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cor hiemali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6초

A New Record on Umbelopsis vinacea and Mucor hiemalis f. corticola Isolated from Korea

  • Das, Kallol;Ha, Ki-Hun;Suh, Sang-Jae;Lee, Seung-Yeol;Jung, Hee-Young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97-207
    • /
    • 2020
  • In the screening of fungal diversity, two strains were collected from the soil of Yeongcheon and dissected guts from the bodies of Chinese rice grasshopper (Oxya chinensis), Chinese grasshopper (Acrida cinerea), and Far eastern devil grasshopper (Oedaleus infernalis) from Daejeon in Korea. They were identified as Umbelopsis vinacea (KNU-YC-1801B) and Mucor hiemalis f. corticola (KNU-20F7, KNU-20F8, KNU-20F9). Multigene phylogenetic analyse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s, and large subunit (LSU) sequence data confirmed two unreported taxa along with their morphology. The results of molecular phylogeny firmly supported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illustration for each taxon. As far as we know, both Umbelopsis vinacea and Mucor hiemalis f. corticola are the first reported taxa in Korea.

Gas Chromatograph-Mass Spectrometer를 이용한 γ-Linolenic Acid(GLA) 생성 균주탐색 및 확인 (Screening of GLA (γ-Linolenic Acid) from Fungi by Gas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scopy)

  • 김정봉;김경환;홍승범;박종석;이종렬;김삼선;배신철;조강진;이동진
    • 한국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96-100
    • /
    • 2007
  • 가스크로마토그라프와 질량분석기 (GC-MS)를 이용하여 감마리놀렌산(GLA) 생산 균주를 선발하였다. KACC에 보존 중인 Phytophthora 속, Pythium 속 및 Mucor 속 및 Rhizopus 속 등 4속에 속하는 44개 균주를 GC-FID를 통하여 GLA를 분석하였다. 4속 39종의 곰팡이 균주에서 GLA를 확인하였으며, M. hiemalis f. sp. hiemalis KACC 40264 균주에서는 GLA의 조성비가 전체 지방산의 24.8%로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속간에 전체적인 GLA 함량은 Mucor 속(14.2%)과 Rhizopus 속(14.3%)의 Zygomycota가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을, 그리고 Phytophthora 속(3.3%)과 Pythium 속(3.0%)의 Oomycota는 낮은 함량을 나타냄으로서 뚜렷한 양분현상을 나타냈다. 지방산총량에서도 Mucor 속(15.4 mg/100 ml)과 Rhizopus 속(7.1 mg/100 ml)가 Phytophthora 속(2.6 mg/100 ml)와 Pythium 속(4.5 mg/100 ml)보다 높게 나타나서 전체적으로 지방산을 생산하는 유용한 균류자원으로 평가되었다. Mucor 속 내에서도 계통별로 큰 차이를 나타냈는데 18.2%의 GLA를 생성함으로 지방산총량이 50.8 mg/100 ml까지 이른 Mucor blumbeus KACC 40935가 실제적으로 가장 활력이 좋은 균주로 평가되었다.

메주에서 분리한 접합균(Zygomycetes)의 분리 동정 (Identification and Isolation of Zygomycetous Fungi Found on Maeju, a Raw Material of Korean Traditional Soysources)

  • 이상선;박광호;최경진;원순애
    • 한국균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72-187
    • /
    • 1993
  • 전국 각지에서 수거한 메주로부터 29 종의 곰팡이를 분리하였다 . 그 중 접합균은 9 종이였다. 동정된 접합균으로는 M. hiemalis, M. circinelloides f. griseo-cyanus, M. circinelloides, M. jansseni M. racemosus f. racemosus, M. isabellina, R. stolonifer, R. oryzae, 및 A. corymbifera으로 4 속 9 종이었다. 분리된 접합균종 중에서M. circinelloides f. griseo-cyanus, R. stolonifer, R. oryzae은 이미 우리의 재래식 메주에 서식하는 균으로 간장, 된장 등의 장류분야에서 연구 보고도 되었으나, 나머지 6 종은 새로이 기재되는 균들이다. 분리된 9개의 균 각각으로 메주와 간장 된장을 만든 결과 접합균 중, M. hiemalis f. hiemalis. 와 M. circinelloides f. griseo-cyanus는 단독으로 메주가 되고, 우리 구미에 맞는 간장 된장이 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이 균은 메주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 PDF

Microbial Transformation of Two Prenylated Naringenins

  • Han, Fubo;Lee, Ik-Soo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3권4호
    • /
    • pp.306-309
    • /
    • 2017
  • Microbial transformation of $({\pm})$-6-(1,1-dimethylallyl)naringenin (6-DMAN, 1) and $({\pm})$-5-(O-prenyl) naringenin-4',7-diacetate (5-O-PN, 2) was performed by using fungi. Scale-up fermentation studies with Mucor hiemalis, Cunninghamella elegans var. elegans, and Penicillium chrysogenum led to the isolation of five microbial metabolites. Chemical structures of the metabolites were determined by spectral analyses as $({\pm})$-8-prenylnaringenin (3), (2S)-5,4'-dihydroxy-7,8-[(R)-2-(1-hydroxy-1-methylethyl)-2,3-dihydrofurano]flavanone (4), $({\pm})$-5-(O-prenyl)naringenin-4'-acetate (5), $({\pm})$-naringenin-4'-acetate (6), and $({\pm})$-naringenin (7), of which 5 was identified as a new compound.

오향(五香) 성분의 살균 및 살충효과 (Antifungal and Insecticidal Activity of Ohyang (Five Medicinal Plants))

  • 정용재;이규식;한성희;강대일;이명희
    • 보존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1-30
    • /
    • 2001
  • 정향, 유향, 곽향, 청목향, 그리고 침향의 에탄올 및 휘발성 추출물의 항균력 및 살충력 실험결과, 정향의 에탄올 및 휘발성 추출물은 실험균주 4종(Mucor hiemalis, Aspergillus niger, Penicillium funiculosum, Trichoderma viride)에 대해서 강한 항균력을 나타냈으며, 유향의 휘발성 추출물은 실험균주 M. hiemalis, A. niger, P. funiculosum에서 강한 항균력을 보였다. 공시충 흰개미에 대해서 정향 에탄올 추출물이 접종 후 48 시간 뒤에 $100\%$ 살충력을 보였고, 청목향 에탄올 추출물은 72 시간 뒤에 개체를 $32\%$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휘발성 추출물에 대한 살충력 실험은 흰개미에 대해서 정향 추출물이 48시간 내에 $100\%$의 사충력을 보였다. 넓적나무좀에 대한 살충력은 정향이 접종 후 7일 내에 $19\%$의 사충력을 보였다. 정향의 휘발성 추출물에서 9 개의 휘발성 성분을 확인하였으며, 정향의 휘발성 향기성분 중 가장 큰 농도$(92\%)$를 차지하고 있는 eugenol은 항균활성 물질로써 확인되었다.

  • PDF

Mucor 및 Rhizopus속 균류를 이용한 콩알메주 발효의 생화학적 특성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Whole Soybean Cereals Fermented with Mucor and Rhizopus Strains)

  • 김동호;김승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76-182
    • /
    • 1999
  • 콩알메주 발효의 pilot system에 M. circinlloides, M. hiemalis, R. oryzae, R. stolonifer를 각각 접종하여 45시간 발효시킨 후 메주의 효소활성, 영양성분, 향기 성분 등을 분석하고 발효된 메주로 한식간장을 제조하여 제품의 관능을 평가하였다. 메주의 pH는 $7.16{\sim}8.38$, 환원당은 $0.54{\sim}2.64%$, 아미노태질소는 $93{\sim}312\;mg%$, 유리지방산은 $0.06{\sim}2.00%$의 수준이었으며 아미노산, 유리당, 지방산, 유기산의 분석 결과, 각 균주에 따라 특징적인 구성비를 보여주었다. Amylase 활성과 당류의 분해도는 R. oryzae가, protease 활성은 R. stolonifer가 가장 높았으며 lipase 활성과 지질의 분해도는 각 균주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메주의 향기 성분 분석 결과 Mucor속 균주들은 Aspergillus와 비슷한 향기성분을 생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Rhizopus속 균주들은 Bacillus의 특징적인 향기성분으로 알려진 benzaldehyde, pyrazine류 화합물과 함께 Aspergillus에서만 특징적으로 검출된 dl-limonene, 2,3-butanediol 등도 검출되어 Aspergillus와 Bacillus의 특성을 공유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각 메주로 간장을 제조한 결과, M. hiemalis와 R. stolonifer 실험구가 좋은 관능평가를 보여 이 두 균주를 이용한 콩알메주로 한식간장을 제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저장고 형태에 따른 온주밀감의 저장 중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of Satsuma Mandarin during Storage by Storage Warehouse)

  • 김성학;임자훈;고정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31-136
    • /
    • 2002
  • 저장고 형태에 따른 온주밀감의 저장 중 품질특성을 검토하였다. 항균제로서 베프란(iminoctadime-triacetate) 2,000배 희석액과 키토산 1.5%에 0.5% CaCl$_2$를 혼합한 용액에 감귤을 충분히 침지 하였다. 풍건시킨 후 26L인 플라스틱 컨테이너에 감귤을 12kg 정도씩 담아 3$0^{\circ}C$에서 24시간동안 저장전처리를 하고, 상온저장과 내부온도 4$^{\circ}C$ 상대습도 87%를 기준으로 저장하였다. 저장고내의 온습도 편차가 적은 저장고에서 가장 낮은 부패율이 나타내어, 감귤저장 중 온도관리가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감귤 저장 중 Penicillium italicum, Monilia candida Alternaria citri, Mucor hiemalis, Phomopsis citri, Botrytis cinerea, Phoma citricarpa, Glomererella cingulata, Penicillium digitatum 등이 부패미생물로서 동정되었다. 중량 감소, 껍질과 과육의 수분 함량은 저장 중 서서히 감소하였다. 산 함량의 감소는 저장 4개월 동안 상온저장에서 24%에 비하여, 저온저장에서는 15~18%로 저장효과가 컸다. 총당 함량은 저장 3개월 이후부터 감소 폭이 많았으며, 비타민 C 는 저장 60일 후부터 감소가 많아 장기간 저장으로 감귤 품질이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온주밀감 부패 곰팡이의 분리 및 동정 (Collection and Identification of Molds from Citrus Oranges during Post-Harvest Storage)

  • 고영환;김세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142-1145
    • /
    • 1996
  • 수확 후 감귤의 장기저장은 주로 곰팡이에 의한 부패로 어려움을 겪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감귤부패 곰팡이를 수집, 동정함으로써 수확후 저장성을 증대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1994년 가을부터 1995년 봄에 걸쳐 대기중에 노출된 채로 상온에 저장 중 부패된 온주밀감으로부터 14개의 상이한 균주를 분리하였다. 저장 중 각 곰팡이에의한 병해의 발생빈도는 Penicillium italicum 25.8%, Monila candida 19.8%, Alternaria citri 18.1%, Mucor hiemalis 11.0%, Phomopsis citri 6.6%, Botrytis cinerea 5.5%, Phoma citricarpa 3.8%, Glomerella cingulata 3.8% 그리고 P. digitatum 1.1% 순이었고, 기타 곰팡이가 4.5%를 차지 하였다. 한편 생리적 특성상 동정된 모든 균주가 펙틴 분해효소를 생산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감귤의 부패와 곰팡이의 펙틴분해능간에는 연관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수집된 곰팡이 균주는 감귤의 부패를 방지하는 연구에 이용될 것이다.

  • PDF

오향(五香) 성분의 살균 및 살충효과 (Antifungal and Insecticidal Activities of Ohyang (Five Medicinal Plants))

  • 정용재;이규식;한성희;강대일;이명희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1년도 제14회 발표논문집
    • /
    • pp.49-58
    • /
    • 2001
  • 정향, 유향, 곽향, 청목향, 그리고 침향의 에탄올 및 휘발성 추출물의 항균력 및 살충력 실험결과, 정향의 에탄올 및 휘발성 추출물은 실험균주 4종(Mucor hiemalis, Aspergillus niger, Penicillium funicutosum, Trichoderma viride)에 대해서 강한 항균력을 나타냈으며, 유향의 휘발성 추출물은 실험 균주 M. hiemalis, A. niger, funiculosum에서 강한 항균력을 보였다. 공시충 흰개미에 대해서 정향 에탄올을 추출물이 접종 후 48시간 뒤에 $100\%$ 사충력을 보였고, 청목향 에탄을 추출물은 72 시간 뒤에 개체를 $32\%$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휘발성 추출물에 대한 살충력 실험은 흰개미에 대해서 정향 추출물이 48시간 내에 $100\%$의 살충력을 보였다. 넓적나무좀에 대한 살충력은 정향이 접종 후 7일 내에 $19\%$의 사충력을 보였다. 정향의 휘발성 추출물에서 9개의 휘발성 성분을 확인하였으며, 활성물질 탐색 결과 정향의 휘발성 향기성분 중 가장 큰 농도$(92\%)$를 차지하고 있는 eugenol은 항균활성 물질로써 확인되었다.

  • PDF

두유 응고효소 생산 곰팡이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Fungi Producing a Soybean Milk Clotting Enzyme)

  • 이철우;강창훈;하덕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9-115
    • /
    • 1991
  • Twenty-five fungal strains producing an extracellular soybean milk clotting enzyme were isolated from 146 soil samples, and identified as 11 species belonging to six genera of Aspergillus oryzae (5 strains), Aspergillus flavus (2 strains), Aspergillus parasiticus (1 strain), Aspergillus tamarii (2 strains), Aspergillus niger (4 strains), Aspergillus fumigatus (2 strains), Mucor hiemalis (2 strains), Wallemia sebi (4 strains), Scopulariopsis condida (1 strain), Fusarium redolens(1 strain) and Verticillum lecanii (1 strain). Among them, Aspergillus oryzae 020 and Aspergillus tamarii 287 showed relatively high soybean milk clotting activity. The coagulabilities of the enzyme from representative strains of those species decreased as the pH of soybean milk increased from 6.0 to 7.0 The optimum temperature for soybean milk clotting enzymes of those strains were 65$^{\circ}C$.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