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ulti-use Facilities

검색결과 230건 처리시간 1.487초

학교(學校) 시설(施設) 복합화(複合化)에 관한 건축계획적(建築計劃的) 연구(硏究) - 학교(學校)(한국, 일본(韓國, 日本))의 평면(平面) 분석(分析)을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in Mixed-use Tendency for Educational Facilities - The case of a plan analysis in Educational Facilities(Korea/Japan) -)

  • 류호섭;신일용
    • 교육시설
    • /
    • 제7권3호
    • /
    • pp.15-22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a concept for mixed-use tendency of educational facilities, its propellant circumstance in the nation and japan, to analyze a feature of a function, a flow planing of user and the complex form which appear from an instance of the mixed-use tendentious educational facilities and is to suggest a basic matter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for mixed-use tendency of the regional facilities and educational facil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were as follow: 1) The step of mixed-use in nation is yet the early step and a extremely feeble to compared with the japan. 2) In a case of the mixed-use tendency facility, the nation is to appear for the necessity of a region but they know of a varied facility to be mixed-use tendency in japan. 3) Much to appear monolithic form in the side of complex form. 4) To appear multi-story in the side of facility-story. 5) It is much example of separating from main entrance, the flow of interior found of dividing into not to transit or transit by the function of facility. 6) To know for being tendency of common and division by the principal of user in facility instituting E V.

  • PDF

다중 이용 시설에 대한 온.습도 모니터링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Monitoring of Temperature and Humidity in Public Utilization Facilities)

  • 최만용;채경희;김기복;김수언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9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470-1475
    • /
    • 2009
  • Until now for the safety of structures and equipment monitoring technology to measure the amount of the physical, if that is the one, one-point or single-source target is one the most. Therefore, becoming more numerous and complex to measure the amount of physical measurement technology that is comprehensive and complex, multi-source concepts to the monitoring of a multi-sensing technology is required.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of multi-source multi-use space such as a multi-structure of facilities/equipment is. The people's safety in a multi-use facility will be directly related to life and even a little carelessness can lead to large-scale disaster occurs because of several factors, risks and to manage detect in advance the development of an intelligent monitoring technology is essential.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at multiple structures/facilit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human life in research to maintain a safe and comfortable living space for multi-source intelligence to the development of monitoring technology to achieve that goal, and the ubiquitous sensor network system on the basis of the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and multiple research facilities/equipment for the ultra-small sensors for health monitoring study was performed.

  • PDF

GIS를 활용한 국립공원 다중이용시설 인접 급경사지 평가 (Evaluation of Steep Slopes Adjacent to Multi-use Facilities in National Parks using GIS)

  • 이동혁;전계원;정민진;박준효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29-36
    • /
    • 2021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비탈면이 증가하고 있으며 2019년 동해안 및 부산지역 사면붕괴 발생 및 2020 곡성 산사태 등 급경사지 재해에 대한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국립공원은 대부분 산지로 이루어졌으며 급경사지 재해에 대한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다. 국립공원의 지반은 노령화 되고 기후변화로 인해 암반의 풍화 및 절리가 가속화되고 있어 사면붕괴 및 낙석이 증가하고 연간 탐방 객수는 증가하는 추세로 이용자수가 많은 다중이용시설에 인접한 급경사지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GIS를 활용해 국립공원 다중이용시설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급경사지를 분석하고 현장조사를 통해 검증하였다. 국립공원 다중이용시설 인접 급경사지를 추출하기 위한 과정으로 DEM에서 경사도를 제작하고 34도 이상인 사면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사면의 최대높이와 최소높이 차이로 급경사지 기준에 부합하는 사면을 확인하였으며 사면방향 분석을 통해 다중이용시설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이후 정밀 항공영상과 현장사진을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4개소의 위험지점을 확인하였으며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조사 결과 4개소 모두 급경사지로 나타났으며 3개소는 D등급, 1개소는 C등급으로 나타나 붕괴위험지역으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확인되었다. GIS를 통해 추출한 급경사지 모두 위험한 것으로 나타나 GIS를 통한 급경사지 추출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대학시설물관리의 다차원공간정보 활용 (Campus Facilities Management using Multi-Dimension Spatial Information)

  • 최석근;이병용;문용현;조의환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10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15-316
    • /
    • 2010
  • This study refer to make a selection of a location using multi-dimension spatial information for University's facilities management. Structures and new construction plane of the building for the simulation through the use of space to maximize the optimal location decisions. As a result, making a rational decision of facilities plan and management can be maximized.

  • PDF

공간정보 기반 실감형 재난관리를 위한 3D 안전상태정보 플랫폼 아키텍처 설계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3D safety state information platform architecture design for realistic disaster management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 김태훈;윤준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564-570
    • /
    • 2019
  • 소방안전 및 재난관리를 위해 3차원 공간정보를 활용하는 연구가 일부 시도되고 있으나 실제 현업에 적용하기는 아직 많이 미흡한 상황이다. 특히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다중이용시설물의 경우 시설물의 복잡성, 용도의 다양성, 이용자의 특수성 등으로 인해 재난재해 발생 시 신속한 대응에 더 취약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다중이용시설물의 효율적 재난관리를 위해 3차원 공간정보와 시변 안전상태정보를 융합한 3D 안전상태정보 플랫폼 개발방안을 제시하였다. 세부적으로는 첫째 재난관리플랫폼 관련 기존 개발 및 연구 사례를 조사 분석하고, 다중이용시설물의 관리현황 및 다양한 현업 사용자들의 요구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둘째 분석된 결과를 기반으로 세부 연구대상시설물을 선정하고 발생 가능한 다양한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마지막으로는 플랫폼 아키텍처 설계방안 및 해당 플랫폼에서 제공 가능한 다섯 가지 서비스 항목을 제시하였다. 해당 연구 성과들은 향후 3D 안전상태정보 플랫폼 개발을 위한 기반으로 활용될 예정이며, 이를 통해 다중이용시설물의 안전성 향상과 재난취약계층에서의 피해최소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중이용시설 화학테러에 대비한 관리방안 연구 (Study on the Management Plan for the Preparation of Chemical Terrorism in Multi-use Facilities)

  • 윤성용;김시국;홍성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2호
    • /
    • pp.68-78
    • /
    • 2019
  • 현대 사회는 과거의 테러성향과는 다른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소프트 타깃의 형태로 테러의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으며 화학물질을 이용한 테러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중이용시설에 국한하여 피난환경 및 특성, 테러대응 매뉴얼 분석, 국내 화학물질 관리 현황을 분석하여 다중이용시설 화학테러 대비를 위해 다음과 같은 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복잡한 다중이용시설 공간에 대비하여 테러발생 시 신속한 현장대응을 할 수 있도록 다중이용시설의 정보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등급에 따른 관리를 제안하였다. 둘째, 테러대응 매뉴얼의 취약점을 분석하고 화학테러의 유형 및 특성을 사전에 파악하여 화학테러에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화학테러에 사용할 가능성이 있는 물질들을 선별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셋째, 선별된 화학물질을 대상으로 사회적 관심물질과 같은 용어제정을 통해 통합 관리해야하는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다중이용시설 화학테러 대비를 위한 개선방안이 추가적으로 마련될 것으로 보여 지며, 추후 국외 사례를 통한 문제점 분석과 이를 통한 맞춤형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테러방지를 위한 민간경비의 역할과 과제 (Role and Subject of Private Security to Counter-Terrorism)

  • 권정훈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130-139
    • /
    • 2011
  • 이 논문에서는 인간정보 역할의 중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테러방지를 위한 보완책으로 민간경비와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국가중요시설과 교통수단 그리고 다중이용시설에서 민간경비의 적용성을 검토한 결과, 민 관간의 협력체결을 통한 지속적인 위탁교육실시와 민간 무장경비요원의 선박탑승을 위한 법제정 마련, 민간경비원의 탐지견 활용과 지하철 역사의 민간경비요원 대체 방안, 관계기관의 시설주에 대한 지도 감독체계와 시설주의 테러대응 방안의 인식 전환을 위한 산 관의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한국형 코드아담제도 도입을 위한 입법모델 연구 (Missing Children Policy in Korea: A Legislative Model for Korean Code Adam Alert)

  • 이성용;김학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179-191
    • /
    • 2012
  • 실종아동의 발생 시 가장 중요한 것은 초기수색을 통해 조속히 실종된 아동을 찾는 것이다. 1981년 미국에서 발생한 아담 월시 실종사건을 계기로 미국에서는 코드아담법을 제정, 모든 연방건물에서 실종아동 발생시 코드아담경보를 발령토록 하고 있고, 월마트를 비롯하여 다중이용 민간시설에서는 자발적으로 여기에 동참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이러한 코드아담법의 도입이 논의되고 있으나 아직 선행연구가 전무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한국형 코드아담법의 입법모델을 제시하였다. 동 모델에 따라 대규모 점포나 놀이시설 등을 포함한 대규모 다중이용에서 의무적으로 '실종아동등의 예방 및 조기발견계획'을 수립 시행하도록 하고, 이를 위반할 경우 행정질서벌로서 과태료를 부과하고 명단을 공표하는 방식의 제재수단을 마련하도록 하는 것과, 자율적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인증제를 통해 실종아동예방 안전시설에서 인증로고를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안한다.

독거노인 공동생활시설의 리모델링에 관한 평가 연구 - 경기도 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modeling of the Co-housing for Seniors Living Alone - Focused on the 'Carnation House' in Gyeounggi-do Area -)

  • 문자영;황연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5호
    • /
    • pp.31-41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modeling of Carnation House,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the spatial remodeling, and propose the future direction of the spatial remodeling of communal life facilitie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To this end, experimental investigation, photograph shooting, and interviews with managers were performed, and a remodeling analysis was conducted by comparing the data before and after the remodeling.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as there is no standard for the remodeling of communal life facilitie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related guidelines should be provided in the near future. Second, more fundamental approach to the remodeling should be made considering medical services for the elderly's safety, universal design plans, lifestyles of the elderly, and their use behaviors. Third, as communal life facilitie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normally have small spaces due to the remodeling by change of use, variable spatial planning should be performed for the elderly to utilize communal life facilities as multi-purpose and multi-functional spaces. Fourth, as the terrace space is an essential remodeling space needed for the elderly's rest, communication, and creation of profits, its remodeling should be realized in such a way that various programs can be utilized. Fifth, it turned out that the exterior remodeling could change the overall image of the facilities through new materials and colors.

감염병 예방을 위한 건축물 시설가이드라인 설정에 관한 기초 연구 (Basic Studies on Establishment of Facility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of Infectious Diseases)

  • 최광석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8권3호
    • /
    • pp.27-38
    • /
    • 2022
  • Purpose: This study tried to present basic data for establishment of facility guidelines and facility certification standards for the comprehensive prevention of infectious diseases in buildings. Methods: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architectural countermeasures for the prevention of infectious diseases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then classifies and organizes the countermeasures by viewing the infectious diseases hospitals as the top-level facility in terms of responding to infectious diseases. Results: At first, this study categorized and organized infection prevention countermeasures of infectious disease hospitals, which are the highest level facilities in terms of response to infectious diseases. And by presenting the concept of step-by-step setting of countermeasures for general buildings such as welfare facilities and multi-use facilities, which are lower-level facilities in the aspect of prevention of infectious diseases, this study tried to present basic data for establishing facility guidelines and facility certification standards for comprehensive prevention of infectious diseases in buildings. Implication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spatial changes for the prevention of infectious diseases will spread to general constructions such as public buildings, private buildings, and multi-use facilities, and comprehensive infection prevention facility guidelines ar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