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Competence Standard (NCS)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3초

직업기초능력 평가시스템의 기술성능 평가를 위한 표준지표 설계 연구 (A Design Study of Standard Indicators for Evaluating the Technical Performance of an NCS Core Vocational Competence System)

  • 김승희;장영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11-117
    • /
    • 2017
  • 본 논문은 능력중심사회를 구현하고 산업현장과 교육, 훈련, 자격제도의 불일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가직무능력표준과 부합되어 취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재교육과 사회적비용등의 근본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인프라로 한국형 NCS직업기초능력평가시스템을 설계하고 부가적으로 시스템의 기술성능 표준지표를 개발하여 한국형 NCS직업기초능력시스템의 해외진출 성과를 창출하기 위한 연구이다. NCS직업기초능력시스템은 컴퓨터, 태블릿PC, 스마트폰등의 멀티디바이스에 적절한 반응형으로 개발되어지며 글로벌 보급을 위하여 연계대상 운영체제,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패킷포맷, 암호화, Class Component, 동시접속 수, 감독관-수검자 응답속도, 서버-관리자 응답속도, 응시답안 자동복구 속도, 실시간 답안전송 속도의 국제적 표준에 부합되는 10개 성능평가 지표를 설계하고 개발한다.

문헌정보학 전공에서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한 교과목 운영에 관한 연구 - 교수자의 교육경험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Major Courses Operation on National Competence Standards(NCS) at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ocusing on Educational Experience of Instructor)

  • 권선영;차성종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29-149
    • /
    • 2016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전공의 교육과정에서 NCS를 적용한 교과목을 실제로 운영한 교수자들의 경험을 FGI 조사를 통해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NCS 기반의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의 개선에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는 첫째, 교육현장에 도입된 NCS에 대해 교수자들은 전반적으로 NCS의 취지와 배경을 잘 알고 있었고, 문헌정보학 NCS 교과과정에 대해 직무요소 도출의 비 적절성, 실제 교육 및 실무현장의 의견 미반영, NCS 분류체계의 문제 등을 제시하였다. 둘째, NCS 교과 운영 경험에서는 산출물 서류 작업의 부담감, 평가의 방법이나 시기의 차별성, 학생과의 의사소통 필요성에 대한 의견 등이 제시되었다. 셋째, NCS 교과 운영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적절한 수업인원 및 교육시간의 부여 필요성, 추가 교육시간 및 재평가의 필요성, NCS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지원시스템의 구축 필요성, 실습기자재의 구비 필요성, 상대평가제도와 NCS 평가제도와의 불일치 문제, 교육현장 및 실무에 적용될 수 있도록 능력단위와 수행준거의 보완 필요성 등을 제기하였다. 넷째, 향후 NCS 교과의 개선방안에 대해서는 수업인원의 적절한 배정, 실습기자재의 충분한 지원, 문헌정보학 분야의 특수성 및 현장 실무와 경험을 반영한 능력단위 및 능력단위요소의 개선 등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문헌정보학 전공에서 향후 NCS에 기반을 둔 적절한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전문대학 조리관련 학과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직업기초능력 기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Educational Needs Assessment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based on Key Competencies of National Competence Standard(NCS) for Department related Culinary Arts in a 2-Year College)

  • 나태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8-66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priority of educational needs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based on key competencies of NCS for departments related to culinary arts in a 2-year college.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survey has been distributed to cooks working in hotel restaurants or restaurant companies by social network service and a total of 360 responses were analyzed excluding 18 responses. The collected surveys were analysed by using paired t-test, Borich's needs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importance and present level about key competencies recognized by cooks working in restaurant compan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9 fields of key competencies excluding mathematical competence. The difference recognized by cooks working in hot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10 fields of key competencies. Second, the results of Borich's needs assessment showed that the education needs of problem solving competence were the highest, followed by interpersonal, resource management, communication, information competence. Finally, considering both Borich's needs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analysis, cooks working in hotel restaurants recognized that educational needs of communication,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information competence were the top priority, and cooks working in restaurant companies recognized that educational needs of communication, interpersonal, skill, resource management competence were the top prior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curriculum for culinary arts specialists based on key competence of top priority.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ing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 박재현;최성희;정영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7-26
    • /
    • 2020
  • In Korea, primary school (also junior high school) is compulsory and free since 2004. But it looks high school is also compulsory, as over 80% of adults has a high school diploma currently. For 20 years improving high school education is only education-oriented, rather than occupation-oriented. And, the mismatch between the occupational requirement and the lesson from school is getting larger. To resolve this issue, the Korean government builds and utilize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to realize a competence-oriented society. With NCS, the government enables to run of a work-study program and tries to suggest the fundamental solution to improve occupational ability and the unemployment of young people. However, the prejudice against the education level and occupation is still engrained, and it is hard to match the education-career-qualification based on NCS. Therefore, we study NCS from the definition to the utilization, suggest an improving method to flexibly utilized the standards in the fields, and continuously improve and develop the NCS.

문헌정보학 전공에서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한 교육과정 적용 및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urriculum Application and Improvement based on National Competence Standards(NCS) at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권선영;백지원;차성종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41-169
    • /
    • 2015
  • 본 연구는 지역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역량중심 인재양성과 학생들의 학습의 질 향상 등 글로벌화에 따른 대 내외 환경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고등전문직업인 양성을 위한 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과 개선을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을 운영한 후 사전/사후, 진단평가를 통해 교육성과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NCS를 적용한 교과목은 교육성과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육성과와 운영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문헌정보학 전공 교과목의 NCS 적용에 있어 향후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도서관 및 관련 업체의 이해관계자나 근로자, 교육기관 및 훈련 기관 관계자 및 학생, 또 자격심사 관련자들이 국가직무능력표준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또 수정 보완할 사안에 대한 다양한 피드백을 받아 차후 더욱 개선된 국가직무능력표준을 적용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AHP기법을 활용한 간호사의 NCS직업기초능력 우선순위 분석 (Priorities Analysis of NCS Vocational Key Competence of Nurse using AHP Method)

  • 박지연;이명선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83-95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understand the priorities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vocational key competence factors in nurse who is work in Seoul and Incheon. Methods: The design of this study is descriptive investigation research, and the subjects were 144 nurse. we establish the vocational key competency defined i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as analytic hierarchy analysis model. The vocational key competency has 10 categories and 34 sub-categories. And based on the survey in nurse, the weight representing relative importance of each factor were calculated by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 Results: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alysis on 10 categories showed that professional ethics(0.149) was higher than any other categories while that of numeracy(0.040) was at the bottom. And the analysis on sub-categories reveale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each categories included the Ethical community(Professional ethics), Conflict management skills(Interpersonal skills), Problem solving capability(Problem-solving skills), Listening skills(Communication skills), Applicable technical skills(Technical skills), Ability to understand business(Ability to understand organizational structures), Information processing capabilities(Information capacity), Self-management skills(Self-development capability), Ability to manage time(Resource management capabilities), Basic math skills(Numeracy). Conclusions: The results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liberal arts curriculum for Nursing.

  • PDF

국가직무능력표준을 활용한 병원행정 전문인력 교육과정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university education for Hospital administrator based on the NCS)

  • 박남수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2-3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pport for quality improvement of educational curriculum on hospital administrator through the comparison of competence of new employee and need of field experts based on NC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implemented the self-report survey about competency and need on job skills of hospital administrator. According to the comparison, it is defined the point that is needed curriculum improvement and the competency gap between hospital and university hospital. This is support to be establish the base for the qualified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for hospital administrators. NCS is useful as standardized tool for identify the gap between need and competency and as suggestion for education improvement of hospital administrator.

  • PDF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4년제대학 정보시스템개발 교육과정을 위한 중요도분석연구 (An Importance Analysis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for 4-year College Information Systems Development Curriculum)

  • 김재경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17-129
    • /
    • 2017
  • 본 연구는 4년제 대학의 정보시스템개발 교육과정과 연관된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NCS)에서 제시된 학습모듈을 파악하고 정보시스템개발 교육과정에 대한 NCS의 활용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두 전문가 그룹인 대학교수와 정보시스템개발자를 대상으로 NCS의 응용SW엔지니어링 분야에 속한 26개 능력단위의 중요도를 계층화분석과정을 통해 능력단위별로 쌍대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능력단위별 능력단위요소들에 상대적 중요도는 요구사항 확인하기, UI요구사항확인하기, 물리데이터저장소설계하기, 개발자통합테스트하기와 개발자결함조치하기로 나타났다. 둘째, 초 중급개발자 그룹은 시스템개발 이행단계에 속한 능력단위요소를 보다 중요하다고 판단하였고, 고급개발자 그룹은 이론중심의 설계와 관련 있는 능력단위요소를 중요하다고 제시하였다. 또한 교수자 그룹은 두 개발자 그룹이 각각 중요하다고 판단한 실무 및 이론적 내용 모두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정보시스템개발 관련 직무수행역량의 함양과 교육의 질적 제고를 가져올 수 있는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실전 창의형 인재 양성을 위한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의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NCS Based Vocational Curriculum Model for the Practical and Creative Human Respirces)

  • 김동연;김진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01-121
    • /
    • 2014
  • 이 연구는 고교 단계에서의 실전 창의형 인재 양성을 위한 NCS 기반 직업교육과 정의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연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사용한 연구 방법은 국내 외 문헌 연구, 내용 분석 연구, 사례 연구, 전문가(9명) 협의회 및 검토 자문 위원(3명)의 심층 면담 조사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또한 구안한 모형(안)의 타당도 확보를 위해 평균, 표준 편차, 내용 타당도 비율(CVR)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개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CS 개발 매뉴얼과 훈련기준 활용 훈련과정 편성 매뉴얼, NCS 학습모듈 개발 매뉴얼과 사례집, NCS 연구보고서, NCS 기반 고교 단계 직업교육과정의 시범 개발 자료집과 사례 연구 분석, 국내 외 직업교육 모형 등 NCS 관련 선행 및 문헌 연구를 토대로 실전 창의형 인재 양성을 위한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의 기본 모형(안)을 개발하였고 둘째, 구안한 모형(안)의 단계별 영역별 해당 하위 구성 요소 도출 자료를 토대로 전문가 심층 면담 조사 내용과 의견을 반영하여 최종 19개를 도출하였다. 즉 1단계의 영역별 하위 구성 요소로 능력단위, 능력단위정의, 능력단위요소, 수행준거, 적용범위 및 작업상황, 평가지침, 직업기초능력이고 2단계의 영역별 하위 구성 요소는 교과목명, 교과목표, 대단원명, 대단원목표, 교수 학습 방법, 평가방법, 직업기초능력이며 3단계 영역별 해당 하위 구성 요소로 NCS 기반 교과목 행렬표, NCS 기반 교과목 프로파일,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편제표, NCS 기반 교과목 전체 구성도,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의 운영계획서를 도출하였다. 셋째, 1단계와 2단계 각각의 해당 하위 구성 요소를 3단계의 NCS 기반 교과목 프로파일과 연계 구성하여 모형(안)을 개발하였다. 넷째, 모형(안)에 대해 단계별 영역별로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평균이 4.67이고 CVR 값은 1.00으로 타당도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해당 하위 구성 요소 도출 내용에 대한 평균이 모두 4.33 이상이며 CVR 값은 1.00으로 타당도가 매우 높았고 모형(안)의 연계 구성에 대한 평균도 모두 4.33 이상이며 CVR 값도 1.00이었다. 그리고 표준 편차는 .50 이하로 편차가 모두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문가에 의한 타당성 검증 자료와 검토 자문 위원들의 심층 면담 조사 내용을 토대로 모형(안)을 수정 보완 단계를 거쳐 고교 단계에서의 실전 창의형 인재 양성을 위한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의 모형을 개발하였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근거한 조경분야 교육과정 개발 방법론 - 갭분석을 중심으로 - (A Methodology to Develop a Curriculum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 Focused on Methodology for Gap Analysis -)

  • 변재상;안성로;신상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40-53
    • /
    • 2015
  • 산업현장의 변화와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하기 위하여 2001년에 국무조정실을 중심으로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이하 NCS)와 국가자격체제(National Qualification Frameworks, 이하 NQF)의 도입이 결정되었다. 건설분야 내 조경 역시 2008년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조경"이 시범 개발되어 2009년부터 3년간 시범운영되었다. 특히 2013년 출범한 박근혜 정부의 주요 국정과제 중 하나로 '학벌이 아닌 능력 중심의 사회 구현'이 채택되면서, 이를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NCS 체제 구축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시점이다. 그러나 국가에서 개발한 NCS의 경우, 이상적인 직무수행능력을 명시하였기 때문에 각 대학의 학생수준의 차이, 기자재와 교수들의 확보문제, 현행교육과정의 시수 문제 등 실질적인 운영상의 문제점을 반영하지 못한 단점이 있으므로, 이를 현실적인 교육과정에 연착륙시키기 위해서는 현재의 교육과정과 NCS와의 차이 즉 갭(gap)을 명확히 분석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갭분석은 기존의 교육과정을 NCS 기반 교육과정으로 개편하기 위한 초기 단계의 방법론으로 NCS 능력단위별 능력단위요소와 수행준거를 기준으로 학과 내 기존 교육과정과의 괴리도 혹은 일치 정도를 1에서 5까지 리커트 척도를 활용하여 기입한 후 분석하는 방법이다. 이처럼 현재의 대학 내 교육과정과 NCS와의 일치 및 괴리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향후 NCS 운영을 희망하는 대학에서는 NCS의 적용 가능성과 개발 운영 이후의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는 기초 도구를 확보할 수 있다. 갭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개편의 장점으로는 첫째, 정부의 재정지원 사업과 연계하여 정성적인 학과별 NCS 도입률에 대한 정량적 지표를 제공할 수 있으며, 둘째, NCS 기반 교육과정 개편 시 부족한 혹은 포화상태인 부분에 대한 객관적인 기준을 제공해 준다. 즉, 해당 NCS 세분류 도입 시 부족한 능력단위 및 능력단위요소를 추출할 수 있으며, 기존 과목별 능력단위요소별로 보완 사항도 추출할 수 있는 동시에, 이를 통한 상세 강의계획서 및 기초 교과목 개설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해 주는 장점이 있다. 다만, 현재까지 개발된 갭분석의 이론을 보완하여 보다 체계적으로 정비해야 하는 과제는 남아 있다. 교육부, 고용노동부는 산업현장의 요구를 교육훈련 및 자격에 체계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관련 산업계 인사들이 모여 실무적인 차원에서 NCS 표준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보급하여야 하며, NCS 적용을 희망하는 대학에서는 일과 자격이 연계될 수 있는 교육과정을 NCS 기반으로 개편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에서는 관련 산업 전망 및 대학 내 교수자원과 지역 산업과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적용하고자 하는 NCS 세분류를 명확히 선정하여야 할 것이다. 이후 NCS 기반 교육과정 개편을 위해 갭분석을 사용하여 개편의 방향과 기준을 보다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수립하여 교육과정명세서에 대한 명확한 논리적 근거를 확보하고 있어야 과정이수형 자격제도에 효율적으로 동참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