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L

검색결과 375건 처리시간 0.025초

벼의 생산력(生産力) 분석(分析) -IV. 토양(土壤) 및 시비생산력(施肥生産力)과 시비효율(施肥效率) (Analysis of productivity in rice plant -VI. Soil and fertilization poductivity and fertilization efficiency)

  • 박훈;안상배;황영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5-42
    • /
    • 1974
  • 기존장려품종 IR 667에 대(對)하여 전국적(全國的)으로 실시한 2년간의 3요소(三要素) 요인시험(要因試驗) 결과로부터 품종간생산력(品種間生産力), 토양생산력(土壤生産力)(지력(地力))과 시비생산력(施肥生産力)(시비(施肥)에 의(依)한 증수량(增水量)을 검토(檢討)하였다. 1. IR 667은 1971년에 19%, 저온장해(低溫障害)가 있었던 72년엔 12%의 증수를 보였으며 이는 수당입수(穗當粒數)가 큰데 기인(基因)하였다. 수량(收量)의 변이계수(變異係數)는 IR667이 적었으나 장려품종이 23% (1971)와 30% (1972)의 포장에서 수량(收量)이 높았다. 2. IR 667은 질소(窒素) 특히 인산(燐酸)과 가리(加里)를 더 많이 요구(要求)하나 시비효율(施肥效率)(증수량(增收量)/시비량(施肥量))은 질소(窒素)에서만 약(約) 4kg 높고 인산(燐酸)은 장려품종보다 떨어지며 가리(加里)는 차이가 없었다. 3. IR 667에서 토양생산력(土壤生産力)은 크지만 토양생산력(土壤生産力)의 최대수량(最大收量)에의 기여도(寄與度)는 적었다. 4. 시비생산력(施肥生産力)의 기여도(寄與度)는 19~33%이며 이중 약(約) 5%만이 인산(燐酸)과 가리(加里)의 기여도(寄與度)였다. 5. 토양생산력(土壤生産力)이 커질수록 포장생산력(圃場生産力)이 커지나 시비생산력(施肥生産力)은 감소하여 지력(地力)의 기여도(寄與度)가 증가(增加)한다. 6. 시비효율(施肥效率)이 개무(皆無)인 비옥도(肥沃度)을 포화점(飽和點) 설정(設定)하고 이를 토양생산력(土壤生産力)(또는 포장생산력(圃場生産力))의 상한지표(上限指標)로 볼 수 있었다.

  • PDF

나노임프린트 공정에서 실란커플링제 기상증착을 이용한 표면처리 효과 (The Surface Treatment Effect for Nanoimprint Lithography using Vapor Deposition of Silane Coupling Agent)

  • 이동일;김기돈;정준호;이응숙;최대근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5권2호
    • /
    • pp.149-154
    • /
    • 2007
  • 나노임프린트 공정기술은 나노구조물이 패턴된 스템프(혹은 몰드)를 이용하여 적절한 기판 위에 나노구조물을 복제하여 패턴을 전사하는 기술이다. 효과적인 나노임프린트 공정을 위해서는 몰드의 이형처리뿐 아니라 반대쪽의 기질과 레지스트 사이에 접착력 증가(adhesion promoter) 처리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조립 실란커플링제의 기상증착을 이용하여 나노임프린트 공정에서 사용되는 접착 증가막 및 표면처리 방법을 비교 분석 하였다. 이를 위해서 평탄화층(DUV-30J), 산소 플라즈마 처리, 실란커플링제 자기조립막이 비교되었다. 실란커플링제 자기조립막이 형성된 실리콘 표면은 전체적으로 나노 두께의 균일한 막이 형성되며 임프린트시 구조물들을 정밀하게 전사하였으며 3-acryloxypropyl methyl dichlorosilane(APMDS)을 이용한 자기조립막(SAMs) 처리가 평탄화층과 산소 플라즈마 처리보다 강한 접착력을 가지고 있어 나노임프린트 공정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알팔파바구미 성충의 밭작물 유식물에 대한 기주선호성 (Preference of Adult Alfalfa Weevil, Hypera postica (Gyllenhal), (Coleoptera: Curculionidae), to Different Seedlings of Upland Crops)

  • 배순도;김현주;;윤영남;이건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71-377
    • /
    • 2013
  • 자운영 포장에서 알팔파바구미 성충의 발생양상과 1세대 성충의 밭작물 유식물에 대한 기주선호성을 조사하였다. 자운영 포장에서 포충망에 의한 알팔파바구미의 월동 성충은 3월 하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4월 중순에 피크를 나타내었으며, 1세대 성충은 4월 하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5월 하순에 피크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월동 성충의 발생량은 매우 적었고, 1세대 성충의 발생량은 매우 많았으나, 연차간 변이가 심하였다. 온실에서 배추 및 콩 등 11종의 유식물에 대한 알팔파바구미 1세대 성충의 7일 차 발생충수는 배추>콩>케일 순으로 유의하게 많았으며, 조, 땅콩, 기장, 가지 및 상추에서 매우 적었고, 옥수수, 쑥갓, 수수에서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7일 차 유식물의 피해주율도 배추(60.0%)>콩(50.0%)>케일(30.0%)>조(16.7%), 기장(13.3%)>상추(3.3%) 순으로 유의하게 심하였다. 한편, 자운영포장에서 11종의 유식물에 대한 7일 차 피해주율은 배추(46.7%), 콩(43.3%)>케일(23.3%)>조(13.3%), 기장(13.3%) 순으로 유의하게 심하여 온실에서의 결과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알팔파바구미의 기주선호성은 녹비작물포장 주변에서 밭작물의 안전한 재배를 위한 작물선택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lfalfa 품종별(品種別) 생육(生育) 및 양분흡수(養分吸收)에 대(對)한 석회(石灰) 및 근류균(根瘤菌) 접종효과(接種效果) (Effect of Lime and Inoculation on The Growth and Nutrient Uptake of Alfalfa Varieties)

  • 박훈;김무성;권항광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45-251
    • /
    • 1973
  • 세 Alfalfa 품종(品種)(Medicago sativa L. var. Moapoa, Washoe, Lahontan)의 건물생산량(乾物生産量)과 양분흡수(養分吸收)에 미치는 석회(石灰)와 근류균접종효과(根瘤菌接種效果)를 적황색(赤黃色) 사양토(砂壤土)(여기(麗岐) 산토양 pH 4.9)를 사용(使用) Pot시험(試驗)으로 조사(調査)하였다. 1. 무석회구(無石灰區)에서는 발아율이 낮고 그후 생육(生育)이 되지 아니하였으며 Moapa가 가장 강하였다. 2. 무접종구(無接種區)의 건물수량(乾物收量)은 Moapa>Washoe>Lahontan의 순(順)이고 접종효과(接種效果)는 이와 반대였으며 근류균(根瘤菌) 착생에는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3. 예취시기가 경과함에 따라 무접종구(無接種區)의 수량(收量)이 증가(增加)하고 접종효과(接種效果)가 감소하였으며 질소농도(窒素濃度)에 있어서도 같은 경향이었다. 4. Moapa는 다른 두 품종(品種)에 비(比)하여 N, Ca, Mg의 농도(濃度)가 높은 반면 P, K의 농도(濃度)는 낮았다. 5. Washoe는 Lahontan에 비(比)하여 K가 높고 Ca가 낮으며, Lahontan은 Washoe에 비(比)하여 P가 높고 Mg가 낮다. 6. 접종(接種)에 의(依)해 예취시기가 경과함에 따라 P, K가 감소하였다. 7. Moapa의 다수성(多收性)은 N, Ca, Mg 흡수력(吸收力)이 강한 반면 P, K의 요구도가 적은데 기인하는 것으로 보였다.

  • PDF

녹숙(綠熟)고추의 저온저장(低溫貯藏)에 따른 종자갈변(種子褐變)에 관(關)한 생리화학적연구(生理化學的硏究) -제 2 보(第 2 報) 종자갈변(種子褐變)에 따른 효소활성(酵素活性)의 변화(變化)- (Physio-chemical studies on the seed-browning in mature green peppers stored at low-temperature (Part 2) -Changes in enzymatic activity with the seed-browning effect-)

  • 이성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7-43
    • /
    • 1971
  • (1) 감미종(甘味種) 소형(小型)고추인 Zairaisisi 종자(種子)의 polyphenol oxidase는 최적(最適) pH가 6.5이고 $0{\circ}C$에서도 상당(相當)한 활성(活性)을 가지며 o-diphenol에 대(對)하여 강(强)한 특이성(特異性)을 가지나 monophenol에 대(對)해서는 특이성(特異性)이 없었다. (2) 저온장해(低溫障害)에 의한 갈변초기(褐變初期)에 polyphenol oxidase는 강(强)한 활성도(活性度)를 나타내지만 전면갈변(全面褐變)에 따라 활성도(活性度)는 0 이 되었다. (3) polyphenol 추출액(抽出液)에 상당(相當)하는 효소액(酵素液)의 갈변능(褐變能)을 측정(測定)하였든 바 polyphenol oxidase의 활성도(活性度)가 0 일 때도 in vitro에서는 갈변현상(褐變現象)이 진행(進行)되었고 이때 peroxidase는 당초(當初)와 거의 같은 활성도(活性度)를 지니고 있었다. (4) 저온장해(低溫障害)에 따른 저온초기(低溫初期)에서는 DNP 첨가실험(添加實驗)으로 미루어 호흡(呼吸)의 전자전달계(電子傳達系)에 이상(異常)을 볼 수 있었고 cytochrome oxidase 활성도(活性度)가 저하(低下)하였지만 호흡량(呼吸量)에는 큰 변동(變動)이 생기지 않았기에 조직(組織)호흡(呼吸)에 미치는 chlorogenic acid 첨가실험(添加實驗)을 하여 polyphenol oxidase가 대상호흡계(代償呼吸系)의 terminal oxidase로 쓰인다는 것을 추정(推定)할 수 있었다.

  • PDF

한국·중국 벼 도열병균 생리형 분석 및 품종 저항성 특성 비교 (Comparative Assay Fungus Population and Resistant Genes about Magnaporthe grisea between Korea and China)

  • 김동윤;심홍식;;;한성숙
    • 식물병연구
    • /
    • 제10권4호
    • /
    • pp.217-226
    • /
    • 2004
  • 한 중 벼 도열병균의 특성 검정과 저항성원의 공동 평가를 통하여 병원균의 특성을 구명하고 주요 저항성원에 대한 정보와 한국 도열병균의 분화 현상이 중국으로부터 유래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각국의 대표균주 각각 100균주씩을 한국, 중국 판별품종 및 단인자 저항성 품종에 접종한 결과, 한국 병원균은 중국 단인자 저항성 품종에서 29개의 반응형을 보였으며, 한국균주 46%가 중국 NIL(LTH/일본품종 저항성 유전자)을 모두 침해하여, 우리나라 벼 육종 시 저항성원으로 적합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판별품종에 대한 중국균주의 반응결과, KJ-201, KJ-301, KJ-403, KJ-105, KJ-101 레이스가 각각 11%, 10%, 9% , 8%, 7%의 비율로 나타났다. 그러나 RFLP-MGR586 profile은 한국 균주가 중국균주보다 band 수와 양상이 다양하여 변이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IRRI에서 육성한 11개의 단인자 저항성 품종에 대하여 한-중균주의 유전자 침해비율은 대체로 비슷한 경향이었다. Pi-z, Pi-3, Pi-5(t)는 한국 균주가 각각 56.6%, 58.1%, 45.4%침해하는 반면, 중국 균주는 각각 85.2%, 75.9%, 75.9%를 침해하여 중국 균주의 침해 비율이 높았고 Pi-b 유전자의 경우, 한국 균주의 82.6%가 침해하는 반면 중국 균주는 59.3%가 침해하여 한국 균주의 침해 비율이 높았다.

국내 수집 벼흰잎마름병균의 유전적 다양성 및 병원형 (Genetic Diversity and Pathotypes of Xanthomonas orzyae pv. oryzae Isolated in Korea)

  • 오창식;노은정;이승돈;나동수;허성기
    • 식물병연구
    • /
    • 제16권3호
    • /
    • pp.224-231
    • /
    • 2010
  • 1999년부터 2004년 사이에 벼흰잎마름병의 원인균인 Xanthomonas oryzae pv. oryzae를 전국적으로 분리하여 Biolog와 지방산 분석법을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한국의 벼 판별품종을 기준으로 분류한 결과 1999년도와 2002에 각각 분리된 벼흰잎마름병균은 모두 K1 레이스에 속하였다. 2003년도에 분리된 벼흰잎마름병균의 경우는 50% 이상이 K3 레이스에 속하였으며 대부분 전라도 지역에서 분리된 균주였다. 분리 년도 별로 단인자 벼 저항성 품종에 대한 균들의 반응을 보았을 때 많은 K1 레이스로 분류된 균주들이 단인자 저항성 품종에 대해 달리 반응을 보였다. Southern bolt 결과, 동일한 레이스에서도 다양한 비병원성 유전자들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하나의 레이스가 여러 개의 벼 저항성 유전자와 반응한다는 것을 제시한다. 전남과 전북에서 분리된 모든 K3 레이스들은 Xa3 단인자 저항성 품종을 침해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전남과 전북에 Xa3 저항성원을 지닌 벼 품종의 과다한 재배로 인하여 Xa3 침해 균주의 선별적 증식이 유도된 것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다양한 비병원성 유전자 패턴 및 단인자 저항성 유전자에 대한 반응을 고려하여 국내 분리된 벼흰잎마름병균들을 19개의 병원형으로 분류하였다. 새롭게 분류된 병원형들은 국내의 새로운 저항성 품종을 육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나노임프린트 패터닝과 자성박막도금을 이용하여 제작한 패턴드미디어용 자기패턴의 자기적 및 결정구조특성에 관한 연구 (Magnetic & Crystallographic Properties of Patterned Media Fabricated by Nanoimprint Lithography and Co-Pt Electroplating)

  • 이병규;이두현;이명복;김해성;조은형;손진승;이창형;정근희;서수정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49-53
    • /
    • 2008
  • 50 nm pitch의 magnetic dot pattern을 갖는 hard disk drive용 patterned media를 nanoimprint lithography(NIL) patterning과 electroplating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하고 자기 및 결정구조 특성을 관찰하였다. Patterned media는 Si(100) wafer 위에 Ru(20nm)/Ta(5 nm)/$SiO_2$(100 nm)를 순차적으로 증착한 후 nanoimprint lithography를 이용하여 25 nm half pitch의 hole pattern을 형성하고 그 후 패터닝된 기판을 plasma ashing 공정을 이용하여 기판의 Ru층을 노출시킨뒤 electroplating을 이용하여 Co-Pt 합금막을 증착하여 제작하였다. Magnetic force microscopy(MFM) 분석을 이용하여 제작된 각각의 magnetic dot pattern이 single domain 특성과 수직자기이방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superconducting quantum interference device(SQUID) 분석을 통하여 2900 Oe이상의 높은 수직방향 보자력을 확인하였다.

Long-Term Treatment Results in Soft Tissue Sarcomas of the Thoracic Wall Treated with Pre-or-Postoperative Radiotherapy - a Single Institution Experience

  • Oksuz, Didem Colpan;Ozdemir, Sevim;Kaydihan, Nuri;Dervisoglu, Sergulen;Hiz, Murat;Tuzun, Hasan;Mandel, Nil Molinas;Koca, Sedat;Dincbas, Fazilet One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2호
    • /
    • pp.9949-9953
    • /
    • 2014
  • Objective: To evaluate the long term results among patients with soft tissue sarcoma of the thoracic wall. Materials and Methods: Twenty-six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pre-or postoperative radiotherapy between December 1980-December 2007, with a diagnosis of soft tissue sarcoma of the thoracic wall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Results: The median age was 44 years (14-85 years) and 15 of them were male. A total of 50% of patients were grade 3. The most common histologic type of tumor was undifferentiated pleomorphic sarcoma (26.9%). Tumor size varied between 2-25 cm (median 6.5 cm). Seventeen of the cases had marginal and 9 had wide local resection. Four cases received preoperative radiotherapy and 22 postoperative radiotherapy. Six of the patients with large and high grade tumors received chemotherapy. Median follow-up time was 82 months (9-309 months). Local recurrence and metastasis was detected in 34.6% and 42.3% of patients, respectively. Five-year local control (LC), disease-free survival (DFS), overall survival (OS), and disease-specific survival (DSS) were 62%, 38%, 69%, and 76% respectively. On univariate analysis, the patients with positive surgical margins had a markedly lower 5-year LC rate than patients with negative surgical margin,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43% vs 78%, p=0.1). Five-year DFS (66% vs 17%) and DSS (92% vs 60%) rates were significantly worse for the patients who had high grade tumors (p=0.01, p=0.008 respectively). Conclusions: Tumor grade and surgical margin are essential parameters for determining the prognosis of thoracic wall soft tissue sarcoma both in our series and the literature.

개발 밀도의 변화 분석과 환경규제 갈등 예측 -평창을 사례로- (Analysis of the Change in Density of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Restrictions Conflict Prediction in Pyeongchang)

  • 배선학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82-291
    • /
    • 2009
  • 본 연구는 1915년과 2005년의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규제와 관련된 공간 갈등을 예측하고자 한 연구다. 이를 위해 연구지역인 평창의 상대적인 공간 밀도의 차이와 그에 따른 환경규제 갈등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먼저 연구지역의 건물 밀도를 이용하여 공간구조를 분석한 결과 1915년과 비교하여 2005년의 건물 집적 정도가 강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변화 유형은 신규로 거점을 형성하고 성장한 유형, 인접한 중심 거점으로의 집중이 진행된 유형, 세력이 전반적으로 약화된 유형, 큰 변화를 보이지 않는 유형 등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연구지역에서 예상되는 환경규제의 장 단기적 갈등을 분석한 결과 진부면 일대와 평창읍의 도시 외곽지역, 그리고 31번 국도변 등은 장 단기적으로 개발과 보전의 갈등이 클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리고 대관령면은 단기적으로는 갈등이 크지만 장기적으로는 갈등이 약화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방림면은 현 시점에는 갈등이 약하지만 장기적으로는 갈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역의 공간 갈등을 최소화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