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rategy for Activating Spatial Data Community : A Case of the NSDI CAP(Cooperative Agreements Program) in U.S.

공간정보 커뮤니티 활성화 방안 연구 : 미국 NSDI의 CAP 사례를 중심으로

  • Kim, Ho-Yong (Department of Civi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Missouri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 Nam, Kwang-Woo (Department of Urban Engineering, Kyung-Sung University)
  • 김호용 (미주리대학교 토목.건축.환경공학과) ;
  • 남광우 (경성대학교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10.09.16
  • Accepted : 2010.12.16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is paper reviews the strategy of activating spatial data community and its impacts, focusing on the Cooperative Agreements Program(CAP) of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NSDI), established by Federal Geographic Data Committee(FGDC) in U.S. to facilitate cooperative data sharing. After thoroughly reviewing the 20 research categories followed by 350 cases, supported by CAP for the last decade, it turned out that since NSDI issued "Future Directions Initiative" in 2004, the CAP adopted all components of NSDI as CAP categories in attempting to reinforce the partnership rather than mainly deploying standardized meta-data. Also, CAP has been utilized as a means to enforce the role of NSDI as spatial data user and provider as well, recognizing that the spatial data community is essence for expandable and sustainable NSDI. Implementing CAP resulted in the sound structure of spatial data marketplaces increasing spatial data demand and promoting the relevant business due to diverse users.

본 연구는 공간정보의 협력적 활용을 위한 커뮤니티 지원 프로그램인 미국 NSDI의 CAP(Cooperative Agreements Program)을 대상으로 공간정보 커뮤니티 활성화 방안과 그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커뮤니티 지원을 위해 CAP에 채택된 20여개 카테고리의 변화 추세와 10년간 지원된 350여개의 사례를 살펴본 바, 지원 카테고리는 NSDI가 2004년 'Future Directions Initiative'를 발표한 시점을 기준으로 메타데이터 중심의 표준화 보급 부문 위주에서 파트너십 강화와 연계하여 NSDI의 모든 구성요소를 CAP 프로그램의 지원 카테고리로 적용하는 변화가 이루어졌다. CAP의 역할과 관련해서는 커뮤니티를 NSDI의 확장성과 지속성의 핵심요소로 파악하고 공간정보 사용자 역할만이 아닌 공급자로서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실행방안으로 CAP을 활용하였다. CAP의 효과로는 커뮤니티 활성화에 따라 수요자가 다양화되어 공간정보시장 내 수요를 확대하고 비즈니스 부문이 활성화되는 등의 공간정보시장 구조의 개선에 긍정적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복환, 김영훈. 2006. 국가지리정보사업 추진을 위한 영국지리정보 유통구조 및 정책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4):22-33.
  2. 김은형. 2005. Comparative Study on Advanced NSDIs for the Future NGIS Implementation in Korea. 한국GIS학회지. 13(4):381-391.
  3. 김호용, 이성호. 2008. 지방자치단체의 공간 Data 활용 확대를 위한 Social Network Analysis의 적용 방안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3):80-91.
  4. 남광우. 2006. 지자체내 도시공간정보 공유 장애요인 및 활성화 방안 연구. 국토계획 41(4):129-141.
  5. 남광우. 2007. 미국 광역권 지리정보협력체 구성 및 운영방안.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4): 1-10.
  6. 박종택, 최병남, 사공호상, 서기환, 이영주. 2009. 한국형 공간정보인프라 모델정립 및 글로벌화 전략연구. 국토연구원.
  7. 사공호상. 2009. 국가공간정보정책의 발전방향. 토지연구 86(1):29-47.
  8. 사공호상, 이영주, 서기환, 천혜영, 오지영, 채명기, 2007. 국가GIS사업 평가 및 시행계획 수립. 국토해양부.
  9. 신동빈, 김수현. 2004. 공공 및 민간부문의 국가지리정보유통망 참여방식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40:71-86.
  10. 이영주, 사공호상. 2007. 공간정보 패러다임 변화: 공간정보산업 트렌드. 국토정책 Brief 156:1-6.
  11. 정문섭. 2005. 미국의 공간정보기반(NSDI) 구축현황과 시사점. 국토 281:90-99.
  12. FGDC. 1994. The 1994 Plan for the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Building the Foundation of an Information Based Society.
  13. FGDC. 2004. NSDI Future Directions Initiative: Towards a National Geospatial Strategy and Implementation Plan.
  14. Harvey, F. and D. Tulloch. 2006. Local government data sharing: Evaluating the foundations of spatial data infrastructure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20(7):743-768. https://doi.org/10.1080/13658810600661607
  15. Masser, I. 2005. GIS Worlds: Creating Spatial Data Infrastructures, Redlands, CA, ESRI Press.
  16.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4. Licensing Geographic Data and Services.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42pp.
  17. Rajabifard, A., A. Binns, I. Masser and I.P. Williamson. 2006. The role of sub-national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in future spatial data infrastructure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20(7):727-741. https://doi.org/10.1080/13658810500432224
  18. http://www.metrogis.org
  19. http://www.datafinder.org
  20. http://www.fgdc.gov/grant
  21. http://www.fgdc.gov/metadata/contstan.html
  22. http://www.geoplace.com/gw/2003/0303/0303mnn.asp

Cited by

  1. Questionnaire Analysis of Geo-Spatial Open Source Application vol.16, pp.4, 2013, https://doi.org/10.11108/kagis.2013.16.4.106
  2.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of GIS-Based DongNam Kwon Industry Information System vol.17, pp.1, 2014, https://doi.org/10.11108/kagis.2014.17.1.070
  3. 스마트시티 거버넌스의 조직체계와 역할 vol.33, pp.1, 2011, https://doi.org/10.22669/krsa.2017.33.1.0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