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bile SNS Platform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3초

모바일 SNS 플랫폼 분석을 위한 e-서비스 품질 모형의 개발 (Development of e-Service Quality Models for Mobile SNS Platform Analysis)

  • 김종수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90-97
    • /
    • 2014
  • The mobile SNS is a promising e-service platform of the future. However, measuring its service quality is a challenge. An appropriate model for measuring service quality is required. This paper proposes e-service quality models for analyzing mobile SNS platform quality, based on previous service quality researches. An empirical study is performed on the proposed models. The results show that constructs of existing e-service models such as responsiveness and assurance do not fit the mobile SNS platform, and that loyalty and value are better measures for mobile service quality.

SOCKET기반 모바일SNS 연동시스템 설계 및 구현 (SOCKET-based mobile SNS interlocking System Design and Implementation)

  • 고완기;고석용;김제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8호
    • /
    • pp.367-373
    • /
    • 2013
  • 모바일SNS 소통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최근, 모바일 환경에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서버와 통신을 한다. TALK나 PUSH는 메시지나 데이터 소켓을 거쳐 운영체제 상에 존재하는 TCP/IP 소프트웨어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듯 SNS와 모바일 융합은 필연적이며 SNS의 플랫폼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를 구축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켓방식을 이용한 위치기반 SNS을 연동하여 클라이언트간의 TALK 및 PUSH 서비스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The Effects of Multidimensional Customer Trust on Purchase and eWOM Intentions in Social Commerce based on WeChat in China

  • Min Qu;Jaejon Kim;Sujeong Choi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7권2호
    • /
    • pp.77-98
    • /
    • 2017
  • The development of mobile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triggers the growth of social commerce industry. Customers rely considerably on electronic word of mouth (eWOM) to make purchasing decisions. Thus, SNS is an important commercial platform that offers attractiv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to firms.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role of SNS as a social commerce platform by focusing on WeChat, the most popular SNS in China. This study identifies three different types of trust based on SNS that customers perceive in the context of social commerce. These types of trust are contents trust, source trust, and platform trust. This study suggests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ach trust. Our results prove that eWOM intention relies on contents trust and source trust, whereas purchase intention depends on contents trust, source trust, and platform trust. This study also finds that contents trust is positively influenced by source trust and platform trust. Finally, the result verifies the key antecedents of each trust, namely, vividness and timeliness for contents trust, competence, benevolence, and integrity for source trust, and instrumental need and social need for platform trust. The discussion and implications on the findings are provided.

다가구주택 관리를 위한 SNS 연동 실시간 민원 처리 서비스 (Real-time Complaint Handling Service Interworking with SNS for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 류대현;최태완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1381-1388
    • /
    • 2015
  • 스마트워크는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장소와 이동환경에서도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효율적으로 업무에 종사할 수 있도록 하는 미래지향적인 업무 환경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가구주택을 관리하는 소규모의 영세 주택관리업체들이 세입자와 임대사업자에게 양질의 주택관리업무 제공할 수 있도록 스마트 모바일 기기와 SNS를 연동하여 실시간 업무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효율적 주택관리를 지원하는 주택관리 업무지원 스마트워크 플랫폼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주택관리 업무지원 스마트워크 플랫폼의 한부분인 SNS 연동 실시간 민원 처리 서비스 부분을 기술한다.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활용한 인도네시아 수출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ategies for Expanding Exports of Indonesia utilizing E-commerce Platform)

  • 최장우;박재한
    • 통상정보연구
    • /
    • 제19권1호
    • /
    • pp.99-126
    • /
    • 2017
  • 인도네시아는 지속적인 경제성장, 중산층 성장, 인터넷(SNS포함) 사용자 증가, 모바일 브로드밴드 서비스 접근성 확대 등으로 전자상거래 시장이 크게 발전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 기기의 보급 확대로 모바일과 SNS를 통한 소비자들의 온라인 쇼핑이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 전자상거래 시장특징, 문제점, 진출사례 및 시사점 등을 상세하게 분석하여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한 한국 중소기업의 인도네시아 수출확대방안을 제시했다. 본 연구는 국내외 연구기관, 무역지원기관, 현지 진출 전자상거래업체 등으로부터 입수한 자료를 심층 분석하여 전략을 도출하였다. 인도네시아에 대한 수출확대를 위해서는 오프라인 시장을 직접 공략하기 보다는 기 구축된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간접 진출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현지 소비자들의 기호를 충족시키고 독창적인 제품을 개발하여 온라인 플랫폼에 입점한다면 효과적으로 시장을 공략할 수 있다. 인도네시아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활용한 수출확대방안으로는 현지 온라인 판매유통망 구축, 물류배송 및 결제시스템 구축, 무슬림시장 공략을 위한 할랄 인증 취득, 철저한 시장조사를 통한 현지화 시장진출전략 수립, 한류 마케팅전략의 적극적 실행, 제품차별화 및 시장세분화 전략 수립, SNS 모바일 마케팅 전개 등이다.

  • PDF

모바일 소셜플랫폼 기반 SNG 이용자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nt to User's Continuous Usage of SNG Based Mobile Social-Platform)

  • 한아름;이재신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5-101
    • /
    • 2013
  • The wide spread of smartphones and the growth of the number of internet users are reshaping the SNS (Social Network Service). Merging into other service areas and creating new business models with high profits, SNS is no more a service simply providing personal connections. Now SNS has positioned itself as a service platform. SNG (Social Network Game) is a new outcome utilizing SNS as a game platform and showing a rapid growth rate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 number of SNG users is expected to increase steadily. In this study, we examine whether SNG user motivations lead to flow experience and future intention to use. For that purpose, we conducted a survey with smartphone users. The results indicate that flow experience functions as a mediator and user motivations indirectly affect intention to use through flow experience. This paper concludes with discussions on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한국형 SNS의 진화 : 카카오톡 사례를 중심으로 (The Evolution of Korean Social Network Service focusing on the Case of Kakao Talk)

  • 정희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0호
    • /
    • pp.147-154
    • /
    • 2012
  • 한국형 SNS의 성장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국내 1위 모바일 IM인 카카오톡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해본 결과 다음의 사항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카카오톡은 PC상의 메신저 서비스와 다르게 모바일 IM 서비스를 바탕으로 소셜서비스 회사로 진화하고 있었다. 둘째, 카카오톡은 다양한 소셜서비스(사진기반 카카오스토리, 게임 마케팅 플랫폼 게임센터 등)를 시도하여 성공적으로 SNS 회사로 안착하였다. 셋째, 트위터의 사례처럼 플러스친구를 통한 뉴스 서비스, 아바타 및 앱스토어 등을 통해서 소셜미디어 및 소셜플랫폼 회사로 진화하고 있었다. 이런 한국시장에서 카카오톡의 성공은 NHN의 라인을 통해 일본 및 동남아시장에서 확대 재생산되고 있다. 라인은 카카오톡의 다양한 검증된 SNS 실험들을 일본시장에 적용시킴으로써 그 성공을 이어가려고 하고 있다. 온라인 웹서비스 싸이월드가 SNS로 세계시장에서 이루지 못한 것을 모바일 IM인 카카오톡, 라인은 그 성공 가능성을 한층 높여 주고 있다.

Exploring the Effect of Overload on the Discontinuous Intention of SNS: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 Yu Xiang Xia;Seong Wook Chae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8권5호
    • /
    • pp.61-70
    • /
    • 2021
  • With the proliferation of smartphones and 5G networks, mobile social network service (SNS) has become an indispensable part of people's daily lives. However, with the use of SNS, fatigue and withdrawal behavior gradually emerged. Based on The Transactional Theory of Stress and Coping (TTSC), we explored the mechanism of SNS overload on users' discontinuous intention under the framework of "stressor-strain-outcome". And we also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in this process. We hope that through our research, we can help SNS users to reduce unnecessary fatigue, and provide better suggestions for platform designers to adjust product design to improve user experience.

모바일 메신저에서 이모티콘 캐릭터를 통한 플랫폼 비즈니스 확장에 관한 연구 - 카카오 프렌즈와 라인 프렌즈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se of Communication Functions in Mobile Messenger Emoticons - Focus on Line Messenger -)

  • 김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51-158
    • /
    • 2020
  • 모바일을 활용한 SNS는 소통을 위한 필수 요소이고 수단이자 현대인의 삶의 일부분이 되었다. 비대면 소통에 익숙해진 현대인들은 문자로 표현하지 못하는 감정을 전달하는 매개체로 이모티콘을 선택하였고, 꾸준히 그 사용량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는 다양한 스타일의 그림체와 움직임을 가지고 있는 이모티콘이 사용자들에게 감정적, 정서적 반응을 불러일으켜 그들의 취향까지 드러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국내를 대표하는 SNS 플랫폼인 (주) 카카오에서 출시한 카카오톡(Kakao talk)과 (주) 네이버가 내놓은 라인(Line)의 초기 이모티콘 캐릭터를 이용과 다양한 플랫폼 사업으로의 확장에 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양사의 사례를 바탕으로 향후, 국내 이모티콘이 문화콘텐츠로서의 발전 방향과 지향점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의 영상콘텐츠 사례 연구 (A Study on the Mobile Video Contents Application )

  • 스위;정진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311-316
    • /
    • 2020
  • 은 2016년 중국에서 서비스를 시작한 모바일 앱 기반의 SNS 동영상 플랫폼이다. 서비스가 시작된 처음에는 뮤직 비디오 콘텐츠가 주를 이루웠고, 이후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소셜 플랫폼으로 발전하였으며 영상의 창작, 제작, 편집 등의 제작과정이 간편하게 제공되었다. 모바일에서 이 서비스를 시작한 후 젊은층을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는 여러 가지의 사회 현상과 본 앱에서 인기 있는 영상콘텐츠의 유형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세로형 Short Clip 형태의 영상콘텐츠의 수요는 급격히 증가 추세이며, 이는 모바일 기반 영상 제작기술의 발전에 따라 영상콘텐츠의 질적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모바일을 기반으로 하는 창작 동영상 제작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