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toration Strategies on Deteriorated Ecosystem due to Recreational Use in Nature Parks in Korea

자연공원내(自然公園內)의 휴양적(休養的) 이용(利用)에 따른 생태계훼손(生態系毁損)의 회복방안(恢復方案)에 대(對)한 고찰(考察)

  • Woo, Bo-Myeong (Department of Forestry,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우보명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임학과)
  • Received : 1991.09.17
  • Published : 1991.12.31

Abstract

Major statutory nature protection areas include Nature Parks, Nature Reserves. Nature Ecological System Protected Areas. Biosphere Reserves, Nature Protected Forests, Wildlife Sanctuaries, and Protection Forests with total area of 1,124,000 ha. These protected areas cover almost 18% of the forested area. The number of visitors of NPs reached over 33 million per year with sharp increasing rate over the years. To protect the deteriorated hiking trails and camp grounds caused by overuse, two management policies have been implemented : cooking prohibition and natural rest rotation system. While prohibition of cooking is based on the fact that most of the solid wastes in nature parks are leftovers of cooking, natural rest rotation system is mainly for rehabilitation of deteriorated areas by natural processes. The system has closed 47 trails(in 27 mountains) throughout the country since January 1991, which is scheduled to continue 3 years. Due to the lack of accumulated scientific knowledge on how, when and where to close, application of the system leaves much to be desired. This paper discusses the current efforts to protect the natural resources for recreational use and suggests future directions for an effective policy implementation.

우리나라의 주요한 법정(法定) 자연보호지역(自然保護地域)은 자연공원(自然公園), 천연보호구역(天然保護區域), 자연생태계보전구역(自然生態系保全區域), 생물권보전지역(生物圈保全地域), 천연보호림(天然保護林), 조수보호구(鳥獸保護區) 등으로 전산림면적(全山林面積)의 약 18%(1,124,000ha)에 이르고 있다. 이중 비교적 접근이 용이한 국립공원(國立公園)의 경우 연간 방문자 수가 33,000,000명에 달해 자연환경훼손이 심각한 상태에 이르고 있다. 특히 피해가 심한 등산로와 야영장의 보호를 위하여 공원내의 취사금지(炊事禁止)와 자연휴식년제(自然休息年制)를 도입, 운용하게 되었다. 취사금지가 공원내 고형쓰레기의 대부분인 취사찌꺼기 근절을 위한 것인 반면, 자연휴식년제는 피해지역의 자연생태적인 회복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후자(後者)의 도입에 따라 전국 27개산 47개등산로의 이용이 1991년 1월부터 3년간 금지된다. 자연휴식년제의 운용은 현재의 심각한 피해상태에 비추어 적절한 정책으로 평가될 수 있으나 지정지역(指定地域)의 선정(選定), 폐쇄기간(閉鎖期間) 및 방법(方法) 등의 결정을 뒷받침할 과학적 조사연구자료에 기인하지 않은 의사결정의 결과라는 데에 문제가 존재한다. 본 논문은 국내의 기존 관련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정책운용에 따르는 문제점과 이의 대안을 제시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