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B$H_{4}$

검색결과 643건 처리시간 0.033초

Characterization of Endolysin LysECP26 Derived from rV5-Like Phage vB_EcoM-ECP26 for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 Park, Do-Won;Park, Jong-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10호
    • /
    • pp.1552-1558
    • /
    • 2020
  • With an increase in the consumption of non-heated fresh food, foodborne shiga toxin-producing Escherichia coli (STEC) has emerged as one of the most problematic pathogens worldwide. Endolysin, a bacteriophage-derived lysis protein, is able to lyse the target bacteria without any special resistance, and thus has been garnering interest as a powerful antimicrobial agent. In this study, rV5-like phage endolysin targeting E. coli O157:H7, named as LysECP26, was identified and purified. This endolysin had a lysozyme-like catalytic domain, but differed markedly from the sequence of lambda phage endolysin. LysECP26 exhibited strong activity with a broad lytic spectrum against various gram-negative strains (29/29) and was relatively stable at a broad temperature range (4℃-55℃). The optimum temperature and pH ranges of LysECP26 were identified at 37℃-42℃ and pH 7-8, respectively. NaCl supplementation did not affect the lytic activity. Although LysECP26 was limited in that it could not pass the outer membrane, E. coli O157: H7 could be effectively controlled by adding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and citric acid (1.44 and 1.14 log CFU/ml) within 30 min. Therefore, LysECP26 may serve as an effective biocontrol agent for gram-negative pathogens, including E. coli O157:H7.

안면신경마비 후유증 정안침 증례보고 (Case Study of a Patient with Sequelae of Facial Palsy)

  • 이은지;김성태;권민구;신현권;고용준;강수우;나재일;설재욱;조현정;정필선;현민경;정민영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47-351
    • /
    • 2015
  • This study examines a clinical progress of treatment for the sequelae of facial palsy through Jung-ahn acupuncture. The patient in this case was diagnosed with facial paralysis a few years ago.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but was given up without improvement. The paretic symptom was found out in left side of the face. Also facial spasm and epiphora caused by blepharoptosis were existed. The patient got 8 times Jung-ahn acupuncture treatment from September 18th, 2014 to September 26th, 2014. House-Brackmann facial nerve grading system(H-B scale) was implemented. On the first time of the treatment, H-B scale was Grade Ⅴ and facial nerve grading was 2/8. Facial spasm and epiphora caused by blepharoptosis in lower eyelid were appeared on facial expressions and conversation. After total 8 treatments(therapies), H-B scale was Grade Ⅲ and facial nerve grading was 5/8. The symptoms of facial paralysis and blepharoptosis were improved. Jung-ahn acupuncture is estimated to be effective in facial palsy sequela. More cases are required to develop treatment of facial palsy sequela.

느티만가닥버섯의 단백질분해효소 활성과 연육증진효과 (Protease activity and meat-tenderizing effect of Hypsizygus marmoreus)

  • 신복음;백일선;김정한;이윤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35-24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단백질분해효소활성이 있는 느티만가닥버섯을 분말 시료화하여 pH, 염도, 온도에 따른 단백질분해효소활성의 변화와 시료 첨가량에 따른 소고기의 육질 변화를 분석하였다. 느티만가닥버섯과 키위의 단백질분해효소 활성을 분석한 결과 느티만가닥버섯은 3.8 unit/ml, 키위가 2.4 unit/ml로 나타났다. 느티만가닥버섯과 키위 시료를 첨가량별로 소고기에 첨가하였을 때 키위 시료를 첨가한 소고기의 pH는 감소하고 가열감량은 증가한 반면 느티만가닥버섯 시료를 첨가한 소고기의 pH는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높아졌으며 가열감량은 감소하였다. 절단강도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색도에 있어서 L, a, b값 모두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감소하여 느티만가닥버섯의 소 우둔살에 대한 연육효과를 확인하였다. 느티만가닥버섯과 키위 시료를 첨가하여 관능적 품질을 살펴본 결과 느티만가닥버섯 시료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연육정도에 대한 기호도가 높아졌고 대조구 및 키위시료 첨가구에 비해 전체적인 기호도가 높았다. 조건에 따른 느티만가닥버섯 시료의 단백질분해효소 활성은 pH는 2 이하, 50 ℃ 이상에서 효소활성이 감소하였고 염농도 조건에서는 1 M 이상부터 서서히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위의 결과로써 질긴 육류를 조리할 때 키위 등 과실 연육재료 대체용으로 느티만가닥버섯이 활용될 가능성이 있음을 보였다.

흡착 교질 포말부선법에 의한 Cobalt Ion의 제거 (Removal of Cobalt Ion by adsorbing Colloidal Flotation)

  • 정인하;이정원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7권3호
    • /
    • pp.3-10
    • /
    • 1998
  • 모의폐액으로 제조한 50ppm의 코발트이온을 Fe(III) 및 Al(III)의 응집제와 sodium lauryl sulfate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흡착 교질 포말부선법으로 제거하였다. 용액의 pH, 계면활성제 농도, Fe(III) 및 Al(III) 농도, 공급기체의 유속 등을 변수로 하여 실험한 결과, Fe(III)를 응집제로 사용한 경우 초기 코발트이온농도 50ppm, pH 8.5, 공급기체유속 $70mell$/min, 제거시간 15분 등의 조건에서 99.8%의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코발트 이온 제거에 앞서 모의폐액에 35% $H_2O_2$를 첨가하여 폐액을 전처리하였다. 그 결과, 최적 pH 및 처리 후 잔존용액의 pH가 낮아졌고, 넓은 범위의 pH에서 높은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Fe(III) 50 ppm을 사용하여 코발트이온과 공침시킨 후 20ppm의 Al(III)를 첨가한 결과, Fe(III) 또는 Al(III)를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였던 경우에 비하여 제거 가능한 pH 범위가 더욱 더 확대되었다. 이 현상은 zeta potential 의 증가 및 공침효과의 상승요인으로 추측되었다. $NO_3^-$, $SO_4^{2-}$, $Na^+$, $Ca^{2+}$를 첨가하여 외부이온의 영향을 관찰하였으며, $SO_4^{2-}$가 0.1M 함유된 코발트용액을 Fe(III) 및 Al(III)를 사용하여 처리한 결과 제거효율은 99%를 나타내었다.

  • PDF

농업부산물(農業副産物)의 이용성향상(利用性向上)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3보(第3報) 탈지미강(脫脂米糠)부터 phytin 분리(分離)- (Studies on utilization of agricultural waste products -Part 3. Separation of phytin from defatted rice bran-)

  • 신재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9권
    • /
    • pp.71-81
    • /
    • 1968
  • 1) 생미강(生米糠)을 n-hexane으로 탈지(脫脂)한 탈지미강(脫脂米糠)에 희(稀) HCl 또는 희(稀) $H_{2}SO_4$를 혼합(混合)하고 가끔 저어주면서 $8{\sim}12$ 시간(時間)동안 두어서 phytin을 침출(浸出)시키고 여과(濾過)하여서 침출액(浸出液)을 얻었다 .다음에 침출액(浸出液)을 염기(鹽基)로 중화(中和)하여서 phytin을 침전(沈澱)시키고 여과(濾過)하여서 phytin을 분리(分離)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서 탈지미강(脫脂米糠)으로부터 phytin을 분리(分離)함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 조건(條件)에 관(關)하여 기초(基礎) 실험(實驗)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2) 침출용(浸出用) 산액(酸液)으로써는 0.3% HCl이 좋았다. 탈지미강(脫脂米糠)에 희산(稀散)을 작용(作用)시키면 phytin 이외(以外)로 희산(稀散)에 가용성(可溶性)인 단백질(蛋白質) 당류(糖類), Vitamin B 군(群), 색소(色素)등도 상당량(相當量) 즉 탈지미강(脫脂米糠)의 $18{\sim}19%$가 침출(浸出)되어 나온다. 0.3% HCl 때 침출고형물(浸出固形物)은 탈지미강(脫脂米糠)의 30%이다. 탈지미강중(脫脂米糠中)의 염기성(鹽基性) 물질(物質)의 침출(浸出) 속도(速度)는 phytin의 그것과 차이(差異)가 있다. phytin은 탈지미강(脫脂米糠)과 희산액(稀酸液)을 혼합(混合)한 후 $1{\sim}5$시간(時間) 사이에서 주(主)로 침출(浸出)되어 나온다. 3) 침출용(浸出用) 산액량(酸液量)은 탈지미강(脫脂米糠)의 $8{\sim}10$ 배량(倍量)이 좋고 침출(浸出) 시간(時間)은 실온(室溫)에서 $8{\sim}12$ 시간(時間)이면 충분(充分)하다. 침출(浸出) 온도(溫度)는 $20{\sim}30^{\circ}C$가 좋고 그 이상(以上)이 되면 phytase의 작용(作用)이 활발(活潑)하여지므로 침출량(浸出量)이 저하(低下)된다. 4) 침출용(浸出用) 산(酸)으로써는 HCl를 사용(使用)할 때가 $H_{2}SO_4$를 사용(使用)할 때보다도 phytin 침출량(浸出量)이 많다. 0.3% HCl를 탈지미강(脫脂米糠)의 8배량(倍量) 쓰고 실온(室溫)에서 12시간(時間) 침출(浸出)시키였을때 phytin 침출율(浸出率)은 11.34%로써 이론치(理論値)의 93%였다. 5) phytin를 침전(沈澱)시키기 위한 침출액(浸出液)의 중화제(中和劑)로써는 포화(飽和) $Ca(OH)_2$ 용액(溶液)이 좋다. 침출액(浸出液)을 포화(飽和) $Ca(OH)_2$ 용액(溶液)으로 pH 7.0까지 중화(中和)하였을 때에 phytin 침전율(沈澱率)은 이론치(理論値)의 94.77%였다. 중화제(中和劑)로써 NaOH, KOH, $NH_{4}OH$를 쓸 때는 중화도(中和度)에 관계없이 침전(沈澱)이 대단히 불충분(不充分)하였다. 중화도(中和度)는 pH $6.8{\sim}7.0$이 좋다. 중화제(中和劑)로써 $NH_{4}OH$를 썼을 때가 phytin 침전(沈澱)이 제일 희고 여과(濾過)도 비교적(比較的) 쉽게 잘 되었다. 6) pH $6.0{\sim}7.2$에서 각(各) 용해도(溶解度)는 다음과 같다. K-phytate〉$NH_{4}-phytate$ > Na-phytate > Ca-phytate.

  • PDF

노루궁뎅이(Hericium erinaceus) 자실체 추출 조다당류의 생쥐 Sarcoma 180에 대한 면역증강 및 항암 효과 (Immuno-stimulating and Antitumor Effects on Mouse Sarcoma 180 by Crude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Fruiting Body of Hericium erinaceus)

  • 최연일;이재성;이우윤;이태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623-631
    • /
    • 2010
  • 노루궁뎅이는 담자균문, 민주름버섯목, 산호침버섯과에 속하는 식의약용버섯으로 예로부터 위궤양이나 위암의 치료에 효과가 있으며 생쥐의 Sarcoma 180과 Ehrlich Sarcoma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왔다. 노루궁뎅이의 자실체로부터 중성염용액, 열수 및 메탄올 등을 이용하여 조다당류를 추출하고 ICR mice에 주사하여 항암 및 면역증강 효과를 조사하였다. Sarcoma 180, HepG2, HT-29, NIH3T3 등의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조사한 결과 $10{\sim}2,000\;{\mu}g/ml$의 조다당류 농도에서 각각의 암세포는 세포독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Sarcoma 180으로 접종된 ICR mouse에 자실체에서 추출한 각각의 조다당류를 투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수명이 각각 29.1~54.1% 연장되었다. 노루궁뎅이 자실체를 중성염 용액으로 추출한 조다당류는 $50\;{\mu}g/ml$의 농도에서 비장세포의 수를 2.9배 증가시켰으며 또한 중성염 추출 조다당류를 $200\;{\mu}g/ml$의 농도로 투여한 실험군 생쥐의 B 임파구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5.5배의 증가하였다. 중성염 용액 추출 조다당류를 50 mg/kg body weight의 농도로 투여한 실험군 생쥐의 총 복강 세포 수와 백혈구의 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4배와 2.3배로 증가하였다. 또한 면역 관련 장기인 간, 비장 및 흉선의 체중에 대한 무게 비율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노루궁뎅이의 자실체에서 추출한 조다당류는 생쥐의 면역을 증강시키고 생쥐의 Sarcoma 180에 대해 항암효과를 나타내었다.

대두(大豆) 단백질(蛋白質)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2보[第二報]-7S Globulin중의 복합단백질(複合蛋白質)의 분리(分離) 및 그 구성(構成) Subunit에 대하여 (Studies on Soybean Protein [Part ll]-Isolation and Subunit Composition of Multiple 7S Globulins-)

  • 이춘영;김인수;김수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0권1호
    • /
    • pp.26-32
    • /
    • 1977
  • 대두(大豆)(Glycine max cultivar Gwang-gyo)의 각 성숙시기(成熟時期)에 나타나는 7S globulin을 분리하여 Davis 방법(方法)에 의한 전기영동과 PAWU용매에 의해서 유리(遊離)되는 그들의 subunit를 전기영동한 결과 7S globulin중의 복합단백질간(複合蛋白質間)에는 그 구성(構成) subunit에 유사성(類似性)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7S globulin의 복합단백질(複合蛋白質)을 DEAE-Sephadex A-50으로 크로마토그라피하여 분리하였다. 이때 pH 7.6의 인산완충액(燐酸緩衝液)에서 NaCl의 농도구배(濃度句配)가 0.28M부터 0.40M 사이에서 두 개의 분획(分劃)으로 분리되었다. 이들 명(名) 단백질(蛋白質)의 subunit를 5M urea와 1% SDS로 유리(遊離)시켜 7.5% acrylamide-PAWU gel과 5.6% acrylamide-SDS gel에서 전기영동하였다. 그 결과 subunit의 하전량(荷電量)에 의해서 분리되는 PAWU gel전기영동에서 7S globulin이 5개의 주 분리대로 분리되고 그중 2개의 분리대가 7S-A globulin과 7S-B globulin에 공유(共有)되어 있었다. 또 subunit의 분자량(分子量)에 따라서 분리되는 SDS gel 전기영동에서는 7S globulin이 7개의 주 분리대를 나타내는데 그 중에서 3개의 분리대가 7S-A와 7S-B 분획에 공유(共有)되어 있었다. 따라서 7S globulin의 복합단백질간(複合蛋白質間)에는 구성(構成) subunit간(間)에 유사성(類似性)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금산-완주지역 형석광화대내 석회암 및 화강암지역 지하수의 불소분포 특성 및 저감방안 (Fluorine Distribution and Attenuation of Groundwater within Limestone and Granite from Keumsan-Wanju Fluorite Mineralized Zone)

  • 황정
    • 자원환경지질
    • /
    • 제34권1호
    • /
    • pp.105-117
    • /
    • 2001
  • 금산-완주지역 형석광화대내 석회암 및 화강암지역 지하수의 수문지화학 및 불소분포 특성을 연구하였다. 연구지역의 지하수는 공통적으로 Ca-HCO$_3$유형이며, 쥬라기 및 백악기 화강암지역의 일부 지하수는 각각 Ca-Na-HCO$_3$및 Na-HCO$_3$유형이다. 형석광화대의 광산폐수에 의한 음용지하수의 오염은 발견되지 않으나, 불소의 음용수 기준치를 초과하는 지하수가 백악기 화강암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된다. 백악기 화강암지역 지하수에는 불소가 최대 11.4 mg/$\ell$ 포함되어 있으며, 불소함량은 관정의 심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불소 지하수는 F함량에 대해 Na, HCO$_3$, Cl, SiO$_2$, pH 등은 양의 상관관계를, Ca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은 지하수내 불소가 주로 분화지수가 매우 높은 화강암류내 함불소 규산염광물의 용해에 기원한 것임을 시사한다. 연구지역 지하수내 불소의 저감방안으로는 백악기 화강암지역에서의 음용수용 관정개발을 지양하고, 불가피한 경우에는 수질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관정의 깊이를 가능한 얕게하는 것이다.

  • PDF

Bacillus licheniformis SCD121067 균체 생산성 증가를 위한 통계적 생산배지 및 발효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Medium and Fermentation Conditions for Mass Production of Bacillus licheniformis SCD121067 by Statistical Experimental Design)

  • 정유민;이주희;정혜종;전계택;윤순일;정용섭
    • KSBB Journal
    • /
    • 제25권6호
    • /
    • pp.539-546
    • /
    • 2010
  • In this work, mass production of Bacillus licheniformis SCD121067 through medium optimization by statistical experimental method was studied. First, galactose, yeast extract and potassium phosphate dibasic were selected as carbon, nitrogen and phosphate sources for mass production of B. licheniformis SCD121067 by using one factor at a time method.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Plackett-Burman experimental design, key factors was yeast extract and $K_2HPO$. Finally,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as performed to obtain the optimum concentrations of two selected variables. The optimized medium composition consisted of 20 g/L galactose, 36 g/L yeast extract, 0.41 g/L $K_2HPO4$, 0.25 g/L $Na_2CO_3$, 0.4g/L $MgSO_4$ and 0.01g/L $CaCl_2$. Dry cell weight (15.4 g/L) by optimum production medium were increased 10 times, as compared to that determined with basic production medium (1.5 g/L). Fermentation conditions were examined for the mass production of B. licheniformis. The effect of temperature, agitation speed, pH and aeration rate on the mass production of B. licheniformis were also studied in a batch fermenter which was carried out in a 2.5 L bioreactor with a working volume of 1.5 L containing optimized production medium. As a result, dry cell weight of batch culture was 30.7 g/L at $42^{\circ}C$, 300 rpm, pH 8.0 and 2 vvm.

신경망에 의한 $CIEL^{*}a^{*}b^{*}$-CMYK 색변환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CIEL^{*}a^{*}b^{*}$-CMYK color conversion system by Neural Network)

  • 김종필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1-93
    • /
    • 1998
  • For the purpose of preparation of monodispersed spherical zinc oxide fine particles, and experimental research on the preparation of zinc oxide particles from zinc salts solutions by high temperature precipitation reaction was performed. Zinc oxide particles were precipitated from all the precipitation solutions tested if the precipitation temperature was higher than 60$^{\circ}$C. As the precipitation temperature increased until 80$^{\circ}$C,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zinc oxide particles decreased and the narrower particle size distribution were obtained. Spherical zinc oxide fine particles with relativeyl narrow particle size distribution were precipitated from the ZnSo4 solutions with NaOH as precipitant. Final pH of precipitation solution had an effect on the amount of zinc oxide precipitated, but had no effect on the their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