizobium, with the nearest relative being Mesorhizobium waimense ICMP 19557T (98.5%). The genome of strain WR6T was 5,035,462 bp with DNA G+C content of 62.6%. In strain WR6T, Q-10 was sole ubiquinone; summed feature 8 (C18:1ω7c and/or C18:1ω6c) and C19:0 cyclo ω8c were predominant fatty acids; and diphosphatidylglycerol, phosphatidylglycerol, phosphatidylmethylethanolamine, phosphatidylcholine, and phosphatidylethanolamine were major polar lipids. Based on these polyphasic taxonomic data, strain WR6T represents a novel species in the genus Mesorhizobium. Accordingly, we propose the name Mesorhizobium koreense sp. nov., with the type strain WR6T (=KCTC 92695T =NBRC 116021T).

각종 포유동물 갑상선내의 소포방세포에 관한 비교조직학적 연구 (Comparative Histological Study on the Parafollicular Cells of Mammals)

  • 고정식;박상윤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9-108
    • /
    • 1980
  • 본 연구는 포유동물 갑상선내에 출현하는 PF cell의 형태학적 특징을 밝히기 위하여 사람을 비롯한 포유동물 5목 9종 (영장목, 사람; 우제목, 소, 돼지, 흑염소; 식육목, 개; 설치목, 흰쥐, 마우스, 다람쥐; 토끼목, 집토끼)을 재료로 하여 이 세포의 분포상태, 형태 및 염색성을 비교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F cell의 출현수는 종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단위면적당 출현수는 개에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흰쥐, 다람쥐, 마우스, 집토끼, 소, 돼지, 흑염소, 사람의 순서로 적었다. 2. PF cell의 갑상선내의 분포상태를 보면 소, 집토끼, 다람쥐 및 마우스의 경우는 선엽의 부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개, 사람, 돼지, 흑염소 및 흰쥐의 경우는 유의한 차이는 아니나 부위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다. 개에서는 선엽전체에 걸쳐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였고, 흰쥐의 것은 각 부위의 중심부에 모여 있었다. 흑염소와 다람쥐의 것은 후부에 더 많았다. 마우스와 집토끼의 것은 선엽의 중간부에 많이 출현하되 마우스의 것은 주로 중심부에, 집토끼의 것은 후외측부위에 더 많았다. 사람, 소 및 돼지의 것은 중상부와 후상부에 많이 분포하되 사람과 소의 것은 주로 중심부에 더 모여 있었으며 돼지의 것은 곳곳에 밀집되어 나타났다. 3. PF cell의 출현 위치관계를 보면 개의 경우는 대부분 소포사이에 위치하며 무리를 이루는 경우가 많았지만, 집토끼의 것은 소포내 또는 소포질과 소포사이의 결합조직내에 두루 분포하되 무리를 이루고 있는 것이 자주 관찰되었고, 사람, 소, 돼지, 흑염소, 흰쥐, 마우스 및 다람쥐의 경우는 대부분 소포내 또는 소포곁에 낱개로 산재하였다. 4. PF cell의 모습은 식육목인 개의 것만 구형 또는 난원형이고 기타 동물의 것들은 방추형, 원추형, 난원형, 구형 및 세포질 돌기를 가진 세장형등 매우 다양한 모습이었다. 5. 세포의 크기는 소, 개 및 돼지의 것이 다소 크고, 집토끼, 사람 및 흑염소의 것이 중등대였으며 흰쥐, 마우스 및 다람쥐의 것이 다소 작은 편이었다. 6. PF cell내에 함유되어 있는 분비과립의 양에 따른 형별 세포의 출현비율에서 볼때 다과립형 세포가 많은 동물은 돼지, 소, 개 및 다람쥐였고, 희과립형 세포가 많은 동물은 마우스, 흰쥐 및 사람이었다. 7. 은친화성 도은법에서는 모든 동물에서 양성 반응을 볼 수 없었으나, 기타 3가지 염색법에서는 종에 따라 차이는 보이나 모두 양성 반응을 보였다. 즉, 개, 소 및 돼지의 PF cell은 3가지 염색에서 모두 중등도 이상의 강한 양성 반응을 보였고, 흑염소의 것은 Grimelius 은호성 도은법과 HCl-toluidine blue법에서, 집토끼와 다람쥐의 것은 HCl-toluidine blue 법에서, 흰쥐의 것은 Grimelius 은호성 도은법과 HCl-lead hematoxylin법에서, 마우스의 것은 HCl-lead hematoxylin법과 HCl-toluidine blue법에서 중등도 이상의 양성반응을 보였으며, 사람의 것은 3가지 염색법에서 모두 약한 양성 반응만을 나타내었다. 8. 이상의 소견을 종합하면, PF cell의 분포 위치 및 형태등에 종간의 차이를 볼 수 있었다. 또 조직학적 식별을 위한 염색법에 있어서는 양성 반응도가 다르기 때문에 실험 목적에 따라 염색법을 선택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김치발효의 지표로서 미생물군집의 측정 (Determination of Microbial Community as an Indicator of Kimchi Fermentation)

  • 한홍의;임종락;박현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6-32
    • /
    • 1990
  • 김치발효 지표로서 미생물군집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군집크기는 Gram염색법에 의한 현미경직접계수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실온$(15^{\circ}C)$에서 김치발효는 Gram양성균군집, 효모군집 그리고 Gram음성균군집이 순서적으로 천이되었다. Gram양성균군집은 김치를 발효시키는 유산균으로 구성되어 있다. 효모군집의 발달은 김치의 악취를 내는 원인이 되며, Gram음성균군집은 악취와 더불어 김치의 연화작용에 관계된다는 사실이 특정적이었다. 그리고, 외관상의 Gram음성균군은 Gram양성균군집 내의 개체군의 노화와 사멸을 평가하는데 이용될 수 있었다. 특히 저온$(5^{\circ}C)$ 김치발효에서는 효모군집과 Gram 음성균군집이 발달되지 않고 Gram양성균군집만이 발달됨을 알았다. 이 사실로부터 숙성된 김치는 Gram양성균군집에 의하여 만들어짐을 의미한다. 따라서 미생물군집의 발달과 크기는 김치발효의 지표로 이용될 수 있고, 또한 김치숙성도를 수십분 내에 예측하는데 중요한 방법이 될 수 있다.

  • PDF

폐결핵 잔단에서 Amplified Mycobacterium Tuberculosis Direct Test의 임상적 유용성 (Clinical Utility of Amplified Mycobacterium Tuberculosis Direct Test in the Diagnosis of Pulmonary Tuberculosis)

  • 박삼석;곽경록;황지윤;윤상명;류기찬;장철훈;이민기;박순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6호
    • /
    • pp.747-756
    • /
    • 1999
  • 연구배경: 폐결핵을 확진하는 방법은 결핵균의 증명이며 결핵균 동정을 하는 고전적인 방법인 항산균 도말 검사와 결핵균 배양 검사에 대해 상호 보완적으로 폐결핵의 보다 신속한 진단을 하는데 있어서 MTD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97년 11월부터 1998년 5월까지 부산대학교 병원에 내원하여 폐결핵이 의심된 187명의 환자로부터 얻은 호흡기검체 267건(객담 187건, 기관지 세척액 94건)에 대해 각각 항산균 도말, 결핵균 배양 검사, MTD를 시행한 결과를 임상 소견과 연관지어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1) 객담 검체에서 항산균 도말 검사, 결핵균 배양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항산균 도말 양성인 경우 결핵균 배양 검사와 비교한 MTD의 민감도는 75.6%, 도말 음성인 경우 결핵균 배양 검사와 비교한 MTD의 민감도는 61.9%, 특이도는 85.6%였다. 2) 기관지 세척액에서 항산균 도말 검사, 결핵균 배양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항산균 도말 양성인 경우 결핵균 배양 검사와 비교한 MTD의 민감도는 89.5%, 특이도는 28.6%, 도말 음성인 경우 결핵균 배양 검사와 비교한 MTD의 민감도는 89.5%, 특이도는 67.3%였다. 3) 객담과 기관지 세척액을 합한 경우 항산균 도말검사, 결핵균 배양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항산균 도말 양성인 경우에서 결핵균 배양 검사와 비교한 MTD의 민감도는 79.7%, 특이도는 20.0%를 보였으며, 항산균 도말 음성인 경우 결핵균 배양 검 사와 비교한 MTD의 민감도는 75.0%, 특이도는 80.3%를 보였다. 4) 결핵균 배양 결과와 비하여 MTD의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MTD의 민감도는 67.5%, 특이도는 84.3%였으나 불일치 해결후에 MTD의 민감도는 79.2%, 특이 도는 84.4%를 보여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5) 항산균 도말 음성, 결핵균 배양 음성이며 MTD만 양성인 31예에서 임상 경과 추적 및 항결핵제 치료 반응 웅의 분석에서 14예에서만 최종 폐결핵으로 진단되었으며 이 경우 MTD의 민감도는 45.2%였으며 진성 양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6) 항산균 도말 음성, MTD 음성에서 mycobacterium species로 자란 13 건의 검체에서 Mycobacterium tuberculosis와 nontuberculous mycobacteria를 분리하기 위해 accuprobe M.tuberculosis complex culture kit를 이용하여 11건에서 M.tuberculosis로 배양되었으며 2건(17.3%)에서 비결핵 항산균이 배양되었다. 결 론: 이상의 결과로 볼 때 MTD는 빠르고 정확한 결핵균 진단에 유용한 것으로 생각되며, 폐결핵 진단에 있어서 MTD는 항산균 도말 검사 및 배양 검사와 병행함으로써 유용성이 높으며, 고전적인 진단 방법을 대체하기 보다는 상호 보완적인 방법으로 판단된다.

  • PDF

오래된 혈흔 시료에 대한 혈청학적 식별법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serological detection methods on old bloodstain samples)

  • 이민지;안으리;김다혜;신희진;정주연;이성진;전병원
    • 분석과학
    • /
    • 제31권5호
    • /
    • pp.201-207
    • /
    • 2018
  • 혈액은 범죄현장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체액 중 하나이며 용의자를 확인하고 사건 현장을 재구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혈액의 혈청학적 식별법은 법과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오래된 혈흔에 대한 혈청학적 식별법의 비교에 관한 연구는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오래된 혈흔의 다양한 식별법을 비교하고 그 유효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Tetramethylbenzidine, $Bluestar^{(R)}$, Leucomalachite Green, Kastle-Meyer의 네 가지 혈액 예비시험과 Fecal Occult Blood (FOB)와 Rapid Stain $Identification^{(TM)}-Blood$ ($RSID^{TM}-Blood$) 두 가지 혈액 확증시험을 사용하여 비교연구를 수행하였다. 혈흔 시료는 최소 7년부터 최대 30년동안 실온에서 거즈에 보관된 부검 혈액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네 가지 예비 실험에서는 30년까지 경과된 시료를 포함하여 모든 시료에서 양성반응으로 관찰되었다. 반면에 FOB와 $RSID^{TM}-Blood$는 17년 이상 경과된 일부 시료(1988년부터 2001년)에서 음성이 나타나 오래된 혈흔 시료의 경우 확증시험에서 음성반응이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오래된 증거물에 대한 혈청학적 감정에서 적절한 혈액 식별법 선정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불어 법과학적인 감정분야에서 활용할 때 유용한 배경지식이 되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