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ck tumor

검색결과 1,060건 처리시간 0.026초

Postoperative irradiation after implant placement: A pilot study for prosthetic reconstruction

  • Doh, Re-Mee;Kim, Sungtae;Keum, Ki Chang;Kim, Jun Won;Shim, June-Sung;Jung, Han-Sung;Park, Kyeong-Mee;Chung, Moon-Kyu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8권5호
    • /
    • pp.363-371
    • /
    • 2016
  • PURPOSE. On maxillofacial tumor patients, oral implant placement prior to postoperative radiotherapy can shorten the period of prosthetic reconstruction. There is still lack of research on effects of post-implant radiotherapy such as healing process or loading time, which is important for prosthodontic treatment planning.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post-implant local irradiation on the osseointegration of implants during different healing stages. MATERIALS AND METHODS. Custom-made implants were placed bilaterally on maxillary posterior edentulous area 4 weeks after extraction of the maxillary first molars in Forty-eight Sprague-Dawley rats. Experimental group (exp.) received radiation after implant surgery and the other group (control) didn't. Each group was divided into three sub-groups according to the healing time (2, 4, and 8 week) from implant placement. The exp. group 1, 2 received 15-Gy radiation 1 day after implant placement (immediate irradiation). The exp. group 3 received 15-Gy radiation 4 weeks after implant placement (delayed irradiation). RESULTS. The bone mineral density (BMD)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immediate irradiation groups. BMD was similar in the delayed irradiat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irradiated groups exhibited a lower bone-to-implant contact ratio,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rradiated groups also exhibited a significantly lower bone volume and higher empty lacuna count than the control groups. No implant failure due to local irradiation was found in this study. CONCLUSION. Within the limits of this study, the timing of local irradiation critically influences the bone healing mechanism, which is related to loading time of prostheses.

5년간 지속된 미만성 폐결절 (Diffuse Pulmonary Nodular Lesions Persisting for 5 Years)

  • 김경규;김병규;정기환;정혜철;김제형;박상면;이신형;신철;조재연;심재정;인광호;강경호;유세화;오유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5호
    • /
    • pp.802-807
    • /
    • 2000
  • 본 증례는 갑상선암이 폐전이를 일으킨 예로 처음에 목에 작은 림프절이 있었으나 속립성 결핵으로 진단 후 치료한 경우로 갑상선암보다 먼저 폐전이 양상이 뚜렷하게 나타났고 폐결절이 매우 천천히 진행하는 형태를 보여 더욱 진단이 늦어졌다.

  • PDF

비인강암의 방사선치료 : RTOG에서 제시한 PPC와 생존율에 대한 고찰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PPC (Probability of Primary Clearance: a multivariate modelling system predicting tumor clearance proposed by RTOG) and Survival in the Patients with Carcinoma of the Nasopharynx following Radiation Therapy)

  • 조관호;박경란;오원용;전미선;서창옥;김귀언;노준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4권1호
    • /
    • pp.45-50
    • /
    • 1986
  • 1984년 RTOG에서 두경부 편평세포암의 방사선치료시, 원발병소의 완전관해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Multivariate Modelling System을 제시하였다. 저자들은 1971년 1월부터 1983년 12월까지 조직병리학적으로 확진된 비인강암으로 연계대학교 의과대학 연세암센타, 치료방사선과에 내원하여 근치적 방사선 치료를 받은 81예를 대상으로, 그들이 제시한 system에 의해 계산된 PPC(Probability of Primary Clearance : 원발병소 완전관해 가능성)와 생존율과의 관계를 후향적으로 분석 고찰하였다. 전례를 대상으로 한 5년 생존율은 $36\%$, 중앙생존기간은 39개월이었다. 편의상, PPC에 따라 3군으로 구분하였고, 각군에 따른 생존율은 Group 1 (PPC가 $81\%$이상인 27예)은 $66\%$(중앙생존기간: 72개월 이상), Group 2(PPC가 $71\~80\%$의 20예)는 $27\%$(31개월) 및 Group 3(PPC가 $70\%$ 이하의 29예)의 $4\%$(12개월)순이었다. 그러고 각 Group간의 PPC와 생존율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PDF

수술 후 비인두 역류가 동반된 신생아의 후인두림프관종 1례 (A case of postoperative nasopharyngeal reflux associated with retropharyngeal lymphangioma in newborn infant)

  • 구교연;이준석;이순민;박민수;남궁란;박국인;이철;윤춘식;정우희;최홍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2호
    • /
    • pp.258-261
    • /
    • 2010
  • 후인두림프관종은 무증상으로 시작되어 크기의 증가에 따라 주위 구조물들을 압박하여 호흡곤란이나 연하곤란 등의 2차적 증상들을 유발할 수도 있는 드문 양성 종양이다. 현재까지 치료는 수술에 의한 완전 적출이 원칙이나 기도 주변에 인접한 림프종의 경우에는 완전 적출이 어려워 예후가 나쁘다. 신생아에서 후인두림프관종이 보고 된 경우는 드물며, 수술 후에 비인두역류증이 발생된 경우는 극히 드물다. 이에 저자들은 생후 14일에 호흡곤란 및 연하곤란 증상을 보인 신생아에서 후인두림프관종을 진단하여 완전 적출술로 치료하였으며 수술 후에 비인두역류증이 일정 기간 지속되어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후 회복된 1례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구강암 환자에서 방사선 조사에 따른 타액의 세균학적 조성변화에 대한 연구 (THE CHANGES OF SALIVARY MICROORGANISM COMPOSITION AFTER THERAPEUTIC RADIATION FOR ORAL CANCER PATIENTS)

  • 이종호;김명진;정필훈;최진영;서병무;송노헌;안강민;김종원;남일우;김수경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6권1호
    • /
    • pp.18-23
    • /
    • 2000
  • 방사선 조사로 인한 치아우식증 및 점막염 등에 대한 병인 이해 및 예방과 치료에 대한 기초 자료를 구하고자, 1997년에서 1998년 사이에 서울대학교병원 구강악안면외과에 내원한 구강암 환자 중 방사선 치료 예정인 자 7명에서 방사선 조사전부터 조사 중 및 조사후 6개월까지 타액의 total aerobe, candida, Staphylococci, lactobacilli, S.mutans, S. salivarius(mitis, sanguis)의 방사선 조사에 따른 타액의 세균 조성 변화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얻은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에서의 타액내 세균의 동정과 조성 변화에 대한 본자료를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은 유의한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두경부 악성 종양으로 방사선 치료를 받는 환자에서 구강청결용으로 사용할 약제의 항균 범위를 정하는데 기준 참고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 방사선 조사 후 타액의 면역화학적 조성 성분의 변화에 따른 기회감염의 증가와 특정 세균에 의한 감염과의 연관 관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3) 방사선 조사에 따른 면역저하 환자에서 예방적인 항생제 투여시 유의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성문상부암의 치료결과 (Treatment Results for Supraglottic Cancer)

  • 이규찬;김철용;최명선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2권3호
    • /
    • pp.323-329
    • /
    • 1994
  • Purpose: In supraglottic cancer, radiation therapy is used to preserve the laryngeal function but combined surgery and radiation therapy is required in advanced stage. The authors Present the results of radiation therapy alone and combined surgery Plus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for supraglottic cancer. Methods and Material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done for 43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supraglottic larynx who were treated from Feburary 1982 to December 1991, in the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Korea University Hospital. Patient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AJCC staging system was as follows: I, 3($7.0\%$); II, 7($16.3\%$); III, 17($39.5\%$); IV, 16($37.2\%$). Patients' age ranged from 30 to 72 years(median 62). Follow up durations were from 21 to 137 months(median 27). Seventeen patients($39.5\%$) were treated by radiation therapy alone with radiation doses of 6840-7380 cGy and 26 patients($60.5\%$) were treated with surgery plus postoperative irradiation with doses of 5820-6660 cGy. Results: Overall five-year survival rate for all stage was $51.8\%$, with $100\%$ for Stage I and II, $47.3\%$ for Stage III, and $29.2\%$ for Stage III. The difference of the survival rate by sta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52). Five-year survival rates were $100\%$ for locally confined tumor in the supraglottic larynx, $37.5\%$ for transglottic extension, $26.7\%$ for hypopharynx extension, and only two of 5 patients with both transglottic and hypopharynx extension were alive(p=0.0033). Five-year survival rates by neck node status were as follows: $55.0\%$ for NO, $64.3\%$ for N1, $50.0\%$ for N2, and all 2 of N3 were died of disease. Overall survival rate for radiation therapy alone group was $42.8\%$, and it was $56.7\%$ for surgery plus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group wit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215). In Stage I and II, all Patients survived. In Stage III and IV, 5-year survival rate for radiation therapy alone group was $28.5\%$ and $43.4\%$ for surgery plus postoperative irradiation group(p=0.5103). Local control rate was $58.8\%$(10/17) for radiation therapy alone group and $73.1\%$ (19/26) for surgery plus postoperative irradiation group. Three patients from surgery plus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group developed distant metastasis in lungs. Conclusion: Treatment results of radiation therapy alone was excellent in early stage supraglottic cancer. In advanced stage, even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the result of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group was superior compared with radiation therapy alone group. Since 1992, concomitant chemoradiotherapy with hyperfractionated radiotherapy is being used to improve the result of the treatment and preserve the laryngeal function in advanced stage supraglottic cancer.

  • PDF

후두실 탈출증 1례 (A case of prolapse of the laryngeal ventricle)

  • 권우영;손학선;백문찬;김종애;조진규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7년도 제11차 학술대회연제 순서 및 초록
    • /
    • pp.7.1-7
    • /
    • 1977
  • 후두실의 탈출은 Bryce 및 Cranston에 의하면 후두실 점막이 염증성 비후 또는 부종으로 인해 후두강내에 탈출된 것이라고 했다. 환자는 53세의 여자로서 1977년 3월 11일 호흡곤란과 사성의 주소를 갖고 본원에 입원하였다. 입원당시 후두소견은 가성대 하부에 표면이 평활하고 둥근 연홍색의 종물이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 기도를 거의 폐쇄하고 있었으며, 종물에는 궤양은 없었으며 주위 조직에 침윤된 소견은 볼 수 없었다. 경부에는 임파선비대를 촉진할 수 없었다. 호흡곤란이 심하여 기관절개술을 실시한 후에 직달후두경하에 조직검사를 하였으며, 검사결과는 만성염증으로 판정되었다. 1977년 4월 2일 전신마취하에 후두절개술을 시행하여 후두강을 관찰한 결과, 후두실의 앞에서 뒤까지 전역에 걸쳐 기시된 표면이 평활한 판상의 연홍색 종물이 양쪽에서 상대적으로 후두강내로 자라나와 중앙부에서는 거의 서로 맞닿아 있었다. 제거된 종물의 조직검사 결과도 술전과 같이 염증성비후로 나타났다. 수술후 경과는 양호하여 현재 호흡곤란은 완전히 소실되었고 음성은 경도의 사성을 호소할 뿐이고 후두강내에는 종물의 재발 증후는 없었다. 본증은 임상증상, 수술시의 후두강 소견 및 조직소견으로 보아 "후두실 탈출증"이라고 진단되었다. 이 후두실 탈출증은 문헌상 희소한 것으로서 일증례를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The Predictable Factors of the Postoperative Kyphotic Change of Sagittal Alignment of the Cervical Spine after the Laminoplasty

  • Lee, Jun Seok;Son, Dong Wuk;Lee, Su Hun;Kim, Dong Ha;Lee, Sang Weon;Song, Geun Su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0권5호
    • /
    • pp.577-583
    • /
    • 2017
  • Objective : Laminoplasty is an effective surgical method for treating cervical degenerative disease. Howeve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such as kyphosis, restriction of neck motion, and instability are often reported. Despite sufficient preoperative lordosis, this procedure often aggravates the lordotic curve of the cervical spine and straightens cervical alignment. Hence, it is important to examine preoperativ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postoperative kyphotic alignment changes. Our study aimed to investigate preoperative radiologic parameters associated with kyphotic deformity post laminoplasty.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49 patients who underwent open door laminoplasty for cervical spondylotic myelopathy (CSM) or ossification of the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OPLL)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Yangsan Hospital between January 2011 and December 2015. Inclusion criteria were as follows : 1) preoperative diagnosis of OPLL or CSM, 2) no previous history of cervical spinal surgery, cervical trauma, tumor, or infection, 3) minimum of one-year follow-up post laminoplasty with proper radiologic examinations performed in outpatient clinics, and 4) cases showing C7 and T1 vertebral body in the preoperative cervical sagittal plane. The radiologic parameters examined included C2-C7 Cobb angles, T1 slope, C2-C7 sagittal vertical axis (SVA), range of motion (ROM) from C2-C7, segmental instability, and T2 signal change observed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linical factors examined included preoperative modified Japanese Orthopedic Association scores, disease classification, duration of symptoms, and the range of operation levels. Results : Mean preoperative sagittal alignment was $13.01^{\circ}$ lordotic; $6.94^{\circ}$ lordotic postoperatively. Percentage of postoperative kyphosis was 80%. Patients were sub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postoperative Cobb angle change; a control group (n=22) and kyphotic group (n=27). The kyphotic group consisted of patients with more than $5^{\circ}$ kyphotic angle change postoperatively.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ge, sex, C2-C7 Cobb angle, T1 slope, C2-C7 SVA, ROM from C2-C7, segmental instability, or T2 signal chang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1 slope had a strong relationship with postoperative cervical kyphosis. Likewise,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1 slope and postoperative Cobb angle change (p=0.035), a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1 slope and C2-C7 SVA (p=0.001). Patients with higher preoperative T1 slope demonstrated loss of lordotic curvature postoperatively. Conclusion : Laminoplasty has a high probability of aggravating sagittal balance of the cervical spine. T1 slope is a good predictor of postoperative kyphotic changes of the cervical spine. Similarly, T1 slope is strongly correlated with C2-C7 SVA.

암줄기세포의 특성 및 면역관문억제 (Characteristics of Cancer Stem Cells and Immune Checkpoint Inhibition)

  • 최상훈;김형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99-508
    • /
    • 2019
  • 암줄기세포는 전이와 재발의 주요한 요인이 되는 자가재생능력, 분화할 수 있는 능력, 치료에 대한 저항성 및 암 형성 능력의 특성을 가진다. WNT/${\beta}$-catenin, Hedgehog, Notch, BMI1, BMP 및 TGF-${\beta}$와 같은 암줄기세포의 특성을 획득 및 유지할 수 있는 신호기전의 연구 결과가 존재하지만, 현재까지 선택적으로 암줄기세포를 표적할 수 있는 치료 전략은 미미하다. 최근, 면역관문억제제인 CTLA-4, PD-1/PD-L1 단일클론항체는 흑색종, 폐암, 췌장암 및 혈액암에 괄목할만한 임상 시험 결과를 나타냈으며, 긴 항암지속효과와 적은 부작용은 기존 항암제보다 개선 된 모습을 보였다. 또한 두경부편평상피암, 흑색종, 유방암 줄기세포를 선택적으로 제거 하였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면, 면역관문억제제는 이전 항암제에 비해 효과적인 항암전략이며, 동시에 암줄기세포를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리뷰에서는 암줄기세포와 면역관문억제제의 이해를 통해, 면역관문억제제의 암줄기세포 표적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두경부 종양의 적응방사선치료시 변형영상정합을 이용한 합성선량 평가 (The Evaluation of Composite Dose using Deformable Image Registration in Adaptive Radiotherapy for Head and Neck Cancer)

  • 황철환;고성진;김창수;김정훈;김동현;최석윤;예수영;강세식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6권3호
    • /
    • pp.227-235
    • /
    • 2013
  • 적응방사선치료(adaptive radiotherapy, ART)시 획득된 다단계 CT영상으로부터 변형영상정합을 이용하여 전체 처방선량에 대한 주변 정상조직의 합성선량을 획득하고, 각각의 단일 치료계획으로부터 합산되어진 선량을 비교분석하여 임상적 의의를 얻고자 한다. 2011년 5월 1부터 2012년 7월 31일까지 두경부 종양으로 3차원 입체조형치료, 세기변조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 중에서 치료기간 중 종양크기의 변화, 체중의 급격한 감소 등으로 인해 적응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변형영상정합을 이용하여 전체 처방선량에 대한 주변 정상조직의 합성선량을 획득할 수 있었으며, 단일 치료계획으로부터 합산되어진 선량과의 비교에서 하악골($48.95{\pm}3.89$ vs $49.10{\pm}3.55$ Gy), 구강($36.93{\pm}4.03$ vs $38.97{\pm}5.08$ Gy), 이하선($35.71{\pm}6.22$ vs $36.12{\pm}6.70$ Gy), 턱관절($18.41{\pm}9.60$ vs $20.13{\pm}10.42$ Gy)에서 차이의 결과를 보였다. 적응방사선치료시 변형영상정합에 의한 합성선량과 단일 치료계획으로부터 합산되어진 선량과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다단계 CT영상을 사용하는 경우 변형영상정합에 의한 합성선량획득은 주변 정상조직에 대해 보다 정확한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