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ve distribution

검색결과 432건 처리시간 0.024초

Genetic Variation of the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DRB3.2 Locus in the Native Bos indicus Cattle Breeds

  • Behl, Jyotsna Dhingra;Verma, Naresh Kumar;Behl, Rahul;Sodhi, Monik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11호
    • /
    • pp.1487-1494
    • /
    • 2009
  • The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MHC) plays well-defined roles in eliciting immune responses and combating infectious diseases. The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of cattle is referred to as BoLA (Bovine Lymphocyte Antigen). This genetic system is among the most polymorphic. In the present study, polymorphism of the BoLA- DRB3.2 locus in three Bos indicus breeds viz., Sahiwal, Rathi and Hariana was stud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technique using the enzymes RsaI, Bst Y1 and Hae III. Both Sahiwal and Rathi are good Indian dairy breeds and survive under tough tropical conditions, while Hariana is a prominent dual-purpose breed reared both as a dairy animal and for bullock production. A total of 30 different BoLADRB3.2 alleles were observed to be present in the 3 Bos indicus breeds. Certain alleles were common amongst the three breeds while there were others that were unique to each breed. Allelic distribution amongst the three breeds showed that each breed had a unique allelic distribution pattern that wa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lso different from the earlier breeds studied so far for the existence of allelic variation at this locus. A dendogram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frequencies of the BoLA-DRB3 alleles using the UPGMA method. The Rathi and Hariana animals were genetically the most apart. The Hariana animals clustered on a different branch from the other two breeds viz. the Rathi and the Sahiwal. The smallest genetic distances for the DRB3 alleles were those between Sahiwal and Rathi (0.5461) while genetic distance between Hariana and Sahiwal was 0.6123. A comparison of the allelic frequencies of the BoLADRB3.2 locus in these 3 breeds viz. Sahiwal, Hariana and Rathi with the allelic frequencies present in the previously characterized Bos indicus Kankrej breed, which is a dual purpose breed reared both as a draught and a dairy animal, showed that the Bos indicus Sahiwal and Rathi breeds clustered into one group while the Hariana and Kankrej breeds formed another group. The Rathi and Sahiwal showed the least genetic distance of 0.5461 amongst the breeds whereas the Rathi and Kankrej, with a Nei''s genetic distance of 1.1622, were genetically the most distant apart.

국내 개가시나무 개체군의 분포 및 동태 (Dynamics and Distribution of Quercus gilva Blume Population in Korea)

  • 현화자;송국만;최형순;김찬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85-392
    • /
    • 2014
  • 본 연구는 국내 멸종위기식물인 개가시나무의 분포 범위와 국내 자생지 내에서의 생육 특성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개가시나무는 참나무과에 속하는 상록활엽 교목으로서 일본, 대만, 중국, 한국 등의 따뜻한 지방에 자라는 난대성 수종이다. 국내에서는 제주도의 해발 80~350 m 내에 분포하였으며, 대부분 제주도 서남부지역의 해발 100~200m에 집중 분포하였다. 개가시나무의 수고는 평균 $9.8{\pm}1.9m$로 9~12 m 사이의 개체가 가장 많았으며, 흉고직경은 평균 $22.6{\pm}6.8$로 20~30cm의 개체가 가장 많았다. 또한 맹아지의 발생으로 다수의 분지가 형성 되었으며, 평균 $3.8{\pm}2.1$개의 맹아로 이루어졌다. 자생지 내에 분포하는 개가시나무의 96.2%에 덩굴식물이 부착되어있으며, 덩굴식물은 15과 18종으로 상록성 덩굴식물인 마삭줄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덩굴식물이 개가시나무의 수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분석한 결과, 9~12 m의 개가시나무에서 수관형성에 영향을 주어 고사된 가지가 확인된 개체가 가장 많았으며, 부착된 덩굴식물의 종 수가 많을수록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자생지 내에서 개가시나무의 보존을 위해서는 이들 덩굴식물의 생육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선택형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중국 수입맥주 시장에 관한 연구 (Using Choice-Based Conjoint Analysis in the China Market of Imported Beer)

  • 고지화;오장건;고봉;장준
    • 산경연구논집
    • /
    • 제9권6호
    • /
    • pp.57-64
    • /
    • 2018
  • Purpose - With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great changes have happened in the Chinese beer market. The scale of imported beer is increasing. However, the sales of native Chinese beer decrease in recent years. It is because more Chinese customers prefer beer with unique attributes than those with lower prices. In order to take an advantage in this market, practitioners should develop new products to satisfy Chinese customers. Scholars have also focused on beer characteristics to estimate consumers' behavior for improving the development of beer industry. However, most studies are theoretically centered on marketing strategy management or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market. It is not enough for us to explain customers' consumption patterns. Some empirical research did attempt to find out beer attributes that may influence their choice behavior. However, they failed to verify what can increase customers' utility through a new product. More importantly, few evidences can be found in the literature.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imported beer which may associate with customers' preferenc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With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we found out four main imported beer attributes and the levels of each factor. A pre-test is constructed to check the problems in the questionnaire protocol. With the results of pre-test, the revised questionnaire is processed among customers who have purchased and had imported beer in China regions such as Beijing, Shanghai, Jiangsu, Guangdong and so on. The choice-based conjoint analysis is applied to analyze the useful data of 205. Results - Results indicate that choice-based conjoint analysis is the effective method to estimate customers' choice behavior. Results also indicate that country of origin, price, taste, and package affect customers' preference and the importances of imported beer attribute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Conclusions - Country of origin, price, taste, and package are important for customers to make an imported beer choice decision. Marketers should consider these determinants and their importance to develop new products. Moreover, choice-based conjoint analysis should be the useful method for practitioners to develop a new product of imported beer for sustainable business in the competitive industry.

Perception of native Korean Speakers on English and German

  • Kang, Hyun-Sook;Koo, So-Ryeong;Lee, Sook-hyang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2000년도 7월 학술대회지
    • /
    • pp.86-87
    • /
    • 2000
  • In this paper, we discuss why two different surface forms appear in loanwords for English and German /${\int}$/ In Korean, a vowel is inserted into loanwords if a consonant cannot be properly syllabified. Therefore, /${\int}$/ in some positions of loanwords trigger vowel insertion. Interestingly, /${\int}$/s in the onset cluster of English and German words were borrowed in Korean as Iful with the inserted vowel [u] whereas If Is in the coda position of English and German words were borrowed as Ifil with the inserted vowel [i]. For example, 'shrimp' is adopted as [${\int}urimphi$] whereas 'rush' is adopted as [$ra{\int}i$]. In this paper, we attempt to find out the phonetic reason for the distribution of the surface forms of /${\int}$/. We assume that since the formant frequency of [i] is higher than that of [u], the peak frequency of /${\int}$/ with the surface form of [${\int}$i] in loanwords may be higher than that of /${\int}$/ with the surface form of [${\int}u$]. We also assume that duration may be another factor for the distribution of [${\int}i$] and [${\int}u$]. Since /${\int}$/ and /u/ use lip rounding whereas /i/ doesn't, the duration for [${\int}i$] might be longer than that of [${\int}u$]. German supports our assumption. /${\int}$/ in the onset cluster is longer than /${\int}$/ in the coda position. It also has higher peak frequency than that of /${\int}$/ in the coda position. In loanwords, ${\int}$ in the onset cluster is borrowed as [${\int}u$] as in Spiegel whereas /${\int}$/ in the coda position is borrowed as [${\int}i$] as in Bosch. English, however, does not support our assumption. Peak frequency of [${\int}$] depends on the preceding vowel, not on its position in the syllable structure. If the preceding vowel is front, then the peak freuency of the following of the following /${\int}$/ is high but if the preceding vowel is back, than the peak frequency of the following /${\int}$/ is low. The peak frequency of /${\int}$/ in the onset cluster seems to be in between. As we assumed, however, the duration of /${\int}$/ in the coda position is longer than of /${\int}$/ in the onset cluster. With the mixed results, we question whether Koreans really hear two different xounds for /${\int}$/ in English words. For the future experiment, we would like to perform the perception tet for /${\int}$/ in English words.

  • PDF

각종 동물의 췌장 내분비세포의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studies of the pancreatic endocrine cells of the various animals)

  • 이재현;이형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97-510
    • /
    • 1992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comparative investigate the types and regional distribution of the endocrine cells in several vertebrates immunohistochemically using seven antisera. From carp pancreas could be observed 4 types which are insulin-, glucagon-, som- and BPP-immunoreactive cells. Insulin-immunoreactive cells were mainly distributed at the periphery and a few cells occupied the central region of the islets. Glucagon-immunoreactive cells were distributed at the periphery of the islets, and som - and BPP-immunoreactive cells were located at the central region. From frog pancreas could be observed 4 types which are insulin-, glucagon-, som- and BPP-immunoreactive cells. Insulin-immunoreactive cells were distributed throughout the islets. Som-immunoreactive cells were distributed at the periphery of the islets, and glucagon- and BPP-immunoreactive cells were found as single cell or as small groups located between the pancreatic acini. From snake pancreas could be observed 3 types which are insulin-, glucagon- and som -immunoreactive cells. Insulin-immunoreactive cells were distributed throughout the small islets, and they also were scattered at the periphery of the large islets. Glucagon-immunoreactive cells were distributed at the periphery of the islets, whereas som-immunoreactive cells were occupied the central region. From Ogolgae pancreas could be observed 4 types which are insulin-, glucagon-, som-and BPP-immunoreactive cells. Insulin-immunoreactive cells were distributed throughout the small islets, but at the periphery of the large one. Glucagon- immunoreactive cells were distributed at the periphery of the small islets and in the large islets showed scattering entired. Som-immunoreactive cells were distributed at the periphery of the small islets and in the large islets were located at the central region. A small numbers of BPP-immunoreactive cells were located at the periphery of the small islets and the exocrine regions. From the pancreas of the Korean native goat could be observed 6 types which are insulin-, glucagon-, som-, BPP-, 5-HT- and porcine-CG-immunoreactive cells. Insulin-immunoreactive cells were distributed throughout the islets. Som-immunoreactive cells were located at the periphery of the islets, but a tew were scattered at the central region of islets and in the epithelium of the secretory duct. Glucagon-, BPP-, 5-HT- and porcine CG-immunoreactive cells were distributed at the periphery of the islets.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regional distribution patterns and cell types of pancreatic endocrine cells in vertebrates varies considerably among phylogenetically different vertebrates.

  • PDF

제주도의 귀화식물에 관한 재검토 (The Restudying of Naturalized Plants in Jeju Island)

  • 양영환;김문홍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25-336
    • /
    • 2005
  • 문헌조사 및 현지조사를 통하여 제주도 귀화식물에 관한 생활형, 출현지역, 원산지, 귀화시기 등 재조사하였다. 제주도에 자라는 귀화식물은 32과 115속 185종 12변종 2품종으로 총199분류군이 있다. 이들을 과별로 구분한 결과 국화과 43분류군($21.6\%$), 벼과 32분류군($16.8\%$), 콩과 17분류군($8.5\%$), 십자화과 13분류군($6.5\%$)의 순으로 나타났다. 제주도에 출현한 귀화식물의 생활형은 한해살이 91분류군, 두해살이풀 31분류군, 한해 혹은 두해살이풀 16분류군, 여러해살이 57분류군, 그리고 나무 4분류군으로 구분되었으며 분포지역은 제주에 분포하는 29분류군, 제주와 남부지역 20분류군, 제주와 중부 33분류군, 남한전체 117분류군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귀화식물의 원산지는 아메리카 지역 89분류군, 유럽 69분류군, 아프리카 지역 2분류군, 아시아 22분류군, 기타 17분류군이었고 귀화식물의 이입 시기는 1921년 이전에 38분류군, 1922년에서 1963년까지 23분류군, 1964년에서 2004년까지 138분류군이었다.

국내 하천에 서식하는 외래종 틸라피아(tilapia)의 잠재적 서식처 확산 (Dispersal of potential habitat of non-native species tilapia(Oreochromis spp.) inhabiting rivers in Korea)

  • 왕주현;한중수;최준길;이황구
    • 환경생물
    • /
    • 제41권2호
    • /
    • pp.101-108
    • /
    • 2023
  • 본 연구는 온배수가 유입되는 대구시 달서천을 대상으로 틸라피아 산란장의 물리적 서식 환경을 파악하고, 나일틸라피아와 블루틸라피아의 국내·외 분포 및 수온에 따른 잠재적 서식 가능지역을 예측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나일틸라피아와 블루틸라피아의 국외 서식 현황을 분석한 결과 원개체군이 서식하는 국가를 중심으로 많은 국가와 섬 지역에 도입되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상대적으로 추운 지역인 캐나다, 영국, 러시아 등에서도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는 곡교천, 달서천, 금호강과 낙동강 일대에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온배수 유입으로 인해 겨울철에도 높은 수온을 유지하고 있는 하천으로 확인되었다. 현재 국내에서 틸라피아 개체군이 서식 가능한 지역은 영산강 하류와 낙동강 하류에 국한되어 있으나, 2050년에는 기온상승으로 인해 잠재적 서식 가능지역이 금강, 만경강, 동진강, 섬진강, 태화강, 형산강과 동해로 유입되는 하천과 탐진호, 나주호, 주암호, 상사호, 진양호, 주남저수지, 회동저수지 등 정수역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서식 가능지역이 확대되고 틸라피아가 산란할 수 있는 서식처가 증가함에 따라 틸라피아 개체군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서식처 교란의 강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잠재적 위해종이며, 기온상승으로 인해 향후 국내 여러 하천에서 서식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틸라피아 개체군 관리를 위해 틸라피아 개체군이 서식하고 있는 하천을 대상으로 중·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위해성 평가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개체군 확산 방지를 위한 법적·제도적인 규제가 필요하며, 물리적인 포획, 온배수 수온 감소를 통한 제거 등 다양한 관리방안을 마련하고, 틸라피아 개체군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서식처 교란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부산 범어사 등나무군락지의 등나무 분포 특성 및 관리방안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Plan of the Wisteria Habitat (No. 176 natural monument) of Beomeosa Temple in Busan)

  • 이창우;오해성;이철호;최병기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77-86
    • /
    • 2017
  • 부산 범어사 등나무군락지에 대한 개체군생태학 연구가 이루어졌다. 연구지역은 1966년에 천연기념물 제176호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는데, 국내에서 자생적 기원을 가지며 등나무가 대규모의 군락을 이루고 있는 경우는 매우 희귀하여 높은 학술적 가치를 지닌다. 그러나 범어사 등나무군락은 군락지 내의 등나무 분포 현황 및 생태에 대한 해상도 높은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등나무군락 내의 개체 분포 현황과 개체군 특성을 확인하고, 보존방안을 논의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장 조사를 통해 범어사 등나무군락과 그 일대를 대상으로 등나무의 분포, 근원직경, 감고 올라가는 방향 및 식물종과 연구지역 내 식물상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연구지역 내 등나무 개체 수는 총 1,158개체가 확인되었고, 등나무의 근원직경은 평균 69.0 mm (${\pm}45.5$), 최대 365 mm로 나타났다. 감는 방향은 시계방향으로 감는 등나무뿐만 아니라 반시계방향으로 감는 등나무 40개체가 확인되었다. 등나무의 등반식물종은 28분류군으로 확인되었고, 그 중 동종(同種)인 등나무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등나무군락은 계곡부에 인접하여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지속적인 교란에 의해 유지 발달하고 있는 군락으로 파악되었다. 현존식생도를 통해 계곡림에 76.6%의 개체가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개서어나무-이대우점림, 칡군락, 소나무우점림 등에서는 상대적으로 분포가 배제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확산되어가고 있는 등나무개체군과 최대 근원직경을 가지는 등나무의 보호, 지역 서식처 보존 등을 위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후속 연구를 진행함과 동시에 천연기념물 제176호 보호 지역의 수정과 서식처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의 마련 등을 제안하였다.

춘파초지조성시 질소 및 가리의 분시방밥이 수량 및 식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Split Application Method of Fertilizer Nitrogen and Potassium on the Yield and Botanical Composition in the Spring sowing Pasture)

  • 이혁호;박근제;정연규;이필상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24-130
    • /
    • 1986
  • 본(本) 시험(試驗)은 춘파초지조성시(春播草地造成時) 목초(牧草)의 정착(定着)과 수량(收量) 및 식생변화(植生變化)를 조사(調査)하기 위(爲)하여 조성시(造成時)의 기비량(基肥量)을 2수준(水準)($N:P_2O_5:K_2O=80:200:70$ 및 160:200:140kg/ha), 관리시(管理時)의 질소(窒素) 및 가리(加里) 분시방법(分施方法)을 3수준(水準)(봄 다비(多肥), 균등분시(均等分時), 가을 다비(多肥))으로 하여 분할구법(分割區法) 4반복으로 포장(圃場) 배치(配置)하여 1984년 3월부터 1985년 10월까지 축산시험장(畜産試驗場)에서 실시(實施)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총(總) 건물수량(乾物收量)은 조성시(造成時)의 기비수준(基肥水準)이나 관리시(管理時)의 분시방법간(分施方法間)에 대차(大差)없었다. 2.화본과목초(禾本科牧草)의 총(總) 건물수량(乾物收量)은 조성시(造成時) N=160, $P_2O_5=200$$K_2O=140kg/ha$ 시용(施用)한 처리(處理)가 4,854kg/ha로서 보비(普肥)에 비(比)해 16% 증수(增收)되었으며 분시방법간(分施方法間)에는 별차이(別差異)가 없었다. 3. 두과목초(荳科牧草)의 총(總) 건물수량(乾物收量)은 조성시(造成時) 증시(增施)한 구(區)가 보비(普肥)에 비(比)해 23% 감소(減少)되었으며 분시방법간(分施方法間)에서는 봄 다비(多肥)에 비(比)해 균등분시(均等分施)는 3%, 가을다비(多肥)는 9% 감소(減少)되었다. 4. 야초(野草)의 건물수량(乾物收量)은 조성시(造成時)의 기비수준(基肥水準)에는 대차(大差)없었으나 분시방법(分施方法)에서는 봄 다비(多肥)에 비(比)해 균등분시(均等分施)는 6% 감소(減少)되었고 가을 다비구(多肥區)는 11% 증가(增加)되었다. 5. 식생구성비율(植生構成比率)에 있어서 조성시(造成時)의 다비(多肥)는 보비(普肥)에 비(比)해 화본과(禾本科)는 증가(增加)되었고 두과(荳科)는 감소(減少)되었으며 분시방법(分施方法)에 있어서는 균등분시(均等分施)가 비교적(比較的) 양호(良好)하였다. 6.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를 종합(綜合)해 볼 때 춘파초지조성시(春播草地造成時)의 목초(牧草) 정착(定着)을 위(爲)한 기비량(基肥量)은 N : 160, $P_2O_5$ : 200 및 $K_2O$ : 140kg/ha가 수량(收量) 및 식생유지면(植生維持面)에서 좋을 것으로 생각되며 분시방법(分施方法)은 균등분시(均等分施)가 좋을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효소가수분해에 의한 유청단백질의 항원성 저하 (Reduction of the Antigenicity of Whey Protein by Enzymatic Hydrolysis)

  • 하월규;전석락;김정완;이수원;이재영;손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4-80
    • /
    • 1994
  • 효소에 의한 단백질분해가 유청단백질의 항원성의 저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기본연구로서, 유청단백질의 가수분해특성을 조사하고 competitive inhibitio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cELISA)에 의한 항원성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유청단백질의 가수분해는 chymotrypsin, trypsin, pancreatin, 그리고 Aspergillus oryzae유래의 protease를 각기 4시간 동안 행하였다. TNBS(trinitrobenzensulfonic acid)법에 의하여 측정한 유청단백질의 가수분해도(DH)는 chymotrypsin이나 trypsin을 처리한 경우$(5.05{\sim}11.47)$보다 Aspergillus oryzae유래의 protease 및 pancreatin을 처리한 경우$(15.67{\sim}20.20)$가 훨씬 높게 나타났으며, 각 효소의 처리전에 열처리($75^{\circ}C$, 20분)나 pepsin의 처리를 한 경우에 대체로 약간 높게 나타났다. High performance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HPSEC)에 의하여 분자량분포를 조사한 결과, 가수분해물에 따라 10kDa 이상의 polypeptide가 $12{\sim}36%$ 정도 존재하였고, 평균분자량은 $4,252{\sim}9,132$ dalton, 평균길이는 아미노산 $38{\sim}83$개로 나타났다. 또한 쓴맛은 형성되지 않았다. SDS-PAGE의 결과 처리구에 따라 분자량 14.2kDa 이상의 polypeptide가 일부 존재하였으나 native 유청단백질은 대부분 가수분해에 의하여 제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토끼 항WPI항혈청에 의한 cELISA로 검토한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의 monovalent 항원성은 효소처리에 의하여 약 $10^{-1.7}{\sim}10^{-4.9}$배 또는 그 이하로 저하되었으며 대체로 가수분해가 많이 일어난 분해물은 그 항원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처리구내에서는 열 및 pepsin의 전처리후 다음 효소 분해한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CDP, TDP, PDP, ODP)의 경우 그 항원성이 가장 낮았다. 그중에서도 pancreatin 가수분해물(PDP)의 경우 항원성이 거의 상실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