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bile Learning Content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초

Content Modeling Based on Social Network Community Activity

  • Kim, Kyung-Rog;Moon, Nammee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0권2호
    • /
    • pp.271-282
    • /
    • 2014
  • The advancement of knowledge society has enabled the social network community (SNC) to be perceived as another space for learning where individuals produce, share, and apply content in self-directed ways. The content generated within social networks provides information of value for the participants in real time. Thus, this study proposes the social network community activity-based content model (SoACo Model), which takes SNC-based activities and embodies them within learning objects. The SoACo Model consists of content objects, aggregation levels, and information models. Content objects are composed of relationship-building elements, including real-time, changeable activities such as making friends, and participation-activity elements such as "Liking" specific content. Aggregation levels apply one of three granularity levels considering the reusability of elements: activity assets, real-time, changeable learning objects, and content. The SoACo Model is meaningful because it transforms SNC-based activities into learning objects for learning and teaching activities and applies to learning management systems since they organize activities -- such as tweets from Twitter -- depending on the teacher's intention.

다중 플렛폼 환경을 고려한 효율적인 이러닝 교육 콘텐츠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ffective E-Learning Education Contents Considering Multi-Platform Environment)

  • 최성욱;최민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9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닝 콘텐츠를 PC 기반 및 모바일 기반의 두가지 플랫폼에서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이다. 현재 기존 PC 기반의 이러닝 콘텐츠 제작에 많이 사용되는 플래시 기술이 iOS 등의 일부 모바일 플랫폼에서는 플래시가 지원되지 않는 호환성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플래시가 지원되는 모바일 플랫폼의 경우도 PC용 콘텐츠를 그대로 이용할 경우 작은 화면과 입력 인터페이스의 차이로 학습에 불편이 뒤따르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HTML5 등의 표준 기술을 기반으로 두 가지 플랫폼에서 모두 서비스 가능한 콘텐츠 개발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론은 학습 콘텐츠 내용과 뷰를 분리하고, 구축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다양한 형태의 뷰를 이용한 콘텐츠 구현이 가능하도록 지원하여 콘텐츠 재사용 및 다중 플랫폼 지원 부문에서 매우 효율적인 특성을 나타내도록 한다.

모바일 기반 가상 간호 시뮬레이션 콘텐츠 개발 및 적용: 혼합방법연구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mobile-based virtual nursing simulation training content: A mixed methods study)

  • 김현선;강지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90-300
    • /
    • 2024
  • Purpose: Nursing clinical practice education is transforming with the advent of mobile education and the unique experiences it offers in caring for virtual patients. For this innovative approach,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mobile-based virtual women's breast cancer nursing simulation training content on nursing students' confidence, satisfaction, and learning flow. It also examines the nursing students' virtual patient care experiences. Methods: A mixed methods approach using a convergent design was employed to examine students' cancer car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learning flow, and learning experiences. Quantitative data through online questionnaires and qualitative data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llected, merged, and analyzed. Results: This study developed a virtual nursing training module aimed at caring for women with breast cancer, a novel approach to facilitate mobile-based simulation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a chi-squared 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for participant homogeneity (experimental: 20, control: 20),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Satisfaction (t=3.53, p=.001) and confidence (t=4.07, p=.001), as well as flow (t=3.78, p=.001),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wo core themes and five sub-themes were derived from the experimental group's experiences acquired by caring for women with breast cancer virtually, including that the students "Virtually cared for breast cancer patients, learning as if real." Conclusion: The mobile-based virtual nursing simulation training content allowed nursing students to upgrade their comprehensive nursing care skills by experiencing a fun and practical environment made possible by a new learning method.

집단창의성 발현을 위한 모바일, 온/오프라인 연계 수학 학습 콘텐츠 개발 (Development of mobile, online/offline-linked math learning content to promote group creativity)

  • 김부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39-6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집단창의성 발현을 돕기 위해 범교과 학습주제인 '환경'과 연계하여 관련 문제를 다항함수로 표현하고 제한된 범위에서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는 모바일, 온/오프라인 연계 수학 학습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학교수학에서의 집단창의성 개념과 발현과정, 집단창의성 발현과정 요소와 모바일, 온/오프라인 구현 기능을 탐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모바일, 온/오프라인 연계 협력 학습을 통해 집단창의성을 발현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앱 '지구를 생각하는 Best Box 제작'과 학습관리시스템(LMS)을 개발하였다. 모바일, 온/오프라인을 연계한 수학 학습이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교수학습지도안도 함께 개발하였다. 예비연구 결과, 하이브리드 앱 '지구를 생각하는 Best Box 제작'은 상호보완적-메타인지적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집단유창성과 집단정교성을 구현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Optimizing Content Duration for Mobile Ads

  • Truong, Vinh
    • IEIE Transactions on Smart Processing and Computing
    • /
    • 제5권4호
    • /
    • pp.283-288
    • /
    • 2016
  • Optimizing the number of ad clicks is a large-scale learning problem that is central to the multi-billion-dollar mobile advertising industry. There are currently several optimization methods being used, including ad mediation and ad positioning. Recently, researchers have recommended using ad refresh interval as a new method for optimizing mobile advertising. This paper applies that new method to optimize content duration for mobile ads. The result achieved from this optimization study could further increase revenue for mobile advertisers and publishers. This research has high applicability for the growing mobile advertising industry. It also lays out a solid background for future research in this promising area.

과학 교수학습 모바일 활동에 대한 국내 문헌 분석 -학습자 주체성 지원에 관하여- (A Literature Review of Mobile Activities in Teaching and Learning Science: With Regard to Support for Learners' Agency)

  • 김효준;송진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451-462
    • /
    • 2020
  • 과학 교수학습에서 온라인 학습 환경이 확대됨에 따라 모바일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학습 활동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학습자 주체성(learners' agency)의 발현을 지원해 줄 수 있는 모바일 테크놀로지는 ICT 활용 교육의 핵심적 도구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1년부터 2020년 4월까지 국내에서 발행된 학술지 게재논문 중 과학 교수학습에서의 모바일 활동에 관한 연구 문헌 22편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에 대해 모바일 활동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학습자 주체성 발현에 대한 지원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첫 번째 단계로, 국내 과학 교수학습의 모바일 활동 분석을 위해 Suárez et al. (2018)의 분류 틀을 수정·보완하여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모바일 활동 유형을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다음 단계로, 과학 교수학습의 맥락에서 학습자 주체성의 여섯 가지 측면('목표', '내용', '행동', '전략', '반성', '모니터링')의 발현과 모바일 활동 유형('내용 접근', '자료 수집', '동료 간 의사소통', '상황적 지원')의 지원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첫 번째 결과로, 과학 교수학습에서 나타난 모바일 활동의 모습은 기존의 전통적 수업에서 벗어나 학생 중심 수업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모바일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학습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며 학습의 주체가 되는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점을 말해준다. 두 번째 결과로, 학습자 주체성 각 측면의 발현이 어떤 모바일 활동 유형에 의해 주로 지원되고 강화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일반적인 교수학습 상황에서 나타나기 어려운 학습자 주체성의 측면이 모바일 활동을 통해 지원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한편, 학습자 주체성의 발현과 모바일 활동의 지원을 과학 교수학습의 맥락을 고려하여 살펴보아야 할 필요성도 드러났다. 이를 종합하여 미래과학 교육에서의 모바일 테크놀로지 활용과 학습자 중심 교육으로의 변화를 위한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Adaptation for the Mobile Learning System Based on CC/PP

  • Kim, Su-Do;Park, Man-Gon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883-890
    • /
    • 2008
  • It becomes enabled to provide variety of multimedia contents through mobile service with the development of high-speed 3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and handsets. 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can be displayed in the presentation format which is unified the various multimedia contents such as text, audio, image, video, etc. It is applicable as a new type of ubiquitous learning. In this study we propose to design a mobile learning system by providing profiles which meets the standard of CC/PP and by generating multimedia messages based on SMIL language through the adaptation steps according to the learning environment, the content type, and the device property of learners.

  • PDF

사용자 맞춤형 외국어학습 콘텐츠 구성을 위한 연구 (A study on Customized Foreign Language Learning Contents Construction)

  • 김귀정;이재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189-194
    • /
    • 2019
  • 본 논문은 글로벌 시대를 살아가는 외국어 학습자들의 학습환경에서 IT기술과 학습콘텐츠의 개발을 통해 사용자 성향별 맞춤 콘텐츠를 제작하는 방법론에 대한 연구이다. 전 세계의 다양한 외국어 학습자들이 모바일기기와 모바일학습콘텐츠를 활용하여 다양한 분야의 학습활동을 하고 있으며 외국어학습이 대표적인 모바일 학습분야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제시된 외국어학습콘텐츠 구성은 학습자의 모국어 음성 문자 텍스트를 기반으로 정보수집 및 콘텐츠 제작의 과정을 거쳐 사용자의 성향별 학습콘텐츠를 구성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는 학습자의 학습활동이 실제사용환경과 최대한 유사하게 만들어서 학습과 실제사용에 차이점이 없도록 콘텐츠를 구성하여 학습 후 시행착오를 거쳐 올바른 사용 순서로 이루어지는 기존의 학습방법과 차이를 보여준다. 또한 학습자 개인의 선호 어휘 문맥을 콘텐츠화하여 학습에 사용하므로 학습콘텐츠와 개인성향의 일치를 이루어 학습의 이질감을 최대한 줄여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연구 내용을 토대로 학습자의 모국어 어휘 문맥 분석 및 텍스트화 과정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휴대폰을 이용한 m-learning 구현 (Utilizing Mobile Phones for m-Iearning)

  • 이겸직;류상훈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41-644
    • /
    • 2006
  • e-learning에서 m-learning으로 진행함에 따라 기존에 사용하던 PDA, Notebook 이 아닌 일반 사용자들이 대부분 가지고 있는 휴대폰을 학습도구로 이용, 다양한 형식의 e-learning contents를 m-learning contents로 변환 활용하기 위하여 화면 capture 기법을 활용하고 무선통신망을 배제하고 유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서비스 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한다.

  • PDF

기업교육 이러닝 콘텐츠의 동향과 발전 방향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of Corporate e-learning Contents)

  • 정효정
    • 산경연구논집
    • /
    • 제9권2호
    • /
    • pp.65-72
    • /
    • 2018
  • Purpose - One of the biggest problems in the e-learning distribution process is the lack of quality content and learners' discredit in e-learning content. In order to respond to the various demands of the corporate education field appropriately,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directions of new e-learning models that are out of traditional e-learning cont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cent trend issues related to corporate e-learning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developmen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rend issues that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in corporate e-learning were derived.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importance-feasibility of each issue to 13 experts on e-learning and corporate education.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are as follows: 1) recognition of importance and feasibility of trend issues to be considered important in the future corporate education field; 2) factors to be considered in developing future e-learning contents. Results - Six trends derived from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The most important e-learning trends for corporate education field were 'mobile learning', 'micro learning', 'blended learning', 'social learning', 'adaptive learning', 'engaged learning'.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importance and feasibility of each issue, experts point out that 'mobile learning' and 'micro learning' should be actively considered for introduction and utilization at present. In addition, 'social learning' and 'blended learning' need to be actively considered in the near future. On the other hand, experts recognized that 'adaptive learning' and 'engaged learning' need to be prepared from a long-term perspective. Conclusions - There are two main reasons for this result. First, in corporate e-learning, it is important to 1) be able to update on time, 2) the connection with the workplace is important. Second, it requires realistic verification of the expected performance of the learning model. To be considered part of the future are as follows: First, the value and effectiveness of the new e-learning type should be studied. Seconds, e-learning contents should be developed through adopting SAM or Agile methodology. Through this process, we would be able to enhance the quality in e-learning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