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sconduct of Research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4초

대학 연구윤리체계의 발전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Research Ethic System in University)

  • 안상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203-211
    • /
    • 2022
  • 이 연구는 대학 연구자들의 표절, 위변조, 중복게재, 부당한 저자표시, 연구윤리제도의 무력화 등 연구부정행위의 원인을 살펴보고 연구윤리체계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문헌연구에 의존하였으며, 보완적으로 국내 4년제 대학에서 연구 관련 분야에 대한 책임자로 일한 경험이 있거나 현재 연구윤리와 관련된 보직을 수행하고 있는 전문가 교수를 대상으로 델파이기법을 통한 자문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연구자 개인 측면에서는 연구자들이 관습에 미루는 안이한 태도와 부정직성, 연구비에 대한 욕심 등이 주요한 이유로 파악되었다. 조직측면에서는 규정의 세밀성과 적용의 미흡, 검증시스템의 결여, 성과중심의 연구 환경 등이 그 이유로 분석되었다. 연구자 개인적 이유로 발생하는 부정행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연구윤리교육의 정례화 및 횟수 증가, 개인적 벌칙 강화가 제시되었다. 제도적 이유로 발생하는 부정행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서는 검증시스템의 강화, 고발자 신변보호제도 강화, 승진누락 등 벌칙제도의 강화 및 연구평가의 질적·양적 균형 강화 등이 제시되었다.

표절 방지에 관한 최근 정보 (Recent Information on the Plagiarism Prevention)

  • 이성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5권1호
    • /
    • pp.71-76
    • /
    • 2011
  • 연구윤리(혹은 연구진실성)는 과학 사회의 건강성을 유지시키는 역할 때문에 학계, 정부는 물론 과학계에 종사하지 않는 일반인들로부터 주목 받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연구부정인 표절을 다룬 유용한 논문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연구 결과는 독창성(originality), 정확성(accuracy), 재현성(reproducibility), 정밀성(precision) 그리고 연구윤리(research ethics)가 보장되어야 한다. 표절의 정의는 "적절한 언급이나 인정 없이 다른 사람의 말이나 글, 또는 아이디어를 도용하는 것이다." 표절은 간혹 데이터의 위조와 변조보다는 경미한 연구부정으로 고려되기도 하지만, 본질적으로 그 속성은 지적 산물의 절도에 해당한다. 표절은 논문 출판 단계에만 국한해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연구제안과 연구수행 그리고 종설 논문 작성과정으로 확장될 수 있다. 표절의 정의를 확대하면, 중복 출판은 자기표절로 간주할 수 있다. 표절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과학 사회 모든 구성원들의 정직한 노력이 요구된다. 먼저, 연구자들은 자신들의 과학적인 작업수행에 있어서 투명성(transparency)과 진실성 내지 고결성(integrity)을 유지해야 한다. 편집위원회 구성원들과 심사자들은 임무 수행과정에서 공평함과 충분한 자격을 유지해야 한다. 정부와 연구 재단들은 과학 사회에 표절 방지를 위한 재정적, 정책적 지원을 아낌없이 해야 한다. 향상된 편집 서비스, 표절 방지 프로그램 활용, 그리고 정직한 과학논문을 쓰는 방법에 대한 철저한 교육은 과학 사회의 건전한 기반을 구축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한의학 분야 연구윤리 교육에 대한 전국 한의과대학 및 한의학전문대학원 교수들의 인식 (Awareness and attitudes of professors regarding research ethics education in the colleges and the school of Korean Medicine)

  • 유지은;천목은;임병묵;권영규;김병주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13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awareness of Korean Medicine professors towards research ethics issues and curriculum development. Methods: Electronic mails for requesting the survey participation were sent to 531 professors who were listed in the DB of Association of Korean Medicine. Professor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were connected to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ite, and the responses were stored in real time. Professors were asked the experience of research misconduct cases, the necessity, contents and evaluation method of research ethics education, etc. ANOVA was performed to test the differences of ethics education effects among sub-groups of respondents. Results: Of 137 professors who opened the e-mail, 127 completed the questionnaire. Most professors (87.4%) reported to witness the research misconduct cases, and felt the necessity of research ethics education for professors as well as students. 31.4% of respondents preferred the practice-focused course, and 43.3% preferred the PASS/FAIL basis evaluation system. Professors with shorter education career and professors majoring basic Korean Medicine expected higher effect of ethics education than others. For detailed items of research ethics education, 'ethical writing' and 'ensuring research integrity' were prioritized in the aspects of both personal ethics and social demand. Conclusions: In this study, detailed matters of research ethics education in Korean Medicine area were drawn. Further study and policy development are needed to facilitate the introduction of formal education of research ethics.

연구윤리 정착을 위한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licy Direction for Establishing Research Ethics)

  • 김길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9호
    • /
    • pp.35-45
    • /
    • 2014
  • 2005년 말 황우석 사태는 연구윤리에 대해 자각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지만 연구윤리가 연구자나 연구공동체에 정착되었다고 할 수는 없다. 본 연구는 변화하는 연구 환경에 대응하여 연구윤리를 제고할 수 있는 방법을 탐구하기 위해 교육부장관 후보자에 대한 국회인사청문회에서 나타난 연구부정행위 사례를 분석하였다. 사례분석을 통해 연구윤리를 확보하기 위한 제도화가 미흡하고, 그동안 연구윤리 교육이 제대로 실시되지 않았으며, 연구실 문화가 경직되어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책임 있는 연구를 장려하는 제도의 마련, 모든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윤리교육의 실시, 연구실 문화의 개선 및 평가체계의 개선 등을 연구윤리 정착을 위한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단일 사례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기 때문에 경험적 일반화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연구윤리에 대한 관심 제고와 더불어 계량적 연구를 통해 경험적 일반화에 이르는 연구를 기대한다.

정신건강서비스 영역에서 아동청소년 기능평가척도의 활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Utilization of the Child-Adolescent Functional Assessment Scale in Mental Health Service)

  • 노경란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8권4호
    • /
    • pp.197-212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preliminary study and expand the use of the Child-Adolescent Functional Assessment Scale by providing standardized T-scores for measuring function in different areas, as well as guidelines for their interpretation. Methods: The Child-Adolescent Functional Assessment Scale and Korean-Child Behavior Checklist were administered to a total of 623 individuals, including 467 parents of emotionally and behaviorally disturb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45 parents of emotionally and behaviorally disturbed middle school adolescents and 111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as well as to a control group consisting of 186 parents of mainstream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Results: In contrast to the preliminary study, the emotional domain was disassociated into two factors, negative affect and emotion regulation, an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for misconduct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lso, the overal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hild-Adolescent Functional Assessment Scale were similar to those in the preliminary study, and the item structure was consistent. This study provides standardized T-scores of function in different areas based on the revised scale, and provides guidelines for their interpretation. Conclusion: The Child-Adolescent Functional Assessment Scale can assist the Child Global Assessment in Functioning in providing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case management and treatment planning by comparing the impairment severity in each area of functioning, and also determining changes in behavior and function after treatment interventions. On the other hand, this scale has yet to clearly distinguish between rebellious behavior and misconduct.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to provide standards for more diverse age groups and for its utilization.

$\ll$대한침구학회지$\gg$ 개선에 대한 전략적 방향 (Strategic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and Moxibustion Society)

  • 송호섭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7권4호
    • /
    • pp.147-178
    • /
    • 2010
  •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propose the improved instruction for authors and research ethic regulations by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ose of the domestic journals,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citation rate of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and Moxibustion Society. Methods : Narrative review method was used for comparatively analyzing instruction for authors of 34 domestic journals, especially focused on how to write a reference. Thereafter, in order to elucidate the drawbacks of current instruction for authors and research ethic regulations of the acupuncture and moxibustion society, the well prepared instructions and research ethic regulations was selected from them, which were compared with the present instructions for authors and research ethic regulations of the acupuncture and moxibustion society. Results : As a resul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instruction for authors in the 34 domestic journals, style for references was based largely on that of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and vancouver at the same time. The number of reference was limited according to types of writings. for example, the original article and case report was frequently limited to 40 and 20 references respectively. Authors were mostly listed up to six. If there are more, the first three or six authors were listed with 'et al'. it was generally recommended that using abstracts as references should be avoided and References to papers accepted but not yet published should be designated as 'in press' or 'forthcoming', and that the names of journals should be set in italics and abbreviated according to the List of Journals Indexed for Medline (formerly Index Medicus) published by the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or koreanmed or WHO-IST, etc. In addition, citation of electrical literature, English writing of reference and obligational citation of more than two articles in the journals were encouraged. In consequence of comparison between well prepared instructions and research ethic regulations of the selected journals and those of current instructions for authors and research ethic regulations of the acupuncture and moxibustion society, the followings were needed to be added or revised. 1. Requirements for case reports were not mentioned. 2. Reporting Guidelines for Specific Study Designs were not included. 3. Previous Orthography of herbal prescription should be revised. 4. Orthography of authors and guidelines for writing article constituents such as title, abstract, introduction, method, statistics, results, discussions were not presented. 5. How to write a reference was so simplified. 6. Definition of Research Ethical Misconduct was omitted and establishment, management and members of committee for research ehtics were not mentioned, 7. Information, reception and investigative procedures of Research Ethical Misconduct was not specified. Conclusions : For the development of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and Moxibustion Society, apporopriate revision of the instruction for author and research ethic regulations should be made based upon the above findings. English writing of reference were believed to be one of the alternatives enhancing citation rate.

연구·학습윤리 규범 연구개발 (Study and development on ethics code of research-learning)

  • 이재성
    • 철학연구
    • /
    • 제123권
    • /
    • pp.309-346
    • /
    • 2012
  • 황우석 박사 연구팀의 논문조작 사건은 우리 사회에서 그동안 견고하게 이어져오던 학문 연구자와 그 연구 활동에 대한 신뢰를 크게 흔들어놓았다. 이 사건 이후에 우리의 연구자사회와 과학계는 반성 및 성찰 과정을 통해 많은 변화를 겪었다. 우리는 연구자사회가 먼저 나서서 제기된 의혹을 철저하게 규명하려는 능동적인 노력을 보여줄 때에 연구자사회에 대한 신뢰, 연구 활동에 대한 신뢰는 크게 흔들리지 않았음을 경험해왔다. 하지만 연구부정행위에 대해 소극적으로 대응하는 반대의 경우들이 아직은 더 많기에, 우리 연구자사회가 가야 할 길은 여전히 험난하다. 따라서 학문이나 학습 영역의 연구 및 학습 부정행위 사례가 불필요하게 확대 해석되는 일을 막는 것은 연구자 및 학습자 사회 내부에 정치, 경제, 사회 등 제 분야의 갖가지 이해관계들에서 벗어난 자율적인, 또한 의사결정이 합리적으로 이뤄지는 체계를 얼마나 잘 갖추고 있느냐에, 그리고 사회적 사건으로 비화하기 이전에 먼저 이런 부조리를 미리 예방하려는 세심한 체계를 얼마나 잘 갖추고 있느냐에 달려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필자는 사후적 차원이 아니라 사전적 차원, 즉 연구자 및 학습자의 자율적 자정 체계 마련을 위한 방법, 즉 연구 학습윤리의 규범 연구가 왜 중요한 것인지를 탐색할 것이다. 논의의 분명한 진행을 위해서는 우선 연구 학습윤리가 무엇인지를 좀 더 분명하게 규명하고 정의할 필요가 있다.(2) 그리고 이 과정에서 연구 학습윤리가 왜 규범화되어야 하는지를 살펴야 할 것이다.(3) 이어서 만일 연구 학습윤리가 규범화될 수 있는 것이라면, 그것이 왜 정당화되어야 하는지를 논증하면서,(4) 이 글을 마무리할 것이다.(5)

The Importance of Research Ethics and the Countermeasures for Journals: Case Study of KJFHC

  • CHA, Seong Soo;YOUN, Myoung Kil
    • 연구윤리
    • /
    • 제3권1호
    • /
    • pp.13-16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mind the importance of research ethics in research and publication,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research ethics by taking examples of research ethics recently implemented by KJFHC.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With reference to the research of existing researchers, why research ethics is important, what are the violations of research ethics, and the efforts of the editorial committee of KJFHC to strengthen research ethics are presented as an example. Results: It is a reality that the concept of research ethics is becoming more complex and important with the introduction of various new academic fields. At this point in time, researchers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easily overlooked concept of research ethics. In research ethics, the most important thing is not punishment through monitoring and supervision, but prevention activities of research ethics that can prevent research misconduct before it occurs. As a preventive activity for research ethics, it can be said that the most important is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atic education system and active educational activities of universities and related institutions. Conclusions: This study avoids the general status and solutions for research ethics, and explains the case of the actual academic journal KJFHC and suggests alternatives.

국내 대학 연구윤리지침의 연구데이터 관련 내용 분석 (A Study on the Analyzing Research Data-related Content in the Research Ethics Guidelines of Korean Universities)

  • 장수현;남영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21-241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변화하는 연구 환경에 맞춘 국내 대학의 연구윤리지침의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 연구윤리지침과 연구진실성 관련 원칙을 분석해 연구데이터 관리와 연구진실성 간 연관성을 파악하였으며 해외 연구전문대학의 연구데이터 관련 지침 현황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와 국내 4년제 대학 204개교를 대상으로 대학 연구윤리지침에서 나타난 "연구데이터" 관련 내용의 통계 결과를 비교해 본 연구는 국가 차원의 연구윤리지침인 연구윤리 확보를 위한 지침과 각 대학의 연구윤리지침의 연구데이터 관련 측면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