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studying of Naturalized Plants in Jeju Island

제주도의 귀화식물에 관한 재검토

  • Yang Young-Hoan (Jeju Folklore and Natural History Museum) ;
  • Kim Moon-Hong (Department of Biology, Natural Sciences College, Cheju National University)
  • 양영환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 ;
  • 김문홍 (제주대학교 생물학과)
  • Published : 2005.06.01

Abstract

The life form, the origin and the time of introduction of those naturalized plants grown in Jeju-Do, korea were grasped by conducting the documentary survey, and the field survey thereof. The naturalized plants were total 199 taxa including 185 species, 12 varieties and 2 cultivar, which belong to 115 genera, 32 families. The classification of families, there were 43 taxa of Compositae ($21.6\%$), 32 taxa of Gramineae ($16.8\%$), 17 taxa of Legumlinosae ($8.5\%$), and 13 taxa of Cruciferae ($6.5\%$). As the life forms of the naturalized plants in Jeju Island were there 91 taxa of annual plants, 31 taxa of biennial plants, 16 taxa of annual or biennial plants, 57 taxa of perennial plants, and 4 taxa of trees. The distribution of the naturalized plants, the were 29 taxa thereof were located in Jeju Island, 20 taxa in Jeju Island as well as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33 taxa in Jeju Island as well as in the central part of Korean Peninsula, and 117 taxa in the entire area of South Korea. As 89 taxa thereof were originated from America, 69 taxa from Europe, 2 taxa from Africa, 22 taxa from Asia, 1 taxa from Oceania, and 16 taxa from other provinces. As 38 taxa thereof had been introduced into Jeju Island before 1921, 23 taxa from 1922 to 1963, and 138 taxa since 1964.

문헌조사 및 현지조사를 통하여 제주도 귀화식물에 관한 생활형, 출현지역, 원산지, 귀화시기 등 재조사하였다. 제주도에 자라는 귀화식물은 32과 115속 185종 12변종 2품종으로 총199분류군이 있다. 이들을 과별로 구분한 결과 국화과 43분류군($21.6\%$), 벼과 32분류군($16.8\%$), 콩과 17분류군($8.5\%$), 십자화과 13분류군($6.5\%$)의 순으로 나타났다. 제주도에 출현한 귀화식물의 생활형은 한해살이 91분류군, 두해살이풀 31분류군, 한해 혹은 두해살이풀 16분류군, 여러해살이 57분류군, 그리고 나무 4분류군으로 구분되었으며 분포지역은 제주에 분포하는 29분류군, 제주와 남부지역 20분류군, 제주와 중부 33분류군, 남한전체 117분류군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귀화식물의 원산지는 아메리카 지역 89분류군, 유럽 69분류군, 아프리카 지역 2분류군, 아시아 22분류군, 기타 17분류군이었고 귀화식물의 이입 시기는 1921년 이전에 38분류군, 1922년에서 1963년까지 23분류군, 1964년에서 2004년까지 138분류군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병화, 심상인. 2002. 우리나라 귀화식물의 발생현황. 한국잡초학회지. 22(3) : 207-217
  2. 고강석, 서민환, 길지현, 구연봉, 오현경, 연명훈, 이민효, 박수현, 양영환. 2004. 왜래식물의 영향 관리방안연구 (V). 국립 환경 연구원. p. 41-25
  3. 고강석, 서민환, 길지현, 구연봉, 오현경, 이민효, 박수현, 전의식, 양영환 .2003. 왜래식물의 영향 및 관리방안연구 (IV) 국립환경연구원. Pp. 123
  4. 고영우, 채제천, 김봉구. 1999. 제주도의 경작 잡초 분포. 한국잡초학회. 19(1) : 70-82
  5. 김문홍. 1992. 제주도식물도감. 제주도. Pp. 724
  6. 김문홍. 1993. 식물. 제주도지. 1 : 201-260
  7. 김준민, 임양재, 전의식, 2000. 한국의 귀화식물. 사이언스북스. 서울. p. 281
  8. 박만규. 1949. 우리 나라식물명감. 문교부. Pp. 340
  9. 박수현, 길지현, 양영환. 2003. 한국미기록귀화식물. 식물분류학회지. 33(1) : 79-89
  10. 박수현, 신준환, 이유미, 임종환, 문정숙. 2002. 우리나라귀화식물의 분포. 임업연구원. Pp. 184
  11. 박수현. 1994. 한국의 귀화식물에 관한 연구. 한국자연보존. 85 : 39-49
  12. 박수현. 1995.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일조각. 서울. Pp.371
  13. 박수현. 2001. 한국 귀화식물 원색도판(보유편). 一潮閣. Pp. 178
  14. 안학수, 이춘녕. 1963. 한국식물명감. 사원사. Pp. 353+Pp. 172
  15. 양영환, 김문홍. 1998. 제주도의 귀화식물에 관한 연구. 제대생명과학연구. 1 : 49-58
  16. 양영환, 박수현, 길지현, 김문홍. 2002. 제주 미기록 귀화식물(II). 한자식지. 15(1) : 81-88
  17. 양영환, 박수현, 김문홍. 2001. 제주 미기록 귀화식물(I). 한자식지. 14(3) : 247-250
  18. 양영환 2003. 제주도귀화식물의 분포와 식생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제주대학교. Pp. 108
  19. 양환승, 김동성, 박수현. 2004. 잡초(I, II, III). 이전 농업자원도서. 1102+824+Pp. 1104
  20. 이덕봉, 김연창. 1961. 美大陸 原産植物의 渡來考, 한국식물학회지. 4 : 25-30
  21. 이우철. 1996. 한국식물명고. 아카데미서적. Pp. 1688
  22. 이창복. 1989.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Pp. 990
  23. 임양재, 전의식. 1980. 한반도의 귀화식물 분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23 : 69-83
  24.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조선식물학명집. 조선박물연구회. 경성. 223+Pp. 58
  25. 京城藥專植物同好會. 1936. 朝蘇植物目錄(I). 中部 朝蘇篇. 京城. Pp. 104
  26. 森爲三. 1921.朝鮮植物名彙, 朝蘇?督府學務局. 서울. Pp. 372
  27. 長田武正. 1997. 原色日本歸化植物?鑑, 保育社. 大阪. Pp. 425
  28. 中井猛之進. 1909. Flora Koreana, Pars prima. Journ. Sci. Univ., Tokyo. 26 : 1-304
  29. 中井猛之進. 1914. ?州島?莞島植物調査報告書. 朝鮮?督府. Pp. 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