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SDI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의 경험을 통한 개발도상국 NSDI 전략적 구축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ategic NSDI Model for Developing Countries based on Korean Experiences)

  • 김은형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1권6호
    • /
    • pp.11-21
    • /
    • 2013
  • 본 논문은 한국의 NSDI(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구축경험에 비추어, 개발도상국의 전략적인 NSDI 구축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1950년 한국전쟁 이래, 매우 짧은 기간 동안 원조수혜국에서 원조공여국으로 눈부신 경제성장을 이끌어낸 한국의 NSDI 구축경험은 개발도상국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따라서 연구방법으로 한국에서 NSDI 구축관련 경험이 있는 전문가의견 조사 및 한국 NSDI관련문헌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논문은 관련 문헌조사를 통해 SDI(Spatial Data Infrastructure)에 대한 개념 및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고, 이론적 고찰을 배경으로, SDI의 6개 구성요소 관점에서 전문가조사결과 등의 시사점을 모았으며, 개발도상국을 위한 NSDI 전략적 구축 모델로 구성된다. 본 논문의 핵심인 구축모델은 (1) NSDI 구현전략: 지리데이터, GIS능력배양, 지리정보 플랫폼, 파트너쉽을 통한 비용효율적인 지리정보관리의 4가지 관점, (2) 3단계에 걸친 주요 NSDI 세부 역할과 활동들, (3) 성공적인 NSDI구축을 위한 조화로운 추진방법으로 구성된다.

A Comparative Study on the NSDI Assessment

  • Kim, Moon Gie;Koh, June Hwan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375-388
    • /
    • 2017
  • United States of America started NSDI in 1994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EU and other many countries invested lots of budget on NSDI due to necessity to manage countries and social economy. As skepticism for effect of such investment has risen, developed countries predicted higher effect compared to investment using ROI and other methods. FGDC clarified that geospatial information is a critical national assets. USA has managed NSDI by introducing portfolio concept for it recognizing NSDI as financial assets from fixed assets. Currently directions of NSDI and its advancement has been proceeded variably depending on corresponding organizations, human resources, budget and national policies. This study analyzed recent trends regarding NSDI assessment methods from developed countries and researchers. Assessment of NSDI is introduced only by some countries such as EU, USA and Canada. This study analyzed USA's assessment model and indicator that assess NSDI in a way that various external organizations (COGO, URISA) participate, EU INSPIRE Directives, monitoring and Canada's CGDI assessment methods. Besides these, this study analyzed STIG that adopted Financial Infrastructure from European studies and Korea's NSDI monitoring assessment indicator research. Further this study suggested assessment directions for future NSDI through implications of NSDI assessment method analysis.

The Prescriptive NSDI Model

  • Kim, Eun-Hyung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6권4호
    • /
    • pp.499-511
    • /
    • 2008
  • 다양한 공간문제 해결을 위한 효율적 인 국가공간정보기반 구축 및 활용은 중요한 과제이다. 우리나라가 1995년 1차 국가 GIS사업을 시작한 이래 3차 국가GIS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현시점에서,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국가공간정보기반이 미국의 911사태와 같은 국가안전이나 재해관리 등 국가적 이슈해결을 위한 통합적인 도구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부족한 점이 있다고 판단한다. 수치지도 생산중심의 서술적 NSDI에서 문제해결을 위한 처방적 NSDI로 발전시켜 나아가야 NSDI의 의미가 부각되고 활용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주장한다. 우리나라 NSDI를 처방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우선 선진 SDI에 관한 기존 연구와 이론적 검토 그리고 현재까지의 우리나라 NSDI 현황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 우리나라 NSDI를 서술적 NSDI 단계라고 파악하고, 처방적 NSDI를 위해 새로운 요소와 개념을 소개하였다. 이러한 처방적 NSDI의 새로운 발전양상을 처방적 NSDI모델로 종합하고, 마지막으로 이를 위한 추진과제를 제시하였다.

  • PDF

공간정보 커뮤니티 활성화 방안 연구 : 미국 NSDI의 CAP 사례를 중심으로 (A Strategy for Activating Spatial Data Community : A Case of the NSDI CAP(Cooperative Agreements Program) in U.S.)

  • 김호용;남광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6-39
    • /
    • 2011
  • 본 연구는 공간정보의 협력적 활용을 위한 커뮤니티 지원 프로그램인 미국 NSDI의 CAP(Cooperative Agreements Program)을 대상으로 공간정보 커뮤니티 활성화 방안과 그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커뮤니티 지원을 위해 CAP에 채택된 20여개 카테고리의 변화 추세와 10년간 지원된 350여개의 사례를 살펴본 바, 지원 카테고리는 NSDI가 2004년 'Future Directions Initiative'를 발표한 시점을 기준으로 메타데이터 중심의 표준화 보급 부문 위주에서 파트너십 강화와 연계하여 NSDI의 모든 구성요소를 CAP 프로그램의 지원 카테고리로 적용하는 변화가 이루어졌다. CAP의 역할과 관련해서는 커뮤니티를 NSDI의 확장성과 지속성의 핵심요소로 파악하고 공간정보 사용자 역할만이 아닌 공급자로서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실행방안으로 CAP을 활용하였다. CAP의 효과로는 커뮤니티 활성화에 따라 수요자가 다양화되어 공간정보시장 내 수요를 확대하고 비즈니스 부문이 활성화되는 등의 공간정보시장 구조의 개선에 긍정적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클라우드 기반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 확대발전방안 수립 (The Establishment of Service Cloud Based Expansion and Developing Plan for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 윤준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367-373
    • /
    • 2016
  • 국가공간정보체계(NSDI)는 국가 공공기관의 공간정보를 통합 연계하여 공동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2008년부터 추진되어 2012년 그 사업을 완료하였다. NSDI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각 기관의 공간정보와 NSDI의 공간정보가 동시에 갱신되지 않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최신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공공기관의 공간정보를 활용한 서비스 사용현황을 살펴보면, 재활용이 가능한 비슷한 서비스가 중복 구축 및 운영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가 예산이 낭비되고 있다. 이러한 이슈들은 전산자원을 공유하기 위한 목적의 클라우드 시스템을 NSDI에 적용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비스 클라우드 기반의 NSDI 확대발전 방안을 다룬다. 제안되는 NSDI의 확대 발전 방안은 공간정보 서비스 클라우드 시스템 구축방안과 거버넌스 체계 수립방안을 포함한다. 시스템 구축방안에서는 서비스 시나리오, 목표 시스템의 개념도, 그리고 서비스 기능이 도출된다. 서비스 기능에서는 제안된 두 가지 모듈에 대한 단위 기능과 세부 기능을 도출한다. 거버넌스 체계 수립방안에서는 서비스 클라우드 기반의 NSDI 운영을 위한 서비스 라이프사이클 단계별 조직의 필요역할을 정의하고 업무 프로세스를 도출한다. 제안된 시스템 구축방안을 기반으로 상세 시스템을 설계하고 조직을 구성함으로써 서비스 클라우드 기반의 NSDI 체계가 구축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가공간정보정책 추진체계의 바람직한 모형구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Desirable Model of the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Policy Promotion System)

  • 김태진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0권6호
    • /
    • pp.91-98
    • /
    • 2012
  • 국가공간정보 전략의 비전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국가공간정보정책 추진체계를 합리적으로 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국가공간정보정책 추진체계에 있어서 관련된 조직들 간의 협조 및 정책의 일관성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바람직한 국가공간정보정책 추진체계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 국가공간정보 정책 추진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연구방법은 문헌고찰과 내용분석이 사용되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바람직한 국가공간정보정책 추진체계는 상위체계(기획수준)와 하위체계(집행수준)로 구성되어야 한다. 둘째, 국가공간정보정책 추진체계의 상위 체계와 하위체계는 수직적 및 수평적으로 연계되어야 한다. 셋째, 상위체계는 국가공간정보정책 추진위원회, 민간자문위원회, 그리고 분과위원회로 구성되어야 한다. 넷째, 국가공간정보사업의 집행을 위한 하위체계는 국가공간정보 최고관리자, 각 중앙 및 지방정부, 그리고 전문지원기관 등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Adopting Cloud Service in the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 Youn, Junhee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676-677
    • /
    • 2015
  • In Korea, NSDI(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was implemented for integrating and sharing the nationally generated spatial data. One of the main roles of implementing NSDI is providing spatial data to public agencies. And now, the establishment plan for NSDI with the technical advancement should be needed. This paper deals with the technical aspects of adopting cloud service in the NSDI. First, we propose the concept for target system, which shows the current and future NSDI. In the future NSDI model, GIS cloud and governance systems are included. Service functions for cloud system and infrastructure implementation design directions are derived. Finally, governance system implementation plan is described.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implementation of NSDI cloud service system.

  • PDF

우리나라 측량·공간정보관리에 관한 통합시스템 연구 - 새로운 국가공간정보기반(NSDI) 모델의 도입 - (Unified Systems on Surveying and Geoinformation Management in Korea - New Conceptual Design of Korean NSDI Model -)

  • 이영진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4권1호
    • /
    • pp.179-19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공간정보관리" 전략에 대응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측량 공간정보관리"를 위한 통합시스템을 연구하고 새로운 국가공간정보기반(NSDI)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기존 NGIS사업 및 공간정보정책을 검토하고 공공데이터 개방, 전자정부, 지구관측 등 국내외 흐름을 반영하여 대축척지도를 기반으로 하는 Bottom-up 방식으로서 NSDI의 정보영역을 수정하여 새롭게 정의하고[그림 1], 수치지도 등을 기본공간데이터와 동등한 개념으로 하여 공공-민간데이터의 공유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게 하는 새로운 개념의 NSDI 모델을 제시하였다[그림 2]. 또한, 현재의 독립적인 국토교통정보화의 운영체계는 다른 부처의 응용분야(산림, 환경, 농업, 문화재 등)뿐만 아니라 국토교통부 내부인 다른 부문과의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지방 중심으로 개선이 필요하다. 이에 새로운 개념의 NSDI를 국토교통부에 적용한 기관모델을 제안하고 있다[그림 3]. 새로운 국토교통부 SDI 기관모델에서는 공간정보 부문을 모든 활용 부문의 공통 기반으로 하고 데이터를 재편성하는 모델이며, 공통기반데이터를 통하여 소속기관 및 지방정부 데이터를 수직적 또는 수평적으로 연계하여 정부3.0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통합시스템은 국토지리정보원 기본도 데이터, 지방정부 KLIS 데이터, 지방정부 공공시설물 데이터를 모두 기본공간데이터 개념에 포함하게 되면, 현재 법령 또는 관리기관에 따라 독자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모든 도면과 공부를 공통 기반(수치지도)과 통합, 연계하여 현행화할 수 있는 전략모델이다.

Comparative Study on Advanced NSDIs for the Future NGIS Implementation in Korea

  • Kim Eun-Hyung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3권4호
    • /
    • pp.381-391
    • /
    • 2005
  • 국가공간데이터기반 개념은 국가공간데이터기반의 발전과 더불어 변화한다. 초기의 국가공간데이터기반은 개별적이고 공간데이터기반 자체에 초점을 두었지만, 최근 국가공간데이터기반은 세계, 지역 및 지방공간데이터기반 간의 위계구조에서의 역할이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의 국가공간데이터기반의 특성과 미국, 영국, 캐나다 국가공간데이터기반 등 각 국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향후 우리나라의 차세대 국가공간데이터기반, 즉 국가GIS의 정책방향을 모색하도록 한다.

  • PDF

A Study on the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of U.S.A

  • Koh, June-Hwan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5권6_1호
    • /
    • pp.485-497
    • /
    • 2007
  • By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and Geo-spatial Technology (GT) and the increased usage of spatial data for planning and infrastructure management,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NGIS) for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utilization of spatial information has been developed by the central government in Korea since 1995. NGIS is the base of Spatial Data Infrastructure (SDI). SDI is developed as one of 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s (NII). Among the hierarchy of SDI,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NSDI) has very important role in the success of SDI development. Many research articles show that the USA's NSDI initiatives, development strategy have been strongly influenced all over the world. In these viewpoints, to propose the future directions of Korean NGIS, the development of NSDI strategy of USA is reviewed by literature through published book and internet resource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 top-down and bottom-up approach are needed for integrated data sharing and standardization. 2) the creative and evolutionary vision and strategy has to be suggested. 3) the training program and lecture material has to be developed and diffused to the users and providers of spatial data. 4) governance system has to be built for NSDI evaluation. 5) the formation of geo-spatial forum to discuss the spatial-related problems and make research agenda,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