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rphological features

검색결과 826건 처리시간 0.028초

작은땃쥐(Crocidura shantungensis)의 정자 변태 (Spermiogenesis in the Crocidura shantungensis)

  • 정승돈;이정훈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1권1호
    • /
    • pp.31-41
    • /
    • 2007
  • 작은땃쥐(Crocidura shantungensis)의 정자 변태에 대한 연구를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정자세포의 핵과 세포질내 소기관의 형태학적 특징을 기초하여 정자 변태 전 과정을 11기(phase) 15 단계(step)로 각각 구분되었다. 골지 및 두모 단계의 정자세포가 구형인데 반해 첨체 전기에는 타원형으로 변하고, 이 시기부터 꼬리가 생성되기 시작하였고, 성숙기에는 가늘고 긴 정자 두부가 형성되었다. Step 7까지는 정자세포의 두부 방향이 내강쪽을 향하고 있는데 반해 step 8부터 step 15까지는 세정관 상피의 기저막쪽으로 향하였다. Step 12에서 정자세포는 핵과 첨체가 최대로 신장되어 나타났다. Step 13에서부터 정자세포의 핵은 납작해지고, 첨체는 납작하게 확장되면서 전체길이는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Step 14에 도달한 정자세포의 첨체는 정자 두부와 더불어 최종적인 모양을 취하게 되고, 핵은 쐐기모양을 하고 있으며, 염색질은 완전히 응축되고 균질화 되어졌다. 이탈기(spermiation phase)의 정자세포는 세르톨리 세포의 세포질로부터 점차적으로 떨어져 나갔으며, 이 시기에 정자세포의 첨체는 짧아지고 납작해져서 완전한 정자를 형성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정자 변태과정은 정자 형성세포의 분화 단계를 분석하는데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리라 여겨진다.

  • PDF

상황보리 추출물에 의한 p21 및 Bax 발현 증가와 caspase 활성화를 통한 U937 인체백혈병 세포의 apoptosis 유발 (Apoptotic Cell Death by Methanol Extract of Phellinus linteus-Barley Corn in Human Leukemic U937 Cells through Induction of p21 and Bax, and Activation of Caspase-3)

  • 박철;김현중;정경태;윤태경;최병태;이용태;박동일;최영현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1226-1232
    • /
    • 2007
  • Phellinus linteus is a well-known Oriental medicinal fungus that has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immunomodulatory and anti-tumor activities, the mechanisms of which are poorly understood.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the methanol extract of P. linteus-Barley corn (MEPLB) in human lekemic U937 cells. It was found that exposure of U937 cells to MEPLB resulted morphological change and growth inhibi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as measured by trypan blue count and MTT assay. Upon treatment with MEPLB, U937 cells developed many of the hallmark features of apoptosis, including condensation of chromatin and an increase in the sub-G1 population suggesting that the anti-proliferative effect of MEPLB is associated with the induction of apoptosis. The anti-proliferative and apoptotic effects of MEPLB were connected with a marked induction of the pro-apoptotic Bax and cyclin-dependent kinase (Cdk) inhibitor p21 in a p53-independent manner. Additionally, MEPLB treatment significantly induced the caspase-3 activity in U937 cells. Taken together,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apoptotic signals evoked by MEPLB in human leukemic U937 cells may converge caspase-3 activation through an up-regulation of Bax rather than a down-regulation of Bcl-2 or Bel-xL.

설사증 이환견(犬)으로 부터 분리(分離)한 canine coronavirus의 성상(性狀)에 관한 연구(硏究) (Characterization of canine coronaviruses isolated from the dogs with diarrhea in Korea)

  • 이병형;전무형;박종현;황의경;허원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517-527
    • /
    • 1994
  • An attempt was made to isolate a causative viral agents from the fecal specimens of the diseased dogs with the gastroenteritis symptoms. Two coronavirus-like agents were isolated by serial dilution end point method and plaque assay. The isolates were characterized in terms of cytopathology, antigenicity, replication, physicochemical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experiment were as follows; 1. Among 7 fecal specimens collected from the dogs with enteric disease, 2(28.6%)coronavirus-like agents showing typical cytopathic effects of canine coronavirus were isolated, and designated as CCV D1 and CCV D2, respectively. 2. By the cross-neutralization test and indirect immunofluoresence antibody test, the isolates were antigenically indentified as the standard CCV. The viruses were replicated only in the cytoplasm of A-72 cells. 3. The isolates showed no haemagglutinating activity against the erythrocytes from 11 kinds of animals. 4. The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for the isolates showed spherical and pleomorphic features, covered with club-shaped projections on the surface. The size of particles was ranged from 70 to 150nm. 5. In one-step growth curve for the isolates in A-72 cells, maximum titers of intracellular vius was $10^{4.6}$ $TCID_{50}/0.1ml$ at 46 hrs postinoculation(pi) of CCV Dl and $10^{4.4}$ $TCID_{50}/0.1ml$ at 34 hrs pi of CCV D2. The maximum titers of extracellular virus was $10^{5.5}$ $TCID_{50}/0.1ml$ at 58 hrs pi of CCV D1 and $10^{5.8}$ $TCID_{50}/0.1ml$ at 46 hrs pi of CCV D2. 6. In physicochemical property test, the isolates were very sensitive to choroform and were found to be RNA virus. The viruses was stable at pH 3.0 for 1 hr and at $22{^{\circ}C}$ for 5 hrs. However, infectivity titers reduced remarkably by treatment with $56{^{\circ}C}$ for 10min.

  • PDF

Glucoamylase 생성효모의 분리와 효소학적 특성 (Isolation of Glucoamylase Producing Yeasts and its Enzymatic Characteristics)

  • 박소영;최순영;민경희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386-393
    • /
    • 1999
  • 대체에너지 생산을 위한 우수발효효모를 선별하기 위하여 전국 지역에서 전분, 전분박 및 전분 공장의 주변 토양과 폐수 등 시료를 채취하여 glucoamylase를 분비하는 효모균 64분리주를 얻었으며 이중 비교적 높은 activity를 보여주는 분리주를 선별하였다. 분리주를 동정한 결과 A1-5, D1, E3, G1과 J20은 Saccharomyces diastaticus로 동정되었으며 Saccharomycopsis fibuligera와 Schwanniomyces occidentalis는 각각 두 분리주, Ambrosiozyma monospora와 Lypomyces kononenkoae로 각각 한 분리주색 동정되었다. 그 중 높은 효소활성을 보여주는 S. diastaticus A1-5, J20과 E3을 선택하여 분비되는 glucoamylase의 일반적인 특성을 조사하였다. 배양액내의 효소의 생성을 측정한 결과 glucose나 saccharose, 그리고 4탄당과 3탄당보다 수용성녹말에 의하여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Glucoamylase활성의 반응 최적 온도는 $50^{\circ}C{\sim}60^{\circ}C$였고, 최적 pH는 $5{\sim}6$이었으며, 열에 대해서는 $60^{\circ}C$ 이상에서는 불안정한 활성을 보며주었다. 금속이온에 따른 효소의 활성은 $Na^+,\;Mg^{2+}$에 의해 약간 증가하였으나, $H^{2+},\;Ag^{2+}$에 의해 현저하게 감소되는 현상을 보여주었다. 효소의 기질 특이성은 수용성녹말이 쌀 전분, 옥수수전분과 밀 전분에 비하여 현저하게 좋은 기질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배추흰나비 후뇌에 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1. 신경세포의 종류와 그 미세구조

  • 최월봉;정진웅;안의태;이봉희;서지은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85-98
    • /
    • 1985
  • 종족발생학적 계통에 따른 소뇌에 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의 일환으로서 발생과정이나 기능이 비슷한 무척추동물인 곤충강의 배추흰나비 (Pieris rapae Linne) 후뇌를 택하여 광학 및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본 실험의 성적에서는 배추흰나비의 후뇌에서 출현하는 세포를 각각의 미세구조, 즉 세포의 크기, 모습, 세포질의 많고 적음, 세포소기관의 발달 정도등을 기준으로 삼아 분류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배추흰나비의 후뇌에서는 세포층은 구분되지 않았고 각각 다른 6가지의 세포형을 구분하였다. 제I형 세포는 가장 큰 세포이며, 긴 난원형 내지 방추형인데 핵도 긴 난원형이었다. 핵의 염색질은 비교적 적으나 세포질 양은 월등히 많고 세포소기관도 발달되었는데 granular endoplasmic reticulum의 발달은 미약하였다. 제II형 세포는 방추형이나 그 크기는 I형보다 작고 핵의 염색질의 양은 역시 적었다. Granular endoplasmic reticulum을 비롯하여 세포소기관이 발달하였다. 제III형 세포는 둔 삼각형으로서 핵은 구형이며 제I형세포보다 크기가 작고 세포소기관이 비교적 발달하였으며 특히 mitochondria가 많으며 주변세포질에 filaments가 많이 출현하였다. 제IV형 세포는 난원형이며 그 크기나 세포소기관의 발달 정도가 제III형보다 미약하나 다량의 polysome을 포함하고 있었다. 제V형 세포는 대체로 난원형이지만 긴 세포질 돌기를 많이 가져서 불규칙한 모습이며 핵은 난원형으로서 염색질양은 적은 편이었다. 세포질 내의 소기관의 발달은 불량한 편이나 많은 polysome이 세포질 전반에 걸쳐 출현하였다. 제VI형 세포는 방추형이고 핵은 긴 난원형이며 세포 크기는 III형과 IV형의 중간에 해당하였다. 세포소기관의 발달은 대체로 미약하였으며 다수의 polysome과 소수의 granular endoplasmic reticulum 및 mitochondria가 있었고, 세포질 내에 이따금 유모성 물질이 출현하였다.

  • PDF

Protective Effect of Astragalus polysaccharides on Liver Injury Induced by Several Different Chemotherapeutics in Mice

  • Liu, Wen;Gao, Fang-Fang;Li, Qun;Lv, Jia-Wei;Wang, Ying;Hu, Peng-Chao;Xiang, Qing-Ming;Wei, Le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3호
    • /
    • pp.10413-10420
    • /
    • 2015
  • Side effects are an unavoidable consequence of chemotherapy drugs, during which liver injury often takes place. The curr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 of Astragalus polysaccharides (APS) against the hepatotoxicity induced by frequently-used chemical therapy agents, cyclophosphamide (CTX), docetaxel (DTX) and epirubicin (EPI)) in mice. Mice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controls, low or high dose groups ($DTX_L$, $CTX_L$, $EPI_L$ or $DTX_H$, $CTX_H$, $EPI_H$), and low or high dose chemotherapeutics+APS groups ($DTX_L$+APS, $CTX_L$+APS, $EPI_L$+APS or $DTX_H$+APS, $CTX_H$+APS, $EPI_H$+APS). Controls were treated with equivalent normal saline for 28 days every other day; low or high dose group were intraperitoneal (i.p) injected with low or high doses of CTX, DTX and EPI for 28 days every other day; low or high dose chemotherapeutics+APS group were separately intraperitoneal (i.p) injected with chemotherapeutics for 28 days every other day and i.p with APS (100 mg/kg) for 7 days continually from the 22th to the 28th days. The body weight, serum levels of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histopathological features, and ultrastructure morphological change of liver tissues, protein expression level of caspase-3 were estimated at different time points. With high dose treatment of DTX, CTX and EPI, weight gain was inhibited and serum levels of ALT and AS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Sections of liver tissue showed massive hepatotoxicity in $CTX_H$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cluding hepatic lobule disorder, granular and vacuolar degeneration and necrosis in hepatic cells. These changes were confirmed at ultrastructural level, including obvious pyknosis, heterochromatin aggregation, nuclear membrane resolution, and chondrosome crystal decrease. Western blotting revealed that the protein levels of caspase-3 increased in $CTX_H$ group. The low dose groups exhibited trivial hepatotoxicity. More interestingly, after 100 mg/kg APS, liver injury was redecued not only regarding serum transaminase activities (low or high dose chemotherapeutics+APS group), but also from pathological and ultrastructural changes and the protein levels of caspase-3 ($CTX_H$+APS group). In conclusion, DTX, CTX and EPI induce liver damage in a dose dependent manner, whereas APS exerted protective effects.

결정입자 제어를 위한 젖산칼슘 용석결정화 기술 (Drowning-out Crystallization of Calcium Lactate for Crystal Size Control)

  • 김종민;장상목;김인호;구윤모;홍혜현;김우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6호
    • /
    • pp.740-74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L(+)-calcium lactate를 정밀 분리하기 위한 drowning-out 결정화 기술에 대해 연구하였다. Calcium lactate 결정화는 calcium lactate 수용액에 반용매를 투입하여 유도하였으며 결정화 공정에서 결정입자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연구하였다. 결정화 공정에서 결정입자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서 반용매의 종류, 반용매의 조성 그리고 교반속도를 고려하였다. 반용매로서는 알콜류(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i-프로판올)를 선택하였다. 결정화 실험에 앞서, 과포화도를 고려하기 위하여 물-알콜 혼합용액에서의 calcium lactate의 용해도를 측정하였다. Drowning-out 결정화에 의해 fabric 모양의 calcium lactate 결정이 석출되었는데, 에탄올의 경우 fabric이 굵고 침상에 가까운 모양이었으며, 프로판올의 경우 hairy 모양에 가까웠다. 이러한 형상 특징으로 인하여 결정이 강하게 응집하는 경향을 보였다. 응집경향은 수용액에 대한 알콜 조성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반면 교반은 응집된 결정입자를 파쇄하는 효과가 강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결정화를 통해 얻어지는 결정입자의 크기는 반용매에 의한 결정입자 응집과 교반에 의한 결정입자 파쇄의 상대적 강도에 의존하였다.

한국산 광의의 고랭이속(사초과)의 분류학적 연구 I. 매자기속, 큰고랭이속, 올챙이골속, 고랭이속, 애기황새풀속의 형태적 특성 (Taxonomic study of Korean Scirpus L. s.l. (Cyperaceae) I. Morphology of Bolboschoenus (Asch.) Palla, Schoenoplectus (Rchb.) Palla, Schoenoplectiella Lye, Scirpus L., and Trichophorum Pers.)

  • 정종덕;최홍근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6-34
    • /
    • 2011
  • 사초과에 속하는 광의의 고랭이속(Scirpus L. s.l.)은 단계통으로 취급되어 왔으나 최근의 분자 계통학적인 검토 결과에 의하여 서로 독립된 다섯 개의 속(매자기속, 큰고랭이속, 올챙이골속, 고랭이속, 애기황새풀속)으로 재배치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광의의 고랭이속으로 취급된 우리나라의 다섯 개 속과 이에 딸려있는 21분류군을 대상으로 각 분류군의 형태적인 식별형질을 조사하고 각 분류군들의 한계를 제시하였다. 국내외에서 채집된 표본을 조사 분석한 결과 각 분류군들은 지하경의 형태, 줄기의 단면, 잎의 발달 정도와 너비, 엽초 막질부위의 형태, 화서, 포, 인편 및 수과의 형태와 크기로 식별이 가능하였다. 이에 대한 주요 형질을 도해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각 분류군에 대한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또한 강원도 고성군에서 발견된 올챙이골속의 미기록 분류군에 대하여는 신조합명을 부여하고 '나도송이고랭이'로 국명 신칭하였다.

잣뽕나무버섯과 곤봉뽕나무버섯의 생태학적 및 생리학적 특성 (Ec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Armillaria solidipes and A. gallica in Korea)

  • 김진건;이화용;박용우;이희수;구창덕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55-269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에 자생하는 형태적으로 식별이 어려운 잣뽕나무버섯(Armillaria solidipes)과 곤봉뽕나무버섯(Armillaria gallica)의 형태적 특성, 자실체 발생지의 환경특성, 목재분해효소를 알아보았다. 잣뽕나무버섯은 해발고도 107~1,396 m에서 소나무, 졸참나무, 밤나무 등 8종에서 발생하였고, 곤봉뽕나무버섯은 해발고도 119~556m에서 소나무, 물푸레나무 등 3종에서 발생하여 잣뽕나무버섯이 곤봉뽕나무버섯보다 분포와 기주의 범위가 넓었다. 형태는 잣뽕나무버섯의 자실체는 주름살이 빽빽하고 대에 갈색~검은색 털이 있으나, 곤봉뽕나무버섯은 대에 황색 털이 있고, 기부모양이 곤봉형이었다. 목재분해효소 cellulase의 활성은 두 종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laccase의 활성은 잣뽕나무버섯($12.94{\pm}0.4U/mL$)이 곤봉뽕나무버섯($9.14{\pm}0.3U/mL$)보다 높았다. 따라서, 잣뽕나무버섯은 주름살이 빽빽하고 대에 갈색~검은색 털이 있으며, 곤봉뽕나무버섯과 구분하여 다양한 고도에서 넓은 기주범위를 보이고, 수목을 분해할 수 있는 능력이 크기 때문에 다양한 환경에 적응한 것으로 생각된다.

경안천 유역 하성면에 발달한 토양 특성 (Soil Characteristics on the Fluvial Surface in the Basin of Kyeongan-cheon (Stream))

  • 강영복;신광식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48-556
    • /
    • 2006
  • 본 연구는 경안천 유역에 발달한 유물 지형인 하성면의 퇴적층을 모재로 하여 형성된 토양 특성을 밝히는 데 있다. 조사 지점의 적색토의 A층은 적갈색(5YR/4/3)의 미사질식토로 발달도가 미약한 아각괴상 내지 입상 구조이다. B층은 황적색(5YR4/3) 내지 명적색(2.5YR4/6)의 미사질식토로 발달도가 약한 아각괴상 구조를 보이며 적색의 점토 피막과 망간결핵이 나타나는 점토 집적층의 특징을 갖는 argillie층이다. 토층은 $A_1-B_{1t}-B_{2t}-C$ 층으로 되어있다. 하성 고위면의 퇴적층을 모재로 발달한 본토양은 과거 제4기의 온난한 생물기후 상태하에서 이루어진 강력한 탈규산화 작용과 염기용탈 및 적색토화 작용에 의하여 생성된 고적색토의 일종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적색토는 현재보다 온난한 생물-기후상태하에서 탈규산화를 동반하는 적색토화 작용에 의하여 형성된 고적색토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