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CV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3초

NCV-|v1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Mixed-Polarity MCT 게이트 실현 (Realizing Mixed-Polarity MCT gates using NCV-|v1 > Library)

  • 박동영;정연만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29-36
    • /
    • 2016
  • 최근 들어 양자 논리 회로의 저비용 실현 가능성을 가진 $NCV-{\mid}v_1$ >라이브러리라 불리는 새로운 종류의 양자 게이트가 주목을 받고 있다. $NCV-{\mid}v_1$ > MCT 게이트는 입력부에 타깃 입력을 제어하는 $CV-{\mid}v_1$ > 게이트와 정크 비트 제거를 위한 수반 게이트의 종속 AND 구조를 갖는다. 본 논문은 $NCV-{\mid}v_1$ >라이브러리에 대응하는 대칭적 쌍대 특성을 갖는 $NCV^{\dag}-{\mid}v_1$ >라이브러리라 불리는 새로운 게이트를 제안한다. 새로운 $NCV^{\dag}-{\mid}v_1$ >라이브러리는 특정 조건에서 OR 논리로 작동한다. $NCV-{\mid}v_1$ >라이브러리와 $NCV^{\dag}-{\mid}v_1$ >라이브러리를 함께 사용하면 MPMCT 게이트와 SOP 및 POS형 양자논리 회로의 저비용 실현이 가능하며, 순방향과 역방향 연산에 대한 상이한 연산 속성 때문에 듀얼 게이트 성질이 기대된다.

NCV-|v1 >라이브러리의 새로운 쌍대 구조와 응용 (For new Duality Structure and its Application in the NCV-|v1 > Library)

  • 박동영;정연만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65-170
    • /
    • 2016
  • 본 논문은 $NCV-{\mid}v_1$ > 라이브러리의 새로운 쌍대 구조의 특성과 그 응용에 대한 연구이다. 상태벡터가 고유벡터인 임의 n개 qudit 상의 모든 유니터리 연산은 1개와 2개의 $NCV-{\mid}v_1$ > 라이브러리 들의 합성으로 표현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입력 상태벡터가 PP로 제한적인 Barenco의 n비트 U(2n) 연산자를 전역 극성의 입력 상태벡터로 확장 실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보강된 확장 실현은 유니터리 연산자의 제어게이트 합성 시에 $NCV-{\mid}v_1$ > 과 이의 쌍대인 $NCV^{\dag}-{\mid}v_1$ > 라이브러리 모두를 사용할 경우에 이들이 대칭적 쌍대 성질을 갖고 있어 모든 극성의 상태벡터 입력에 대해 AND 지배적 종속 합성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신경 신장 적용 강도에 따른 신경흥분성 변화 (Changes in Nerve Excitability Depending on Intensity of Neural Stretching)

  • 김종순
    • PNF and Movement
    • /
    • 제19권2호
    • /
    • pp.195-203
    • /
    • 2021
  • Purpose: Neurodynamic tests are used to examine neural tissue in patients with neuro-musculoskeletal disorders, although this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in the intensity of nerve tension applicatio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cute effects of neural stretching intensity on nerve excitability using the latency and amplitude of nerve conduction velocity test (NCV) analysis. Methods: Thirty young, healthy male and female subjects (mean age = 21.30 year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Nerve excitability was assessed using the median sensory NCV test. The latency and amplitude of the NCV test were measured under four different conditions: reference phase (supra-maximal stimulus, without neural stretching), baseline phase (2/3 of the supra-maximal stimulus, without neural stretching), weak stretch phase (2/3 of the supra-maximal stimulus, with weak neural stretching), and strong stretch phase (2/3 of the supra-maximal stimulus, with strong neural stretching). Results: The NCV latency was significantly delayed after one minute of neural stretching at the baseline, weak phase, and strong phase in comparison with the reference phase. The NCV latency was significantly delayed by increasing the strength of neural stretching. Furthermore, the NCV amplitud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the weak and strong phases, which were under neural stretching, in comparison with the baseline phase. The NCV amplitud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neural stretching. Conclusion: Transient neural stretching as a neurodynamic test can increase the sensitivity of the nerve without negatively affecting the nervous system. Howev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trong neural stretching in the neurodynamic test may delay the transmission of nerve impulses and hypersensitivity.

카페인이 신경전도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ffeine on Nerve Conduction Velocity)

  • 강윤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95-199
    • /
    • 2020
  • 본 연구는 신경계를 자극하는 카페인이 신경전도속도(nerve conduction velocity. NCV)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카페인의 종류는 커피를 사용하였다. 커피는 가장 쉽게 접할 수 있고, 많은 현대인들이 좋아하는 기호 식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커피안에 있는 특수한 성분인 카페인은 카페인은 알칼로이드계 메틸화 화합물의 하나로서 이뇨 촉진, 혈관 확장, 중추신경흥분, 골격근 강화, 기관지 확장 등의 작용이 있다. 카페인 섭취가 신경속도를 향상시켜 반응시간의 감소를 실험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신경계를 자극하는 카페인이 신경전도속도(nerve conduction velocity. NCV)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조군 및 실험군 개별 집단 내에서의 사전, 사후 신경전도속도(nerve conduction velocity. NCV) 수치를 비교한 결과, 대조군의 경우 두 곳의 측정 구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실험군은 팔꿈치 위 액와 구간에서의 신경전도속도(nerve conduction velocity. NCV)가 카페인 섭취 후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카페인을 섭취함으로 인해 신경전도속도(nerve conduction velocity. NCV)가 증가하였고, 이것은 일시적으로 신경전도속도(nerve conduction velocity. NCV)를 증가시킴으로써 운동능력향상, 근력향상, 신경기능향상 등에 대해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적정량의 카페인섭취는 신경전도속도신경전도속도(nerve conduction velocity. NCV)향상에 대해 도움을 줌으로써 카페인이 말초신경계에 영향력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근기능장애, 신경기능장애 환자의 치료와 진단법 개발에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하는 바이다.

의사-제어된 NCV 게이트로 실현된 매크로 양자회로의 새로운 함수 합성법 (A New Functional Synthesis Method for Macro Quantum Circuits Realized in Affine-Controlled NCV-Gates)

  • 박동영;정연만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447-454
    • /
    • 2014
  • 최근에 양자회로 합성과 관련한 대부분의 방법들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적합한 서술적 표현 구조를 채택하고 있어 합성된 양자함수들에 대한 분석이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구조가 단순하고 직관적 사고가 가능한 양자회로의 새로운 함수표현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 제안사항은 타깃라인상의 유니터리 연산자들의 직렬 적 행렬연산을 멱함수의 산술연산과 modulo 2 연산이란 수학적 치환을 통해 유니터리 연산자의 제어입력을 자신의 멱함수로 합성하는 새로운 함수합성에 있다. 본 논문의 함수합성 알고리듬은 의사-제어된 NCV-양자게이트를 이용한 가역 및 비가역 양자회로들의 함수표현과 새로운 함수합성에 유용하다.

An analysis of pinch strength and EMG parameters for CTS group

  • Lee, H.I.;Lee, D.C.;Lee, S.D.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39-147
    • /
    • 1996
  • It is known fact that the CTS patients have lower pinch strength than the normal people. And we can assume that the sensory nerve action potential(SNAP) and the nerve conduction velocity(NCV) of the CTS group are lower or slower than the normal subjects. This paper analysed the grip strength and performed EMG experiment for the group Norm, G1 and G2.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CTS patients have lower pinch strength than normal people.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SNAP between the CTS group and the normal group. 3)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 NCV among Norm, G1, and G2 group. Especially, significant level was higher in the evening after the continuous use of wrist.

  • PDF

CTS Group의 Pinch Strength 및 EMG 특성분석

  • 이형일;이동춘;이상도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6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6-29
    • /
    • 1996
  • We can establish hypothesis that the grip strength of the CTDs gorup is weaker, SNAP is lower, and NCV is stower than the normal subjects. This paper is to drive out the characteristics of pinch strength and EMG for subjects G1 and G2 who are supposed to be in CTDs and the normal group.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pinch strength of the CTDs group is weaker than the normal group. It is remarkably decrease in the afternoon for G2 group.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SNAP among three groups. (3)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 NCV among three groups.

  • PDF

주정의존에서 성기능장애와 말초신경염의 연관성 (Association of Sexual Disorders with Peripheral Neuropathy in Alcohol Dependence)

  • 전진숙;한호성;김기찬;정호중
    • 생물정신의학
    • /
    • 제4권1호
    • /
    • pp.108-115
    • /
    • 1997
  • The alcoholic neuropathies developed in approximately 34% of chronic alcoholics and the sexual dysfunction had been experienced in 8-54% of male alcoholics(Schiavi 1990).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prevalence of subclinical polyneuropathies and sexual disorders in alcohol dependence, an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m. The nerve conduction velocity(NCV), electromyography(EMG), and pudendal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SEPs) were tested for the male alcoholics(N=34) and controls(N=17 for NCV & EMG, N=25 for pudendal SEPs). The pudendal SEPs were measured by the following procedures, in which we stimulated the dorsal nerve of penis attached by the ring electrode(stimulus intensity, three times of threshold : stimulus rate, 1-4.7Hz : stimulus duration, 0.1 or 0.2msec), and recorded at the scalp(active electrode, 2cm behind Cz : reference electrode, Fz). The NCV and EMG detected signs of peripheral neuropathies in 79.4% of alcoholics. Among the alcoholics, 64.7% were abnormal on the pudendal SEPs. Among the alcoholics who revealed abnormality on EMG and NCV, 81.4% were abnormal on the pudendal SEPs, in which 51.9% were not responded. The P1 latencies of pudendal SEPs on neuropathic alcoholics were significantly delayed(p<0.05) than non-neuropathic alcoholics. There was a relative correlation between peripheral neuropathies and sexual disorders in the alcoholics. The prevalence of subclinical neuropathies and sexual disorders seemed to be much higher in alcohol dependence than expectation, and these two problems were relatively correlated, and our results suggested that the peripheral polyneuropathies were one of the prerequisites of sexual disorders.

  • PDF

막대전극을 이용하여 기록한 정중고유손바닥쪽 손가락신경의 감각신경전도속도 (Sensory Nerve Conduction Velocity of Median Proper Palmar Digital Nerve Recorded by Bar Electrode)

  • 곽규호;이동국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2권1호
    • /
    • pp.21-26
    • /
    • 2000
  • 저자들은 정상 대조군과 CTS 환자군을 대상으로 막대전극을 이용하여 M P P D N의 감각신경전도검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MPPDN의 감각신경전도속도의 정상범위는 $38.7{\pm}4.2$(D1), $32.0{\pm}4.6$(D2), $34.2{\pm}4.4$(D3) m/sec로서 서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MPPDN의 감각신경전도속도의 정상범위는 좌우에서 서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CTS 환자에서 측정한 MPPDN의 감각신경전도속도는 각각 $35.3{\pm}8.9$(D1), $20.2{\pm}5.2$(D2), $20.2{\pm}5.1$(D3) m/sec로서 대조군에서 얻은 정상범위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PDF

절전, 절후 신경손상을 동반한 상완신경총병증 환자에서 시행한 척수자극술 -증례보고- (Spinal Cord Stimulation in a Patient with Preganglionic and Postganglionic Brachial Plexus Injury -A case report-)

  • 홍지희;장현석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1권3호
    • /
    • pp.244-247
    • /
    • 2008
  • After a traumatic brachial plexus injury, 80% of patients develop severe pain in the deafferentated arm. This type of pain is considered very resistant to many forms of therapy. When we plan treatments for the patient who suffer from a pain from traumatic brachial plexus injury, clarifying the location of injured nerve is very important. EMG (electromyography), NCV (nerve conduction study),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CT (computed tomography) myelography are recommended diagnostic method for this purpose. Here, we presented a patient who was suspected to have both preganglionic and postganglionic brachial plexus lesion by EMG and NCV study, he showed favorable response after spinal cord stim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