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residue program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3초

Trichlorfon (TCF)의 약욕 투여에 따른 뱀장어 체내 약물 잔류량 및 약물동태학 연구 (Residue level and pharmacokinetics of trichlorfon in the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after bath treatment)

  • 조현호;정준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93-10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뱀장어에 대한 trichlorfon (TCF)의 잔류허용기준(maximum residue level, MRL)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뱀장어를 대상으로 하여 trichlorfon (TCF) 노출에 따른 체내 잔류량 및 약물동태학적 분석을 실시했다. 28℃와 18℃ 에서 각각 30 ppm 및 150 ppm의 TCF를 30분간 약욕하여 이에 따른 체내 약물잔류농도를 LC-MS/MS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PK solver program 을 이용하여 혈청, 근육 및 간에서 TCF의 약동학 파라미터를 얻었다. 혈청, 근육 및 간에서 최고 농도(Cmax)는 25.87-357.42, 129.91-1043.73 및 40.47-375.20였고, 최고 농도 도달시간(Tmax)는 0.13-1.32 h, 1.17-3.34 h, 및 0.14-5.40 h이었으며, 배설 반감기 (T1/2)는 2.13-3.92 h, 5.30-10.35 h, 및 0.65-13.81 h이었다. 30 mg/L농도 투여군에서는 약욕 후 96시간이 지난 뱀장어의 혈청에서 TCF가 검출되지 않았으며, 근육 및 간에서는 336시간이후 부터 검출 한계 이하로 나타났다. 반면에 150 mg/L농도 투여군에서는 약욕 후 336시간이 지난 뱀장어의 혈청에서 TCF가 검출되지 않았지만, 근육 및 간에서는 336시간에도 검출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들은 향후 양식 뱀장어에 대한 trichlorfon (TCF)의 잔류허용기준(MRL) 설정에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 될 것으로 기대한다.

국가잔류검사프로그램(National Residue Program)의 개요

  • 대한양계협회
    • 월간양계
    • /
    • 제38권3호통권437호
    • /
    • pp.118-120
    • /
    • 2006
  • 정부에서는 축산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축산물가공처리법 및 식육중잔류물질 검사요령에 의거하여 항생물질 등 유해잔류물질이 들어있는 육류의 생산, 유통을 방지하기 위해 1991년에 국가잔류검사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식육에 대한 잔류물질 검사를 실시해 오고 있다.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을 비롯한 전국 16개 시ㆍ도 축산물위생검사기관에서 년간 약 10만건 이상의 가축에 의하여 잔류물질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 PDF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이 뇌졸중 환자의 연하기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on Swallowing Function of the Stroke Patients)

  • 노현정;김석환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63-7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on the swallowing function of stroke patients. Twelve-week PNF (facial, tongue, and breathing exercise) was appli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ing of 12 subjects, and a general swallowing exercise program was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consisting of 12 subjects. In addition, the signs of improvement in the stroke patients (N=24) swallowing function were examined by conducting a video 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ver. 21.0 program, which was also utilized to gain statistical information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paired t-test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arrived at. The 12-week PNF significantly improved the functional dysphagia scale, penetration-aspiration scale, pharyngeal transit time, swallowing response time, residue in valleculae, and residue in pyriform sinuses enhanced swallowing functions of the stroke patients (p<.05). In conclusion, the PNF intervention in the swallowing function of the stroke patients was found to be an effective exercise program.

Prediction of optimum pH of hydrolases

  • Sung, Nak-Gyu;Yoo, Young-Je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bio-venture fair
    • /
    • pp.571-574
    • /
    • 2000
  • Hydrolase는 생물학적 공정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효소군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hydrolase들 중에 xylanase, lysozyme, glucoamylase, barnase가 대상 hydrolase로 선택하여 최적 pH를 예측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Tanford-Kirkwood(TK) model에 기반을 두고 선택된 효소들의 catalytic residue들의 전하 변화가 optimum pH에 중요한 인자로서 그 catalytic residue들의 전하 차이가 최대일 때의 pH가 optimum pH로 나타났다. 이렇게 예측된 optimum pH 결과들은 실험적으로 결정된 optimum pH와 서로 잘 일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PDF

동물(젖소) 건강 Monitoring system 모델 개발 1. 경남 지역에서 우유내 항생재 잔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역학적 평가 (Development of a model for a national animal health monitoring system 1. Epidemiological evaluation of factors influencing drug residues of milk in Gyeongnam area)

  • 김종수;최민철;김곤섭;강호조;하대식;손성기;이종민;박일권;허정호;이주홍;안동원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544-552
    • /
    • 1998
  • A random study of 574 dairy farms in Gyeongnam area was designed to determine 1) management factors that may be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of drug residues; 2) the dairy farmer's attitudes and knowledge about residues; 3) how these variables influence the occurrence of residues in dairy cattle. Management factors perceived as having the greatest influence on drug residues in milk were insufficient knowledge about withdrawal periods, errors due to hired help, insufficient identification and record of animals treated for mastitis, dry cow treatment for mastitis, and metritis treatment. Seventy-one percent of farms with residues problem used mixed own feeds compared with twenty-nine percent of farms with premedicated feeds. Factor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of residues were herd size, increased number of hired persons, increased frequency of use of mixed-own feeds, category of medicated feed, and producer's attitude toward the public health significance of residues. Our findings suggest that residue occurrence was mainly associated with errors due to hired help, insufficient knowledge about withdrawal periods, poor animal identification and records of treatment animals and use of medicated feeds. Any residue avodiance educational program needs to stress how to deal with these factors. This educational program should be directed to dairy farmers and employees, especially temporary employees. In addition, Dairy farmer's attitudes and knowledge about drug residues need to be improved. More evidence on the public healths significance of residues should be available to them. Because belife in importance of public healths concerns was related to successful residue avidance and because 81.3% of the dairy farmers with residue problem thought public healths concerns were less important than economic ones, it would be helpful to provide educational programs specifically directed to this issue. it may be useful to provide programs not only for the dairy farmers but also change of their concerns about on the public healths.

  • PDF

동물성 식품에 대한 안전성 확보의 문제점과 대책 (Control of Chemical Residues in Animal Foods - Problems and their Countermesures -)

  • 이문한;신광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39-158
    • /
    • 1990
  • 동물성 식품의 생산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ehdafn성 약물이 사용되고 있고 공업의 발달과 더불어 각종의 공해물질이 수질과 토양을 오염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화학물질이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동물성 식품을 오염시키거나 식품에 잔류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농림수산부와 보건 사회부에서는 약제 잔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잔류 허용기준을 따로이 마련하였고 독자적으로 잔류에 대한 조사연구에 착수하였다. 잔류 약제에 대한 규제는 국민건강을 지킨다는 의미에서 착실히 추진되어야 할 것이나 생산기반이 흔들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점진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고, 국내에서의 동물성 식품의 안전성 확보를 통하여 수출을 확대하고 무분별한 수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이원화되어 있는 업무를 일원화되어야 한다. 검사를 통하여 잔류를 방지하고자 하는 정책 보다는 생산 단계에서 안전휴약기간을 지키도록 적극 교육, 홍보, 지도하여야 한다. 이 심포지엄 연제에서는 미국과 한국 농림수산부에서는 잔류검사기법에 대한 개요와 검사 계획, 국내에서의 잔류물질에 대한 조사연구 개황, 그리고 허용기준 설정방법 등에 대하여 논의한다.

  • PDF

파프리카 재배 중 살균제 boscalid와 pyraclostrobin의 사용시기에 따른 작물 부위별 생산단계 잔류특성 (Pre-Harvest Residual Characteristics of Boscalid and Pyraclostrobin in Paprika at Different Seasons and Plant Parts)

  • 조규성;이소정;이동열;김영진;최원조;이제봉;강규영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69-277
    • /
    • 2011
  •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시설 내 수출 파프리카 재배에서 급증하는 외래해충과 병해충의 방제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농약의 안전사용과 잔류 저감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실시했다. 침투성 살균제인 boscalid와 pyraclostrobin의 주성분 함량이 각각 47%와 18.8% 인 단제와 두 약제의 주성분 농도가 13.6%와 6.8%가 혼합된 합제를 기준량 및 배량이 되게 살포하여 계절별(3월과 6월)로 수확 전 18일부터 1일전까지 생산단계 농약 잔류분석을 통해 생물학적 반감기를 구하고, 열매와 잎에서의 살포 후 농약의 분포 비를 구하였다. Boscalid와 pyraclostrobin의 3월과 6월 살포한 농약의 반감기는 정량 처리 시 합제에서 boscalid의 경우 5.0일과 17.3일, 단제 처리구에서는 19.8일과 16.3일로 나타났고, pyraclostrobin은 합제 처리구에서 13.9일과 13.1일 이었고, 단제 처리구에서는 14.4일과 20.1일 이었다. 6월 처리구는 3월에 비해서 전체적으로 잔류량 검출이 합제의 경우 다소 낮았지만 단제 처리구의 경우 3월의 반 정도로 낮게 검출되었다. 배량 처리구간에서는 농약의 잔류는 두 농약 공통으로 안전사용기간 내 MRL을 초과하여 검출되는 경우가 많았고 특히 3월 처리구간이 6월에 비해 전 처리 기간 내 잔류량 감소가 거의 없거나, 더욱 높게 검출되었다. 열매와 잎에서의 농약의 분배 비율을 조사한 결과 두 농약이 적게는 20배에서 높게는 200배 정도 잎에서 생산단계 전 기간 동안 10-40 ${\mu}g\;g^{-1}$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이 같이 합제는 주성분 함량과 최종살포 농도가 단제에 비해 낮으므로 열매에서의 잔류 저감을 도모할 수 있었고, 잎에서의 두 살균제의 잔류 수준과 지속기간이 병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톱밥 혼합비율이 랜더링 처리 가축사체의 퇴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wdust Mixing Ratio on Composting of Animal Cadaver Residue Using Rendering Treatment Method)

  • 최익원;서동철;강세원;서영진;이상규;성환후;허종수;강석진;조주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404-409
    • /
    • 2012
  • 본 연구는 랜더링처리 가축사체 부산물의 농업적 재활용을 위한 퇴비화의 최적 톱밥 혼합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랜더링처리 가축사체와 톱밥의 비율을 100 : 0, 50 : 50 및 30 : 70으로 혼합하여 퇴비화 초기의 물질변환과 퇴비화 완료 후 퇴비 품질을 조사하였다. 퇴비의 온도, pH, Ammonia 및 $CO_2$의 발생은 시험개시 3일째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그 이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였고, 유기물함량은 각각의 혼합비율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랜더링처리 가축사체와 톱밥의 비율이 100 : 0 처리구에서는 퇴비화의 진행속도가 느리거나 온도가 적정수준까지 상승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30 : 70 처리구에서는 퇴비화 과정에서 유기물대 질소비가 부산물비료 공정규격 50이하를 충족시키지 못하였다. 따라서 랜더링처리 가축사체와 톱밥의 혼합비율은 100 : 0과 30 : 70에 비해서 50 : 50이 가장 적합하였다. 랜더링처리 가축사체와 톱밥을 50 : 50으로 혼합하여 제조된 퇴비의 유기물 규격함량과 유해물질(As, Cd, Cu, Cr, Hg, Ni, Pb 및 Zn)의 함량 및 그 밖의 규격 (유기물대질소비, 염분함량 및 수분함량)을 조사한 결과 비료 공정규격을 충족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고, 추후 퇴비의 상품화를 위해서는 병원성 미생물, 대장균, 살모넬라균 및 부숙도 조사를 통한 안전성 검토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이싱 테이프용 자외선 경화형 점착제의 접착 물성 (Adhesion Properties of UV-cura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for Dicing Tape)

  • 도현성;김성은;김현중
    • 접착 및 계면
    • /
    • 제5권4호
    • /
    • pp.1-8
    • /
    • 2004
  • 다이싱 테이프에 사용되는 UV경화형 점착제를 아크릴 공중합체를 butyl acrylate, acrylic acid, methyl methacrylate를 용액 중합을 통해 중합한 뒤,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를 블렌딩하여 제조하였다. 제조된 점착제는 UV 조사량에 따라 접착력, 유리전이온도 ($T_g$)를 측정하였는데 UV 조사량이 증가할수록 접착력은 급격하게 감소하였고 $T_g$도 증가하였다. 웨이퍼 표면에 점착 샘플을 부착하여 UV 조사 후 박리하여 표면을 관찰한 결과 점착잔류물을 남기지 않았다.

  • PDF

Amoxicillin의 근육투여에 따른 수온별 넙치 체내 약동학적 특성 (Pharmacokinetics of amoxicillin after intramuscular injection at different temperatures to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지수;이지훈;이수진;박관하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3-51
    • /
    • 2015
  • 아목시실린(AMOX)의 수온에 따른 약동학적 특성과 잔류량을 알아보기 위해 넙치(평균 100 g)를 $(17{\pm}2)^{\circ}C$$(22{\pm}2)^{\circ}C$에 수용하여 1회 근육투여한 후 시간에 따른 혈장, 간, 신장의 잔류농도를 HPLC-UVD로 분석하였다. 이 측정결과를 바탕으로 2-compartmental model로 PKSolver program을 이용하여 AMOX의 반감기, AUC 등의 pharmacokinetic parameter를 조사하였다. 혈장, 간, 신장의 최고농도 및 도달시간의 범위가 각각 $27.23-257.36{\mu}g/m{\ell}$ (0.05-0.91 h), $5.49-41.65{\mu}g/g$ (1.36-3.28 h), $16.75-129.31{\mu}g/g$ (1.95-4.49 h)으로 나타났다. 수온에 따른 잔류기간을 시험하기 위해 어체중 kg 당 40 및 400 mg을 투여한 후 LC-MS/MS로 분석하였다. 40 mg/kg은 5일 후, 400 mg/kg은 7일 후에 각각 최대잔류허용량인 0.05 mg/kg 이하로 검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