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Cl replacement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5초

Different Effect of Sodium Chloride Replacement with Calcium Chloride on Proteolytic Enzyme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ent Hen Samgyetang

  • Barido, Farouq Heidar;Lee, Sung K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869-882
    • /
    • 2021
  • Sodium chloride (NaCl) replacement with calcium chloride (CaCl2) effect on protein solubility, proteolytic enzyme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a chicken soup prepared from spent hen (SH) chicken were investigated. By means of immerse marination prior to cooking, a total of 60 skinless SH breast meat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ten groups admitted to treatments with marinade solution containing sodium tripolyphosphate (STPP) and reduced percentage of NaCl with CaCl2 at 0%, 25%, 50%, 75%, and 100% at 4±2℃ for 20 h. STPP was adjusted to 0.5% for all treatments and NaCl replacement at 0% was used as control. The different methods, particularly boiling at 100℃ and retorting at 121℃, 1.5 kgf/cm2 for 60 minutes, were applied following marination. An upregulation of cathepsin-B and caspase-3 enzymes were a consequences from a higher percentage of CaCl2 within meat environment. Accordingly, modified the protein solubility in particular the myofibrillar and total protein solubility. In addition, a significant increase in water holding capacity (WHC), pH value, myofibril fragmentation index (MFI), and moisture content was obtained due to salt replacement (p<0.05). Limited effect was observed for shear force value, collagen content and cooking yield. Eventually, this study implied that although protelytic enzyme and protein solubility was upregulated by the replacement of NaCl with CaCl2 at >75%, extensive effect on texture properties was not observed. Therefore, NaCl replacement at 75% could be a promising strategy for quality improvement of SH chicken soup.

NaCl 수용액 중에서 고로슬래그미분말의 알칼리실리카반응에 대한 팽창억제 메카니즘 (Mechanism on Suppression of Alkali Silica Reaction by Ground Granulated Blast-Furnace Slag in NaCl Solution)

  • 김창길;삼포상;강원호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5-121
    • /
    • 1997
  • 본 연구는 NaCl 수용액 중에서 고로 슬래그미분말의 알칼리실리카반응에 대한 팽창억제 특성 및 그의 메카니즘에 관한 것이다. 실험에 사용된 NaCl 수용액의 농도는 0%(수도수), 2.8% 및 20%였으며, 골재는 안산암을 사용하였다. 슬래그는 비표면적이 $4,100cm^2/g.\;5,960cm^2/g$$7,950cm^2/g$인 3종류를 사용하였고 치환율은 시멘트중량에 대하여 40%, 60%, 70% 및 80%로 하였다. NaCl 수용액에 있어서 슬래그를 첨가한 공시체는 치환율이 많을수록 수축률은 높게 되었고 그의 값은 비표면적이 클수록 높게 나타났다. 슬래그에 의한 알카리실리카반응의 유해한 팽창의 억제는 슬래그의 첨가에 의한 경화 콘크리트의 화학적 수축에 의해서도 달성됨이 확인되었다.

돈육식품의 품질에 미치는 Chloride Salts의 대치 효과 (Effect of Partial Replacement of Sodium Chloride on Quality of Ground Pork Patties)

  • 박영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23-133
    • /
    • 1994
  • The ground pork patties were made to add two level of sodium chloride(2.5%, 3.0%) and replace part(50%) of the sodium chloride(NaCl) with either potassium chloride(KCl), magnesium chloride(MgCl2) or calcium chloride(CaCl2). These samples were analyzed for their chemical composition, VBN value, TBA value, microbial counts, and cooking loss. The ground pork with NaCl 2.5% was more desirable in saltness than the ground pork with NaCl 3.0%. Replacing 50% of the sodium chloride with potassium chloride was more desirable to flavor, color, juic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than replacing 50% of the sodium chloride with either magnesium chloride or calcium chloride. The ground pork with NaCl 2.5% or NaCl 1.25% +KCI 1.60% had higher pH value than the ground pork with NaCl 1.25% +MgCl2 0.67% or NaCl 1.25% +CaCl2 0.79%. The ground pork with the ground pork with NaCl 2.5% had lower VBN value than the ground pork with either NaCl 1.25%+KCI 1.60%, NaCl 1.25% + MgCl2 0.67%, or NaCl 1.25% +CaCl2 0.79%. The ground pork with NaCl 1.25% + CaCl2 0.67% had higher increase in total colony count than the ground pork with NaCl 2.5% or NaCl 1.25% + CaCl2 0.79%. Cooking loss of ground pork with NaCl 2.5% was lowest and cooking loss of ground pork with NaCl 1.25% + KCl 1.60% was highest. Potassium chloride would not be a substitute for sodium chloride in cooking loss and total colony count but potassium chloride more closely approximated the sensory properties of sodium chloride than either magnesium chloride or calcium chloride.

  • PDF

저염 깍뚜기의 관능적 특성 (Sensory Characteristics of Low Sodium Kakdugi)

  • 김인혜;김광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80-385
    • /
    • 1990
  • 대체염을 사용한 저염식품의 이용가능성을 제시해 보고자 대체염의 상대염도를 조사하고, 혼합염 용액의 관능적 특성 및 혼합염으로 제조한 깍뚜기의 품질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0.5% NaCl 용액에 대한 $MgCl_2$ 용액과 $K_{2}SO_4$ 용액의 상대염도는 각각 $0.11{\sim}0.12$$0.08{\sim}0.09$에 해당하였고 0.5%, 1.0%, 1.5및 2.0% NaCl 용액에 대한 KCI용액의 상대염도는 각각 0.52, $0.55{\sim}0.58$, 0.76 및 0.76에 해당하였다. 혼합염 용액의 관능적 특성을 평가한 결과 KCI의 대체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쓴맛, 금속성 향미, 떫은 느낌의 강도가 증가하였다. NaCl의 일부 또는 전부를 KCI로 대체하여 제조한 깍뚜기는 경도, 쓴맛, 신맛, 짠맛, 불쾌한 향미 및 적합성의 모든 관능적 특성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pH와 산도는 KCI 대체수준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UTM에 의한 경도측정 결과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KCI에 의한 대체율이 50% 이하인 깍뚜기는 NaCl만을 첨가한 깍뚜기와 비교할 때 경도 신맛 및 짠맛에서 큰 차이가 없고 쓴맛과 불쾌한 향미는 비교적 적어서 그 사용 가능성이 크다고 보여지며 앞으로 저염섭취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다른 여러 가지 식품에서도 대체염이 이용될 수 있도록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 PDF

조리방법에 따른 채소류의 품질 변화 (Quality Changes of Vegetables by different Cooking Methods)

  • 김병철;황진영;우현정;이세미;조형용;유영미;신해헌;조은경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0-53
    • /
    • 2012
  • $90^{\circ}C$의 물, 0.5% NaCl 용액, 1.0% Nacl 용액, $400^{\circ}C$ 과열수증기 등을 사용하여 가열 조리한 오이, 애호박, 당근, 무, 양파 등의 채소류의 품질변화를 살펴보았다. 가열에 의한 채소류의 pH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가열조리한 채소류의 색 변화를 Hunter 색차계를 사용하여 L값(밝기), a값(적색도), b값(황색도)을 측정한 결과 $400^{\circ}C$ 과열수증기로 30초간 처리한 채소류의 색변화가 $90^{\circ}C$의 물, 0.5% NaCl 용액, 1.0% Nacl 용액에서 처리한 것보다 L값(밝기), a값(적색도), b값(황색도)등의 변화가 적어 변색이 적게 일어난 결과를 나타내었다. 채소류에 존재하는 오염 미생물은 $400^{\circ}C$ 과열수증기로 30초간 처리한 채소류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생육이 억제되었다. 가열조리에 의한 비타민C의 함량 변화는 조리방법과 채소류의 종류에 따라 비타민C 잔존율에 차이가 있었다. 고온의 과열수증기를 이용한 단시간 조리법은 $900^{\circ}C$의 물, 0.5% NaCl 용액, 1.0% NaCl 용액 등에서 처리한 일반 가열조리법에 비하여 pH, 색, 세포연화, 비타민C 감소율 등의 변화가 적게 나타났다. 본 논문의 연구 자료는 앞으로 진행될 가정 대용식(HMR, Home Meal Replacement)의 개발에 이용될 것이다.

  • PDF

KCl 또는 MgCl2의 NaCl 대체 소시지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oked Sausage Substituted with KCl or MgCl2 for NaCl)

  • 진상근;김일석;허인철;남상해;강석남;신대근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5호
    • /
    • pp.81-89
    • /
    • 2011
  • 본 연구는 염화칼륨과 염화마그네슘의 첨가를 통한 염화나트륨의 대체가 소시지의 품질 특성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CTL(1.5% 염화나트륨), KCL(0.9% 염화나트륨 + 0.6% 염화칼륨), MCL(0.9% 염화나트륨 + 0.6% 염화마그네슘), KML(0.9% 염화나트륨 + 0.3% 염화칼륨 + 0.3% 염화마그네슘) 그리고 PST(1.5% Pansalt)로 처리하며 제조한 소시지를 $4^{\circ}C$에서 30일간 저장하며 분석하였다. 명도를 나타내는 CIE $L^*$과 적색도를 나타내는 CIE $a^*$는 CTL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MgCl_2$를 첨가한 처리구인 MCL과 KML에서는 높은 CIE $L^*$$a^*$를 나타내었다(p<0.05). pH는 저장 기간 중 CTL에서 다소 높게 나타난 반면 $MgCl_2$를 첨가한 처리구에서는 두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수분함량은 저장초기 KML에서 다소 높게 나타난 반면 조지방, 보수력, 경도 그리고 응집성에서는 MCL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황색도를 나타내는 CIE $b^*$는 Pansalt를 첨가한 PST에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나 검성과 씹힘성은 $MgCl_2$을 첨가한 MCL과 KML 처리구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결과적으로 KCl을 이용한 NaCl의 일부 대체는 소시지의 조직적 측면에서는 많은 개선이 있었으나 육색에서는 다소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NaCl을 $MgCl_2$로 대체한 소시지에서는 $MgCl_2$의 함량 조절을 통한 $MgCl_2$ 특유의 쓴맛을 개선할 수만 있다면, 기존 제품 대비 육색과 조직감이 상당히 개선되면서도 Na의 함량 또한 저감시킬 수 있는 소시지의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외 나트륨 저감 기술 동향 (Domestic and International Trends in Technologies for Sodium Reduction)

  • 정광호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49권2호
    • /
    • pp.18-24
    • /
    • 2016
  • Sodium chloride (NaCl) is a very important as one of major food ingredients in food industries. Recently, as the potential risk of adult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by overingestion of sodium, health authorities of many countries are executing policies for the reduction of sodium to suppress the overingestion of sodium by intake of NaCl. As general ways, the replacement of NaCl with either alternative salts, such as solar salts and minerals, for examples calcium, magnesium, potassium, lactic acid, and so on, and the addition of flavor enhancers were used to reduce the contents of sodium in foods. Recently, controls of particle size of sodium chloride or release point are emerging as new salt-manufacturing technologies for the sodium reduction. Upon reducing NaCl in foods it is important to develop practically adaptable technologies on the basis of the consideration of the unique functions of NaCl in foods, in particular effects on rheological characters, function as a humectant, shorten shelf life time, and so on.

Effect of NaCl/Monosodium Glutamate (MSG) Mixture on the Sensorial Proper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Model Meat Products

  • Chun, Ji-Yeon;Kim, Byong-Soo;Lee, Jung-Gyu;Cho, Hyung-Yong;Min, Sang-Gi;Choi, Mi-Ju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576-581
    • /
    • 2014
  • Sodium chloride is an important ingredient added to most of foods which contributes to flavor enhancement and food preservation but excess intake of sodium chloride may also cause various diseases such as heart diseases, osteoporosis and so on.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nosodium glutamate (MSG) as a salty flavor enhancer on the quality and sensorial properties of the NaCl/MSG complex and actual food system. For characterizing the spray-dried NaCl/MSG complex, surface dimension, morphology, rheology, and saltiness intensity were estimated by increasing MSG (0-2.0%) levels at a fixed NaCl concentration (2.0%). MSG levels had no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Cl/MSG complex, although the addition of MSG increased the surface dimension of the NaCl/MSG complex significantly (p<0.05). Furthermore, the effect of MSG on enhancing the salty flavor was not observed in the solution of the NaCl/MSG complex. In the case of an actual food system, model meat products (pork patties) were prepared by replacing NaCl with MSG. MSG enhanced the salty flavor, thereby increasing overall acceptability of pork patties. Replacement of NaCl with MSG (<1.0%) did not result in negative sensorial properties of pork patties, although quality deterioration such as high cooking loss was found. Nevertheless, MSG had a potential application in meat product formulation as a salty flavor enhancer or a partial NaCl replacer when meat products were supplemented with binding agents.

대체염을 이용한 저염 김치의 발효특성 (Characteristics of Low-Salt Kimchi Prepared with Salt Replacement during Fermentation)

  • 한영숙;오지영;김영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647-651
    • /
    • 2002
  • 소금과 대체 가능성이 있는 KCl, $MgSO_4,\;MgCl_2,\;CaSO_4$를 일정비율로 첨가하고 L-lysine, glutamic acid, succinic acid를 증미료로 첨가하여 대체염을 제조하였으며, 대체염으로 저염김치를 제조하여 pH, 산도, 총균수, 젖산균수, 효모수 및 관능평가를 통해 저염 김치의 발효 특성을 조사하였다. 대체염으로 제조된 저염 김치는 대조군(NaCl 2.5%)에 비해 pH는 높게 나타났고, 산도는 발효 초기에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발효 3일 이후에는 대조군에 비해 대체염으로 제조된 저염 김치가 산도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총균수의 경우 대체염 중 SR-8으로 제조된 저염 김치가 발효 5일경까지 대조군에 비해 균수 증가가 적었고, 젖산균의 경우는 저염 김치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대조군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효모균수의 경우 대조군, 저염 김치 모두 발효 5일까지 균수가 크게 증가한 후 완만한 균수를 보였고, 저염 김치중 대체염 SR-8으로 제조된 김치가 대조군 보다 효모 증식이 다소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맛, 질감, 전반적인 기호도에 관하여 평가하였을 때 맛, 전반적인 기호도는 시료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질감은 시료간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대체염 SR-3으로 제조된 저염 김치가 가장 단단하여 대조군 및 대체염 SR-6, SR-8, SR-9으로 제조된 저염 김치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전반적인 기호도 면에서는 대체염 SR-1, SR-3, SR-10으로 제조된 저염 김치가 대조군과 가장 유사한 값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대체염으로 제조한 저염 김치 중 쓴맛과 이미를 보인 저염 김치를 제외하고 대조군에 비해 관능적인 면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NaCl 함량의 감소로 인한 김치의 발효가 촉진되지 않았으므로 대체염을 이용한 저염 김치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Use of alternative curing salts for processing salamis

  • Yim, Dong-Gyun;Chung, Ku-Young;Jo, Cheorun;Nam, Ki-Cha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1호
    • /
    • pp.123-128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effects of different curing salts on the quality of salamis and to assess feasibility of using NaCl-alternative salts. Methods: Various types of curing salts (KCl or $MgCl_2$) as well as NaCl (sun-dried or refined) were incorporated for processing of salamis. The proximate composition, fatty acids, nucleotide-related compounds, and free amino acids of the salamis were analyzed during 40 days of ripening. Results: The substitution of NaCl by KCl caused higher fat and ash content, but lower moisture content of the salami after 20 days of ripening (p<0.05). Compared with the sun-dried NaCl, use of KCl in salami also led to greater inosine 5'-monophosphate whereas refined NaCl had more inosine (p<0.05). KCl-added salami also had a higher C12:0, C17:1, and C20:0 than other types of salami (p<0.05). $MgCl_2-added$ salami had higher content of free amino acids compared to the other salamis (p<0.05). Conclusion: Alternative curing salts such as KCl and $MgCl_2$ could substitute NaCl in consideration of quality factor of a fermented meat product. Especially replacement of NaCl with KCl will be a suitable strategy for developing relatively low sodium salami products without compromising product 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