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rphological Standard

검색결과 215건 처리시간 0.021초

Current Radiopharmaceuticals for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of Brain Tumors

  • Jung, Ji-hoon;Ahn, Byeong-Cheol
    • Brain Tumor Research and Treatment
    • /
    • 제6권2호
    • /
    • pp.47-53
    • /
    • 2018
  • Brain tumors represent a diverse spectrum of histology, biology, prognosis, and treatment options. Although MRI remains the gold standard for morphological tumor characterization,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can play a critical role in evaluating disease status. This article focuses on the use of PET with radiolabeled glucose and amino acid analogs to aid in the diagnosis of tumors and differentiate between recurrent tumors and radiation necrosis. The most widely used tracer is $^{18}F$-fluorodeoxyglucose (FDG). Although the intensity of FDG uptake is clearly associated with tumor grade, the exact role of FDG PET imaging remains debatable. Additionally, high uptake of FDG in normal grey matter limits its use in some low-grade tumors that may not be visualized. Because of their potential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FDG PET of brain tumors, $^{11}C$-methionine and $^{18}F$-3,4-dihydroxyphenylalanine (FDOPA) have been proposed. Low accumulation of amino acid tracers in normal brains allows the detection of low-grade gliomas and facilitates more precise tumor delineation. These amino acid tracers have higher sensitivity and specificity for detecting brain tumors and differentiating recurrent tumors from post-therapeutic changes. FDG and amino acid tracers may be complementary, and both may be required for assessment of an individual patient. Additional tracers for brain tumor imaging are currently under development. Combinations of different tracers might provide more in-depth information about tumor characteristics, and current limitations may thus be overcome in the near future. PET with various tracers including FDG, $^{11}C$-methionine, and FDOPA has improved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brain tumors. To evaluate the exact value of PET, however, additional prospective large sample studies are needed.

Encapsulation of Lactobacillus rhamnosus GG Using Milk Protein-Based Delivery Systems: Effects of Reaction Temperature and Holding Time on Their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 Ayu, Istifiani Lola;Ha, Ho-Kyung;Yang, Dong-Hun;Lee, Won-Jae;Lee, Mee-Ryu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894-904
    • /
    • 2021
  • Microencapsulation is a protective process for materials that are sensitive to harsh conditions encounted during food manufacture and storage.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ere to manufacture a milk protein-based delivery system (MPDS) containing Lactobacillus rhamnosus GG (LGG) using skim milk powder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nufacturing variables, such as reaction temerpature and holding time, on the physiccohemical properties of MPDS and viability of LGG under dairy food processing and storage conditions. MPDS was prepared using chymosin at varing reaction temperatures from 25℃ to 40℃ for 10 min and holding times from 5 to 30 min at 25℃. The morphologic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PDS were evaluated using a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and a particle size analyzer, respectively. The number of viable cells were determined using the standard plate method. Spherical-shaped MPDS particles were successfully manufactured. The particle size of MPDS was increased with a decrease in reaction temperature and an increase in holding time. As reaction temperature and holding time were increased, the encapsulation efficiency of LGG in MPDS was increased. During pasteurization, the use of MPDS resulted in an increase in the LGG viability. The encapsulation of LGG in MPDS led to an increase in the viability of LGG in simulated gastric fluid. In addition, the LGG viability was enhanced with an increase in reaction temperature and holding time. In conclusions, the encapsulation of LGG in MPDS could be an effective way of improving the viability of LGG during pasturization process in various foods.

'총각김치' 명칭의 시작과 확산, 그리고 보편화 과정 고찰: 음식문화 콘텐츠 관점을 연계하여 (A Study on the Origin, Spread, and Universalization of the Name 'Chonggak kimchi': In Connection with the Food Culture Content Point of View)

  • 김홍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418-428
    • /
    • 2022
  • Research on the birth (起源) and names (語源) of foods such as kimchi is important to understand traditional food culture. kimchi, an 'add flavored, fermented, pickled, vegetable food' was initially prepared with the simple purpose of increasing storage capabilities, but later, through a complex process of change, morphological diversification occurred. In addition to the basic name of 'kimchi', each variety has its unique name and history.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using various research methods, such as oral records and interviews, as well as investigation of data from literature, including ancient literature, modern cookbooks, newspapers, magazines, papers, and videos. The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context and the meaning of the name Chonggak kimchi. In addition, it is a compilation of how the name spread through the ages and evolved to its current name. The name Chonggak kimchi did not exist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Japanese occupation and first appeared in the records in the late 1950s. Nevertheless, the original name of 'Altarimu kimchi' evolved and finally became a part of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標準語) in 1988. In the process of the name spreading and becoming popular, the movie "Chonggak kimchi (1964)," starring Shin, S.I., and Eom, A.R. played a significant role.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is was a meaningful and valuable case of contentization of traditional food culture, regardless of the intention behind the same.

Morphological and Chemical Analysis of Various Disposable Acupuncture Needles Used in South Korea

  • Dong Yong, Park;JiYoon, Ahn;Hyeon Jeong, Park;Doo Suk, Lee;Dae-Hyun, Jo;Jonghoon, Kim;Choulmin, Kim;Heebum, Chung;Ji Hye, Hwang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82-389
    • /
    • 2022
  • Objectives: The Korean Industrial Standard (KS) for sterile acupuncture needles was established in 2009 based on research on the quality control of acupuncture needles. We aimed to determine the quality of acupuncture needles available in South Korea in 2021 by examining their surface condition and chemical composition using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and energy-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S). Methods: In South Korea, there are 23 brands of acupuncture needles, and we examined 10-15 needles from each brand, resulting in a total of 285 needles. The microstructures of the needles were assessed by SEM. Using SEM images, we evaluated the acupuncture needle tips for the following defects/aspects: scratches, lumps, detached coating, bent tip, and tip sharpness. EDS was used to determine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selected acupuncture needles. Results: Overall, 88.4% of 285 needles were found to have at least one type of abnormality.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abnormalities were scratches and dents on the surface (68.1%), followed by detached coating (63.2%), and lumps (61.8%); blunt tips were observed in about 24% of them. Of 252 needles with at least one defect, 86.9% had two or more types of defects. The ratio of the number of needles with any defect to that of needles without any defect varied among brands, ranging from 50% to 100%. Regarding foreign materials, higher proportions of Si and O were observed on the needles, indicating incomplete or detached silicone coating. Conclusion: The quality of acupuncture needles varied among brands, suggesting that further improvements can be made through various inspection methods.

한국산 둑중개과(쏨뱅이목) 첫기록종, Cottus pollux (First Record of the Japanese Fluvial Sculpin, Cottus pollux (Scorpaeniformes: Cottidae) from Korea)

  • 윤봉한;김용휘;방인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77-287
    • /
    • 2022
  •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주시 암곡동 형산강 지류인 덕동천 상류에서 둑중개과 (Cottidae) 둑중개속(Cottus)에 속하는 어류 2개체 (표준체장 79.3~100.8 mm)를 채집하였다. 이들은 구개골에 이빨이 없는 점, 가슴지느러미의 기조가 분지되지 않고 기조수가 12~13개인 점, 배지느러미에 뚜렷한 반점이나 무늬가 없는 점, 그리고 머리 또는 몸 앞쪽에 검은색 띠가 없는 점 등에서 C. pollux로 동정되었다. 또한, 핵 DNA의 ITS1 유전자 영역과 미토콘드리아 DNA의 cytb 유전자 영역을 이용한 분자계통학적 분석 결과, 본 표본은 일본산 C. pollux와 동일한 유전적 clade를 형성하여 상기 형태학적 특징에 의한 종 동정 결과를 뒷받침하였다. 신한국명으로는 대한민국에 분포하는 둑중개 및 한둑중개와 달리 배지느러미에 반점이나 무늬가 없는 형태적 특징에 따라 '민무늬둑중개'를 제안한다.

북한 압록강에서 채집된 대구과(Gadidae) 모오캐(Lota lota)의 재기재 (Redescription of a Freshwater Gadid Fish, Burbot (Lota lota) in the Amnokgang River, North Korea)

  • 박정호;권혁준;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07-210
    • /
    • 2023
  • 국립수산과학원 수장고에 보관 중인 고시료에 관해서 조사하던 중 북한 압록강에서 1935년 4월 14일에 채집된 모오캐 1개체(표준체장 54.7 cm)를 발견하였다. 모오캐는 유라시아와 북미 대륙 북부에 서식하고, 대구목 어류 중에서 유일하게 담수에 서식하는 종이다. 또한 이 종은 북한의 압록강 인근의 북부에만 제한적으로 서식하여 우리나라에는 거의 알려진 바 없다. 모오캐는 2개의 등지느러미, 1개의 뒷지느러미 및 턱수염을 가지고 꼬리지느러미 후단이 둥근 특징으로 인해 쉽게 구별된다. 이 연구에서는 북한 모오캐의 자세한 외부 형태학적 특징을 제공하고 선행문헌에 기재된 내용과 비교하고자 한다.

한국잔디 수집계통들 중에서 우수계통들의 생육특성 비교 (Comparison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Superior Lines in the Collected Lines of zoysiagrass)

  • 임용우;김기용;김맹중;성병렬;임영철;정의수;신홍균;김용선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7권2_3호
    • /
    • pp.75-80
    • /
    • 2003
  • 2001년 수집된 한국잔디 133계통들 중에서 우수한 계통들을 선발하기 위하여 밀도(품질), 피복성, 녹색기간, 내병성, 출수유무(종자수) 등의 주요특성과 그 외 생육특성들이 조사되었다. 생육특성이 우수한 6계통이 선발되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수집된 133계통들 중에서 가장 녹색기간이 긴 계통은 J01067으로 11월초까지 녹색도를 유지하였다. J01106 및 J01129 계통들은 엽폭이 각각 1.5mm 및 2mm 정도로 매우 좁으며, 밀도가 높고, 피복성도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병성도 강하였다. J01122 계통은 들잔디 계통들 중에서 유일하게 내병성이 강한 계통으로 선발되었다. J01128 계통은 엽폭이 3.2mm로 중엽에 속하였으며, 대비품종인 Sunburst 와 비슷하였다. 이 계통의 경우도 J01106, J01129 계통들과 마찬가지로 밀도가 높고 내병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집된 133계통들의 형태적 분류를 위하여 5가지의 생육특성을 사용하여 크게 세가지 군집으로 분류하였으며, 그 중에서 대비품종으로 사용된 6품종들과 선발된 우수 6계통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제 1군집에 속하는 품종 및 계통은 Belare, Meyer, 안양중지(Anyang-jungji), J01067, J01112 등이 포함되었으며, 제 2군집으로는 S-94, J01105가 포함되었고, 제 3군집에는 Sunburst, 건희(Konhee), J01106, J01128, J01129 등이 포함되었다.

국내 농경지에 발생하는 포아풀아과 잡초의 분자생물학적 동정 (Molecular Identification of Pooideae, Poaceae in Korea)

  • 이정란;김창석;이인용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1호
    • /
    • pp.18-25
    • /
    • 2015
  • DNA 바코드는 게놈 DNA의 단편을 이용해 형태적 지식없이 종을 동정하는 방법으로 전 세계적으로 최근에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고등식물에서는 엽록체 rbcL과 matK 유전자를 이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 식물 바코드마커와 핵 ITS 부위를 이용하여 국내 포아풀아과 잡초 16속 29종 163생태형의 바코드 데이터를 생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더불어 포아풀아과의 바코드에서 각 마커의 효율성도 조사하였다. 바코드 결과 PCR 증폭과 염기서열 분석성공률은 rbcL에서 가장 높았으며 matK에서 가장 낮았다. 반대로 바코드 갭은 matK에서 가장 높은 반면 rbcL에서 가장 낮았으며, 종 식별 해상력은 matK에서 가장 높고, ITS에서 가장 낮았다. 그러나 바코드 갭과 종 식별 해상력이 가장 높은 matK를 포아풀아과에서 바코드 마커로 이용하는 것은 너무 낮은 PCR 증폭과 염기서열 분석성공률(58.3%) 때문에 고려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단일마커로 rbcL과 ITS는 포아풀아과의 바코드에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두 마커를 조합으로 이용하면 공통으로 분석된 샘플에 따라 바코드 갭과 종 식별 해상력을 높일 수 있었다. 포아풀아과의 바코드데이터는 미국의 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에 기탁하여 genbank 번호를 부여받아 공개하였다.

국화 '백마'의 겨울철 재배시 야간최저온도가 생장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ght Minimum Temperature During Winter Season on Growth and Flowerng in Chrysanthemum 'Baekma')

  • 최성열;허은주;권오근;임진희
    • 화훼연구
    • /
    • 제17권4호
    • /
    • pp.226-230
    • /
    • 2009
  • '백마'의 겨울철 재배시 야간최저온도가 생장 및 생리장해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야간최저 온도를 각각 $14^{\circ}C$, $16^{\circ}C$, $18^{\circ}C$로 처리한 후 온도별 생육 및 개회특성, 생리장해 발생 등을 '신마'와 비교하여 조사하였다. 발뢰소요일수는 모든 처리 온도에서 '백마'가 '신마'보다 2-11일 정도 길었으나, 개회소요일수는 두 품종 모두 54-59일 정도로 품종간에 유의차가 없었고, 야간 최저온도가 높아짐에 띠라 개화소요일수가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절화장 및 절회중은 두 품종 모두 야간최저온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였고, 꽃잎수는 '백마'의 경우 $16^{\circ}C$에서 300개 이었으나, $14^{\circ}C$$18^{\circ}C$에서는 각각 210개, 233개로 적어져 온도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지만, '신마'의 경우에는 온도간 차이가 없었다. 동계 저온에 의한 생리장해 중 로젯트는 '백마'에서만 발생하였으며 $14^{\circ}C$에서 11.1%, $16^{\circ}C$에서 55.6%, $18^{\circ}C$에서 56.1% 발생하였다. 단일처리 후 미발뢰율은 야간최저온도 $14^{\circ}C$에서 '백마' 17.3%, '신마' 4% 이었다.

임상에서의 현미경: 작동, 유지보수 및 레이저 안전 (Clinical Microscopy: Performance, Maintenance and Laser Safety)

  • 이태복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25-133
    • /
    • 2019
  • 임상병리 검사분야에 있어서 환자로부터 유래된 조직이나 세포의 형태학적 변화, 세포 생리, 세포 내 분자의 추적 및 신호전달 체계 등의 임상검사 및 관련 연구를 위한 빼놓을 수 없는 주요한 진단과 연구장비로서 현미경이 가지는 의미는 크다고 할 수 있다. 현미경에 대한 포괄적인 지식과 이해를 바탕으로 현미경의 올바른 사용, 관리와 유지보수는 신뢰도 높은 이미지 획득과 그에 따른 정확한 데이터 분석을 통한 질병의 진단을 위해서 반드시 요구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광학현미경의 표준 운영 절차(standard operating procedure, SOP)는 현미경의 작동 절차와 함께 검사실 규모에 따른 현장 사용자의 체계적인 현미경 장해 해결 방안과 기계적 원리에 대한 핵심 정보가 함께 수록되어야 한다. 현미경 유지관리 업무에는 대물, 접안렌즈와 현미경 내부 광학필터의 청소, 광원의 교체와 교정, XY재물대 유지보수,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에서의 점확산함수(point spread function, PSF) 측정, 형광현미경에서의 검사 품질관리(quality control, QC)와 체계적인 현미경 장해 해결방안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본 종설에서는 국제적 기준에 따른 레이저의 위험도에 따라 일부 현미경에 장착된 레이저 광원에 대한 안전지침과 보호장구에 대한 내용을 함께 소개하였다. 현미경을 통해 획득된 이미지는 촬영된 시점의 검체에 대한 모든 정보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으며, 적절한 유지보수 프로그램과 그에 따라 적합하게 관리된 현미경만이 이미지 데이터를 통한 정보의 획득, 올바른 해석과 정확한 진단에 반드시 필요한 선제 조건들이라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