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ized Plants

검색결과 538건 처리시간 0.023초

서천갯벌 습지보호지역의 염생식물상과 식생 (Halophytes and Vegetation of Seocheon Tidal Flat Wetland Conservation Area)

  • 오현경;김세천;유주한
    • 환경영향평가
    • /
    • 제22권5호
    • /
    • pp.409-426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raw data for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tidal flat by objective surveying and analysing the halophytes and vegetation distributed in Seocheon tidal flat wetland conservation area,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numbers of halophytes in this site were summarized as 27 taxa including 13 families, 21 genera, 26 species and 1 variety. In the results of ecologically important species, rare plant was 1 taxa, 10 taxa of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1 taxa of naturalized plant and 1 taxa of the plant with approval for delivering oversea. The life form spectrum consisted of therophytes(44.4%), hemicryptophytes(25.9%), geophytes(14.8%), nanophanerophytes(7.5%), chamaephytes and hydatophytes(each 3.7%). The types of vegetation of Seocheon tidal flat wetland conservation area were classified with 17 communities including Vitex rotundifolia community, Suaeda maritima community, Calystegia soldanella community and so forth. In the halophytes composition, section C and E-1 had the largest character species and companion species. In the results of vegetation amount, section C, D, E-1 and E-2 were the highest score, on the other hand, section A and B were the lowest. The final rating was calculated by adding up values of two factors, and section C and E-1 had the highest rating of II. In future, we will survey the whole flora in Seocheon tidal flat, we will offer the help to establishing the conservation plan of coastal plant ecosystem in West Sea.

우리나라 농촌마을 경관생태학적 특성에 따른 귀화식물 분포 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Naturalized Plant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Ecology in Rural Village of Korea)

  • 김한수;오충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89-403
    • /
    • 2011
  • 인간 활동이 생태계의 훼손과 생물다양성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경관생태학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해석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35개 농촌마을을 대상으로 자연생태계의 교란정도를 알 수 있는 귀화식물분포현황을 조사하였다. 대상지에 대한 토지이용 현황도를 제작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관지수를 이용하여 경관생태학적특성을 정량화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상지의 경관지수와 귀화식물 분포특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경관지수는 공간분석 프로그램인 FRAGSTATS를 이용하여 산출하였으며 귀화식물의 분포특성은 Urbanization Index와 Naturalization Index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귀화율과 패치밀도, 귀화율과 가장자리밀도, 귀화율과 면적가중평균형태지수 등이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귀화율과 핵심면적백분율, 귀화율과 평균핵심지역 등이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Changes of the Coastal Sand Dune Vegetation after the Construction of an Embankment in Anmado

  • Ihm, Byung-Sun;Lee, Jeom-Sook;Kim, Ha-So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3호
    • /
    • pp.103-108
    • /
    • 2003
  • This study examined the coastal sand dune vegetation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an embankment on Anmado Island in order to compare vegetation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islands. A total of 24 species distributed on the sand dunes. 18 species were found to be in common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embankment, which included Vitex rotundifolia,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Zoysia sinica, etc. The species which were not found in this survey included Rumex japonicus, Setaria viridis, Portulaca oleracea, Artemisia japonica, Poiygonum aviculare, etc, and new species included Arena fatua, Carex boottiana, Lycium chinense, Leonurus sibiricus, Torilis japonica, Solanum carolinense, etc. The washing away of sand brought about the changes in habitat and the increase in naturalized plants, which included Oenothera odorata, Lepidium apetalum, Bidens bipinnata, Erigeron canadensis, Datura stramonium, Xanthium strumarium, Arena fatua, Solanum carolinense etc. In addition, the disturbance to this habitat led to the changes in vegetation. The main plant communities in the surveyed site were classified as Vitex rotundifolia-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l community, Zoysia sinica-Calystegia soldanella community and Messerschmidia sibirica community. The sand dune vegetation on Anmado Island changed with regard to the community and the composition of species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embankment, due to the sand being severely eroded. While Vitex rotundifolia community and Commelina communis community were found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embankment, they were replaced by Vitex rotundifolia-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community, Zoysia sinica-Calystegia soldanella community and Messerschmidia sibirica community,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embankment.

The Flora and Vegetation Structure of Mt. Man of Hwacheon-Gun

  • Park, Seong-Ho;Kim, Se-Chang;Seo, Han-Na;Son, Yong-Hwan;Han, Gyu-Il;Park, Wan-Geu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0-90
    • /
    • 201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and vegetation structure of Mt. Man in Hwacheon Gun from April to October 2018. The survey site is located in the northern part of South Korea where the climate is similar to that of Nor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efficient ecological forest management after unification. A total of 341 vascular plant taxa are recorded, representing 221 genera, 4 subspecies, 42 varieties and 6 forms in 84 families. Rare species, including Crataegus komarovii and Amitostigma gracile are found across 10 taxa; 8 families, 10 genera, 9 species, 1 variety. Naturalized Plants, including Ambrosia artemisiifolia and Erigeron annuus found across 11 taxa; 6 families, 10 genera, 11 species. Dominant tree species of the tree layer based on the highest importance values were: Quercus mongolica (23.47%), Larix kaempferi (11.43%), Fraxinus rhynchophylla (8.30%), in the subtree layer were: Lindera obtusiloba (11.38%), Acer pictum subsp. mono (11.33%), Fraxinus rhynchophylla (9.80%) and in the shrub layer were: Lindera obtusiloba (10.22%), Fraxinus rhynchophylla (8.43%), Rubus crataegifolius (8.00%), in the herb layer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5.67%), Oplismenus undulatifolius (5.00%), Lysimachia clethroides (3.49%) respectively. The species diversity of Mt. Man was 1.1764 in the tree layer, 1.2403 in the subtree layer, 1.4135 in the shrub layer, and 1.7416 in the herb layer. In conclusion, if we utilize the flora and vegetation structure surveyed in Mt. Man, we can effectively manage the degraded forests with similar altitudes and climate zones in North Korea.

  • PDF

안동시 소나무재선충병 피해지에 대한 생태학적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ine Wilt Disease affected areas in Andong city, Korea)

  • 김성열;박준성;문건수;최재용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35-53
    • /
    • 2021
  • A field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59 pine wilt disease control areas distributed in Andong, an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s affected by pine wilt disease were analyzed using vegetation information, ecological information, and land use information.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Pine wilt disease affected forest area showed a 3-layer vegetation structure, high percentage of accidental occurrence species (37%) and secondary vegetation species (59.6%), appearing 12 taxa naturalized plants and 3 taxa ecosystem disturbance organism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Ecological information of Pine wilt affected area showed frequent occurrence of water stress in south and west slopes, low lying grounds in mountains, and in well-drained soils. Also, surrounding the area has been used as roads, tombs, and cultivation where intensive human activities were the cause of disturbance and stress to the pine forest. It was analyzed that the pine forest in Andong city suffered extensive damage due to the onset of pine wilt disease while the pine trees were weakened due to continuous human activities. Conclusively, the spread and onset of pine wilt disease are worsened by artificial factors than natural environmental conditions.

제주 팽림월대(彭林月臺)의 경관특성 및 관리방안 (Characristics and Management Plans of Myeongwoldae and Myeongwol Village Groves Located in, Jeju)

  • 노재현;오현경;최영현;강병선;김영숙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68-81
    • /
    • 2014
  • 본 연구는 제주시 한림읍 소재 명월대와 명월숲의 생태문화경관적 특성 파악과 가치 발굴을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이곳의 장소성을 밝히고 명월대와 명월숲의 경관특성을 조명하는 한편 지속가능한 활용과 보존을 위한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명월성과 명월포구는 예로부터 군사요새이자, 명월 수류촌은 서부 제주지역 행정의 중심지인 한림읍 명월지역의 위상을 보여줄 뿐 아니라 명월지역에 존재했던 월계정사와 우학당은 교육문화의 본산으로, 교육 중심지 명월리의 장소성을 대변한다. 명월대는 조선시대 선비들이 시와 풍월을 즐기고, 장기와 바둑을 두던 유풍이 남아있는 음풍농월의 현장이자 제주도의 대표적인 유교 문화경관이다. 현재의 명월대 유구는 일제강점기인 1931년 홍종시(洪鍾時)를 중심으로 한 명월청년회 주도로 이루어진 정비사업의 결과이다. 사각형-팔각형-원형 등 3단으로 구성된 명월대의 석축 구성은 유교사상의 천인합일사상을 바탕으로, 중앙의 팔각은 천원지방(天圓地方)의 의미를 부여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명월대교와 명월교는 모두 초기에는 홍예교로 석축된 것으로 추정되며 명월교는 제주에 남아있는 유일한 홍예교로 근대문화유산적 가치가 있다. 명월숲의 식물상은 총 97분류군(taxa)이 확인되었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의 분류군 및 등급기준'에 준하면 IV등급에는 가는쇠고사리, III등급에 호랑가시나무, 후추등, 까마귀쪽나무, 멀구슬나무, 산유자나무, 노랑하늘타리, 아욱메풀, 아왜나무 등 8분류군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귀화식물은 제주도에만 이입된 솔잎미나리를 비롯하여 1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명월숲에는 팽나무 41주와 푸조나무 30주, 산유자나무 2주, 소나무, 동백나무, 멀구슬나무, 호랑가시나무 각각 1주 등 도합 77그루의 수목이 군락을 이루고 있다. 조사된 자료를 근거로 명월대와 명월숲의 보존관리방안은 다음과 같다. 명월대와 명월교 그리고 명월숲을 하나의 통합 영역으로 한 보존관리가 필수적이다. 명월교는 제주도내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홍예교로 수준 높은 석공예물로 장기적인 보존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교량노후화로 인해 사고위험에 노출되고, 안전진단이 요구되는 명월대교는 정밀안전진단 결과에 따른 대책이 요구된다. 재시공시 초건 시의 모습인 2수문의 완벽한 홍예교로 건립하여 명월대와 함께 향후 대표적 지역 명소로 보존 및 활용해야 할 것을 건의한다. 또한 조사결과에 근거한 종조성으로 볼 때 현재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제19호 '명월 팽나무군락'의 명칭은 '명월 팽나무-푸조나무군락'으로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팽나무와 푸조나무 구분 없이 이루어진 일련번호 체계는 개선되어야 하며 노거수목 및 특정식물종이나 귀화종에 대해서는 생육상태에 대한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식생정보에 기초한 백두대간 지리산권역 내 훼손지 유형별 실태조사 (The Survey on Actual Condition Depending on Type of Degraded area and Suggestion for Restoration Species Based on Vegetation Information in the Mt. Jirisan Section of Baekdudaegan)

  • 이혜정;김주영;남경배;안지홍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58-572
    • /
    • 2020
  • 본 연구는 백두대간 지리산권역 내 훼손지의 유형을 분류하고, 각 훼손 유형별 실태조사를 통해 훼손 정도를 파악하여 훼손지의 복원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지리산권역의 훼손실태를 분석한 결과 전체 훼손지의 패치 수는 57개로 확인되었고, 평균고도가 낮고 경사가 완만한 지역일수록 훼손지의 패치 수 및 훼손 면적이 더 넓게 나타났다. 훼손 유형은 초지(폐경지)와 경작지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농업적 토지이용이 주요 훼손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 중 14개소의 훼손지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수행한 결과, 훼손 유형은 초지, 경작지, 복원지, 벌채지 및 나지로 분류되었다. 각 유형별 교란정도(일년초 및 이년초의 비율, 도시화지수, 교란율)를 분석한 결과, 초지 및 경작지에서는 대부분 초본류로만 구성된 1층 구조의 단순한 식생구조와 교란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소나무 유묘가 다수 식재된 복원지의 경우 2층 구조의 식생구조가 나타났고, 복원사업으로 인한 교란과 인근의 등산로로 인해 귀화식물의 유입이 다른 훼손지에 비해 특히 높게 나타났다. 나지의 경우 고도가 높아 귀화식물의 유입은 낮았지만, 일년초와 이년초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조사된 모든 유형의 훼손지는 천이 초기단계로 판단되었다. 훼손 유형별 군락을 서열화한 결과, I 축상의 복원지, 경작지, 초지, 벌채지 및 나지 순으로 나타나 훼손 유형별로 구분되어 배열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훼손 유형별 조사지와 참조생태계의 군락을 서열화한 결과, 종조성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생태적 복원 절차에 따라 식생정보에 기초한 훼손 유형별 실태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와 함께 참조생태계와의 종조성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복원 목표 및 복원 방향 설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주왕산국립공원의 특정식물과 보전방안 (The Specific Plant Species and Conservation of Juwangsan National Park, Korea)

  • 이희천;황인천;임동옥;정철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98-515
    • /
    • 2011
  • 2008년 3월부터 10월까지 총 7회에 걸쳐 주왕산국립공원 일대의 식물상을 조사하였다. 주왕산국립공원지역에서 확인된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식물종은 둥근잎꿩의비름, 망개나무, 깽깽이풀, 노랑무늬붓꽃과 가시오갈피나무, 솔나리, 연잎꿩의다리 7분류군 이었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총 88분류군으로 V등급에 해당하는 분류군은 깽깽이풀, 망개나무, 솔나리 등 8과 9분류군, IV등급에 해당하는 분류군은 승마, 회리바람꽃, 돌마타리 등의 4과 5분류군, III등급에 해당하는 분류군은 애기석위, 가침박달, 등칡 등 16과 18분류군, 2등급으로는 백작약, 나도바람꽃, 개불알꽃 등의 14과 18분류군, 1등급은 늦고사리삼, 홀아비꽃대, 백선 등 30과 3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한국 고유 식물종은 호랑버들, 검팽나무, 할미밀망, 노랑갈퀴, 정영엉겅퀴 등의 총 1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닭의덩굴, 나도닭의덩굴, 다닥냉이, 족제비싸리, 컴프리, 수박풀 등의 총 21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한국특산식물 및 종의 자생지 특성을 고려한 식재 후 생육상태 모니터링 - 고속도로변 시설지를 대상으로 - (The Monitoring of Growth Conditions Regarding Korea Endemic Species and Natural Characteristics - Applied to Facilities Area on Highway Roadside -)

  • 박성수;홍광우;김세천;이효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1-9
    • /
    • 2017
  • 이 논문은 한국의 멸종위기 식물의 환경적 특성을 연구하고, 그들의 자생지와 유사한 대상지에 복원을 실시하고, 모니터링을 포함한 유지관리 시스템을 적용시켜 적정한 성장을 유도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라 할 수 있다. 한국도로공사 수목원에서 멸종위기 및 한국특산식물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생지 조사 결과를 기초하여 5종의 복원대상종을 선정하였고, 이들의 자생지 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가진 고속도로 시설지에 식재를 실시하였다. 이후 3년간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예상보다 많은 개체 고사가 발견되었으며, 이는 토양, 수분관리, 비점오염원 저감 및 귀화식물의 관리 등이 포함된 전략적 유지관리 시스템이 부족하였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여러 가지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한국 멸종위기식물의 고속도로 복원 및 자생지의 효율적인 유지관리 기준마련을 위한 참고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제주도의 수생 및 습생 식물상 (Flora of aquatic and wetland habitats on Jeju Island)

  • 강대현;임은영;문명옥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96-107
    • /
    • 2015
  • 본 연구는 제주도에 분포하는 수생 및 습생 식물의 식물상을 규명하고, 습지환경의 식물종다양성을 보존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수행하였다. 야외 조사는 제주도 전 지역을 대상으로 2010년 5월부터 2014년 9월에 걸쳐 이루어졌다. 본 식물상 연구를 통해 확인된 습지식물은 총 52과 98속 181종 6변종 2품종 189분류군이었다. 이 중 총 38과 60속 96종 3변종 99분류군이 수생식물로, 23과 45속 85종 3변종 2품종 90분류군이 습생식물로 나타났다. 또한 사초과 식물인 Eleocharis${\times}$yezoensis H. Hara를 한국미기록식물로 보고하였다. 조사된 식물 중 환경부지정보호야생식물은 순채, 전주물꼬리풀 등 5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멸종위기종은 위급종이 제주고사리삼 1분류군, 위기종이 물까치수염 등 5분류군, 취약종이 대구돌나물 등 7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는 V등급이 10분류군, IV등급이 7분류군, III등급이 15분류군, II등급이 5분류군, I등급이 7분류군으로 총 4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총 8과 9속 9종 1변종 10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제주도의 습지는 식물종다양성이 매우 높고, 희귀식물 및 식물지리학적으로 중요한 식물 등이 다수 분포하여 식물학적 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습지 및 종의 보존을 위한 구체적인 보호 및 관리 체계의 수립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