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e trails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초

지리산국립공원 자연관찰로 주변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around Natural Trails in Mt. Jiri National Park)

  • 조규남;김덕성;조민기;정혜란;문현식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60-269
    • /
    • 2006
  • 이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 자연관찰로의 합리적 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지리산국립공원내 유평, 중산리, 하동, 백무동 지역 자연관찰로 주변의 식생구조를 조사하였다. 교목층과 관목층은 각각 유평 지역 16종과 11종, 중산리 지역 14종과 16종, 하동 지역 10종과 13종 그리고 백무동 지역은 19종과 10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유평, 중산리, 백무동 지역 자연관찰로의 교목층은 굴참나무의 중요치가 가장 높았으나 하동 지역은 소나무의 중요치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유평, 중산리, 하동과 백무동 지역 자연관찰로의 초본층은 각각 70종, 53종, 65종, 57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종다양도 지수는 교목층 $0.752{\sim}1.162$, 아교목층 $0.957{\sim}1.085$, 관목층 $1.283{\sim}1.506$ 범위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리산국립공원 내에 조성되어 있는 유평, 중산리, 하동, 백무동 지역 자연관찰로의 균재도는 전층에서 0.752에서 0.983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구 비슬산지 내 지형자원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Planning of Geomorphic Resources within Biseulsan(Mt. Biseul), in Daegu City)

  • 전영권;손명원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3-66
    • /
    • 2004
  • 비슬산에는 천연기념물 제435호인 비슬산 암괴류를 비롯하여 다양한 화강암 지형이 발달한다. 대견사지 그리고 인근 정상부 고위평탄면에 발달한 참꽃 군락은 비슬산을 찾는 탐방객들에게 많은 문화 생태적 볼거리를 제공해준다. 본 연구에서는 비슬산지에 분포하는 지형자원들을 대상으로 탐방객들의 속성에 따라 몇 가지 유형의 학습 탐방로를 개발하였다. 1) 비슬산 주 등산로를 따라 다양한 화강암 지형이 분포한다(암괴류-나마-박리-다각형균열-애추-핵석-판상절리-토르-수직 암벽-고위평탄면). 2) 비슬산에 발달하는 지형자원들을 대상으로 각 지형의 명칭, 형성원인, 특성 등에 대한 쉽고도 상세한 학습 자료(설명문)를 개발하였다. 3) 비슬산 탐방객이 주로 이용하는 주 등산로를 대상으로 탐방객들의 동선을 고려하여 가장 효율적인 학습장과 학습 탐방로를 개발하였다. 4) 학습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탐방객들의 유형별 체류 시간별에 따라 세 종류의 학습 탐방로를 개발하였다.

  • PDF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nature-based outdoor activities on firefighters in South Korea

  • Sang-Eun Lee;Heon-Gyo Kwon;Jisu Hwang;Hyelim Lee;Dawou Joung;Bum-Jin Park
    • 농업과학연구
    • /
    • 제51권1호
    • /
    • pp.9-23
    • /
    • 2024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a nature-based outdoor activity program in an environment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forest and coastal areas on 30 firefighters (average age: 40.4 ± 9.8 years) who are frequently exposed to dangerous situations. Blood pressure, pulse pressure, and heart rate variability were used as physiological measurement indicators, and the Korean versions of PANAS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WEMWBS (Warwick-Edinburgh mental well-being scale), and PRS (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 were used as psychological measurement indicators. For four days and three nights,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programs at Hallyeohaesang Nature Center and the surrounding mountains, seas, and islands, utilizing forest resources such as trekking on forest trails, walking barefoot, taking aromatic footbaths, meditating in forest oxygen domes, and lying on relaxation chairs, and programs utilizing marine resources such as taking a boat to an island, walking on forest trails with seascape views, and sailing on a yacht. Participants' systolic blood pressure and pulse pressure decreased, and participants' positive emotions increased and negative emotions decreased after the program.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mental well-being and perceived restorative environment.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nature-based outdoor activity programs based on forest and marine resources are effective in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stability of firefighters.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pplied to other high-risk workers for PTSD, who have high stress levels, by combining forest healing and marine healing, and expanding the scope and diversity of programs in more diverse environments and conditions.

무등산(無等山) 도립공원(道立公園)의 등산로(登山路) 이용현황(利用現況)과 등산로(登山路) 선정요인(選定要因) (Present Use of Trails and Influential Factors on Trail Selection -in Mudeung-san Provincial Park-)

  • 김상오;오광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2호
    • /
    • pp.131-144
    • /
    • 1998
  • 연구는 무등산 도립공원의 등산로 이용현황을 알아보고, 이용자가 등산로를 선정할 때에 어떠한 속성과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1996년 8월중 전남지방의 화순군과 담양군 그리고 광주광역시에 걸쳐 위치한 무등산 도립공원에서 실시되었다. 현지설문조사와 우편설문조사를 통하여 본 연구를 위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1,173 명의 조사대상자중 519명(44.2%)이 연구의 분석에 이용되었다. 등산로를 선정하는 요인은 크게 8가지 특성으로 분류되었으며, 전반적으로 각 요인에 대한 중요도의 순위를 보면, 1) 경관의 미, 2) 안전성(물리적, 범죄), 3) 건강을 위한 여건, 4) 고요함, 5) 친숙성, 6) 목적지로 가는 길, 7) 편리성/사회성, 8) 타의에 의해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각 요인에 대한 중요성의 순위는 각 등산로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성별, 연령, 그룹의 크기, 방문경험의 횟수 등과 같은 이용자의 특성과 이용행태에 따라서도 특정 요인에 대한 중요도에 차이를 보였다. 휴양동기는 크게 5가지로 분류되었으며, 중요도는 전반적으로 1)자연과의 접촉, 2) 자기훈련, 3) 고독, 4) 사회적 교류, 5) 문화유적지 답사의 순으로 나타났다. 등산로에 관계없이 '자연과의 접촉'은 포든 등산로에서 가장 높은 중요도를 보였으며, 그 이외의 4가지 휴양봉기에서는 등산로에 관계없이 중요도의 순서에 거의 차이가 없었다. 특정 등산로의 선정요인과 휴양동기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다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등산로의 특성과 선정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특정 등산로의 집중적인 이용현상에 의하여 초래될 수 있는 사회 생태적 문제의 감소와 양질의 다양한 휴양경험 제공을 위한 효과적인 관리전략을 세울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토의와 이를 바탕으로 몇 가지 관리전략을 제시하였다.

  • PDF

자연공원내(自然公園內)의 휴양적(休養的) 이용(利用)에 따른 생태계훼손(生態系毁損)의 회복방안(恢復方案)에 대(對)한 고찰(考察) (Restoration Strategies on Deteriorated Ecosystem due to Recreational Use in Nature Parks in Korea)

  • 우보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4호
    • /
    • pp.369-378
    • /
    • 1991
  • 우리나라의 주요한 법정(法定) 자연보호지역(自然保護地域)은 자연공원(自然公園), 천연보호구역(天然保護區域), 자연생태계보전구역(自然生態系保全區域), 생물권보전지역(生物圈保全地域), 천연보호림(天然保護林), 조수보호구(鳥獸保護區) 등으로 전산림면적(全山林面積)의 약 18%(1,124,000ha)에 이르고 있다. 이중 비교적 접근이 용이한 국립공원(國立公園)의 경우 연간 방문자 수가 33,000,000명에 달해 자연환경훼손이 심각한 상태에 이르고 있다. 특히 피해가 심한 등산로와 야영장의 보호를 위하여 공원내의 취사금지(炊事禁止)와 자연휴식년제(自然休息年制)를 도입, 운용하게 되었다. 취사금지가 공원내 고형쓰레기의 대부분인 취사찌꺼기 근절을 위한 것인 반면, 자연휴식년제는 피해지역의 자연생태적인 회복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후자(後者)의 도입에 따라 전국 27개산 47개등산로의 이용이 1991년 1월부터 3년간 금지된다. 자연휴식년제의 운용은 현재의 심각한 피해상태에 비추어 적절한 정책으로 평가될 수 있으나 지정지역(指定地域)의 선정(選定), 폐쇄기간(閉鎖期間) 및 방법(方法) 등의 결정을 뒷받침할 과학적 조사연구자료에 기인하지 않은 의사결정의 결과라는 데에 문제가 존재한다. 본 논문은 국내의 기존 관련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정책운용에 따르는 문제점과 이의 대안을 제시한다.

  • PDF

국립공원 탐방객의 등산로 선택모형 -계룡산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A Choice Model of Visitor's at National Park in the Case of Mt. Kyeryong)

  • 박청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21
    • /
    • 2001
  • This study investigates how motivations, preferences, and past experiences vary by each hikers trail choice at the Mt.Keyryong National Pa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factors influencing behavioral choice in the recreation areas, and establish the fundamental theory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the resource and visitors. For this study, we have collected 472 respondents by on-site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from the hikers in the park.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discriminant analysis. The motivations variable of hiking participation on mountain trail were categorized three types; close-nature, escapism, and physical improvement. The preferences for trail environment were classified as four categories by factor analysis; preference for nature, safety, use density, and facilities. In descriptive statistics, the study showed that the experienced hikers prefer natural trials and hikers who have preference for close-nature select longer and deeper forest trails. The results of discriminant analysis indicate that the level of past experience is the most affectable in classification of trail choice. Such variables as motivation for close-nature and preference for nature were also appeared as affecting factors on classification of trail choice. Two discriminant functions were available, and 90.5 percent of analysis sample were correctly classified. In the validity analysis, 89 percent of holdout sample were correctly classified. These hit ratios ensures an accuracy by Press Q 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o be useful knowledge of the choice of detailed use environments in the same recreation areas.

  • PDF

일본 관동지방의 도시내 친자연공간 조성에 관한 사례연구(II) : 자연관찰시설의 설치 및 운영 (Study of Deceloment of Ecological Urban Open Space in Eastern Area, Japan(II) :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nature observation facilities)

  • 조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53-269
    • /
    • 1997
  • 본 연구는 도시내 친자연공간에서 자연관찰시설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것으로서 일본 관동지방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요한 자연관찰시설은 비지터센터, 자연관찰로 그리고 자연관찰로 상에 설치된 각종 해설시설이었다. 또한, 친자연공간에서는 자연을 이해하고 체험하게 하는 인터프리테이션이 다양한 유형으로 전개되고 있었다. 인터프리테이션은 레인져, 자연해설원 등 전문가와 자원봉사자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자원봉사조직이 있는 대상지에서 자연해설 종류가 다양하였다. 자원봉사자들의 주요활동은 자연해설 이외에도 환경관리와 조사, 소식지 발간이었다. 친자연공간의 셀프가이드룰 위한 학습매체는 2~4종류이었고 홍보방법은 도, 시, 구의 홍보가 가장 많았으며, 인터넷 홈페이지, 지역 전자게시판, 케이블 TV와 Fax를 이용하는 사례도 있었다.

  • PDF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한 청계산 식생구조 분석 (Analysis of Vegetative Composition in Mt. Chonggye through Phytosociology)

  • 안영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5-27
    • /
    • 2003
  • A method of conserving the vegetation at Mt. Chonggye was established to persue a practical management of the natural ecosystem by the vegetative composition analysis. As a result, the vegetation of surveyed areas was classified into two communities and four subcommunities in Mt. Chonggye. Potentilla fragarioides var. major community, known as the roadside plant community, distributed near trails under heavy human impacts. Potentilla fragarioides var. major community included two subcommunities : Digitaria sanguinalis-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subcommunity and Rhus chinensis subcommunities. In these communiyies, there were many naturalized plant species such as Aster pilosus and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known as heliophilous plant. Results indicated that the vegetation had been affected by intensive human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naturalized plant species such as Aster pilosus for conservation of the ecosystem and nature in this area. Quercus mongolica community, a common coppice woodland in central Korea, was mostly distributed around mountain tops and ridges above 529 m altitute. In the valley where the forests well conserved, the Quercus mongolica community contained the Syneilesis aconitifolia-Hemerocallis lilioasphodelus subcommunity. On the other hand, Potentilla dickinsii subcommunity was dominated in dry rocky ridge areas. In these areas, however, the vegetation and forest soil was not properly managed for conservation.

탑골공원 설계 (Design of Pagoda Park, Seoul)

  • 김성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42-49
    • /
    • 2001
  • This design proposal was presented to a design competition for renovation of the Pagoda Park, located in Chongro-2ga, Chongro-gu, Seoul, where the first ˝Manse˝ (hurrah) Movement fighting against Japanese colonization, broke out on March 1st, 1919. The park has been considered to be the first modern park in Korea also. The objectives for the design were to make a sacred place to commemorate the 3.1 ˝Manse˝ Movement, to preserve and symbolically memorialize historic remains of the old ˝Wongaksa˝ Temple, an to provide natural and rest areas for citizen. For the space composition, three axes symbolic of, ´freedom and independence´, ´mercy´, and ´nature´, were created. For the freedom and independence axis, exiting facilities, such as statures and monuments related to the 3.1 Movement, were relocated centering around the octagonal pavilion, which was the starting point for the movement, to give order of the site. For the ercy axis, symbols of traditional temple structures, such as, ´Iljugate´-´Pian bridge´-´Chongwang gate´-´Haetal gate´-Pagoda-Buddhist sanctum, were created to symbolize the temple remains and placeness. For the nature axis, tree groves, walking trails, and rest areas for citizen were provided around the site. As a whole the design provided structural orders from secular spaces outside to sacred spaces insid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