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Inter-Species Association and Covariation in a Natural Deciduous Forest

천연활엽수림(天然闊葉樹林)에서의 수종간(樹種間) 상관관계(相關關係)와 공변이관계(共變異關係)의 분석(分析)

  • Kim, Ji Hong (College of Forestry, Kangweon National University) ;
  • Kuen, Kee Hyun (College of Forestry, Kangweon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1991.09.11
  • Published : 1991.12.31

Abstract

Utilizing chi-square test statistics, inter-species association and covariation were analyzed for the 37 woody plant species in a deciduous forest dominated by Quercus mongolica and Q. variabilis. within 50 temporarily established $20m{\times}20m$ square quadrats, the association for each pair of species was presented based on the presence-absence parameters. Acer palmatum had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with Acer mono and Kalopanax pictus, but negative association with Pinus densiflora. Other positively associated species pairs were Prunus sargentii-Macckia amurensis, Quercus serrata-Kalopanax pictus, Symplocos chinensis var. pilosa-Euonymus oxyphyllus, and Ulmus davidiana var. japonica-Lindera obtusiloba. The covariation far each pair of species was evaluated based on the quantitative measures, density and basal area. Overall results showed that the association and covariation values among species generally agreed with each other. Because covariation was calculated by density and basal area of the tallied species in the sample plots, the number of species pairs of covariation tended to be greater than those of association. Especially, Pinus densiflora, considered to be pioneer species in the successional stage, had negative covariation with most of climax species. These ecological information could be applied to silvicultural practices, such as ecosystem classification, establishment of mixed hardwood forest, and tending operations for marking crop trees and desirable species.

신갈나무와 굴참나무가 우점종(優占種)인 활엽수림(闊葉樹林)에서 출현하는 37가지 목본식물(木本植物)에 대한 수종간(樹種間) 상관(相關)(association) 관계(關係)와 공변이(共變異)(covariation) 관계(關係)를 $X^2$ 검정(檢定)을 이용하여 분석(分析)하였다. 50개의 $20m{\times}20m$ 정방형(正方形) 표본구내(標本區內)에서 각 수종(樹種)의 출현(出現) 비출현(非出現)이 매개변수(媒介變數)가 되는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분석(分析)한 결과, 단풍나무는 고로쇠나무 및 음나무와 고도(高度)(${\alpha}$=0.01)의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갖고 있으나, 소나무와는 고도(高度)의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갖고 있었다. 졸참나무와 음나무, 참회나무와 노린재나무, 노린재나무와 다릅나무, 다릅나무와 산벚나무, 그리고 생강나무와 느릅나무는 상호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수종(樹種)의 밀도(密度)와 흉고단면적(胸高斷面積)으로 비교된 공변이(共變異)의 분석(分析) 결과는 상관관계(相關關係)와 매우 부합되는 바가 많았다. 더우기 표본구(標本區)에 생존(生存)하는 수종(樹種)의 개체수(個體數)와 흉고단면적(胸高斷面積)이 매개변수(媒介變數)가 됨으로써 상관관계(相關關係)보다는 공변이관계(共變異關係)를 맺고있는 수종(樹種)들의 쌍(雙)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천이(遷移)의 초기(初期) 혹은 중반단계(中盤段階) 수종(樹種)인 소나무는 대부분의 천이(遷移) 후기(後期) 수종(樹種) 혹은 극성상(極盛相) 수종(樹種)들과 부(負)의 공변이관계(共變異關係)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생태학적(生態學的)인 정보(情報)들은 생태계(生態界) 분류(分類), 활엽수(闊葉樹) 혼효림(混淆林) 조성(造成), 그리고 미래목 선정등의 보육(保育)작업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