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rror neuron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2초

Comparison of Postural Control Ability according to the Various Video Contents during Action Observations

  • Goo, Bon Wook;Lee, Mi Young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33권1호
    • /
    • pp.16-20
    • /
    • 2021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type of video contents used for action observations on the ability to control postur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48 healthy adults. The two hands of the participants were crossed on both shoulders, and the other foot was placed in a straight line in front of the target to allow them to watch a video of the monitor. The videos were presented in random order with three video contents (natural, stable balance posture, and unstable balance posture) consisting of 30 seconds each. A 15-second resting time was given between each video. During action observation using various video content forms, the posture control ability was measured using a TekScan MetScan® system.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rea of movement and the distance by COP and distance by the type of action-observation videos, and the distance by the anteroposterior and mediolateral sides (p<0.05). The stable balance posture and unstable balance posture vide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stance by the COP, anteroposterior, and mediolateral distance. (p<0.05)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choosing the contents of the videos is important during action-observation training, and action-observation training can help improve postural control.

인지과학의 관점에서 본 서사극 이론 (Epic Theatre Reexamined from the Viewpoint of Cognitive Science)

  • 김용수
    • 한국연극학
    • /
    • 제49호
    • /
    • pp.133-169
    • /
    • 2013
  • Reexamining Brecht's theoretical hypotheses in terms of cognitive science, this essay arrived at several temporary interpretations. Cognitive science implies that empathy can precede the rational understanding in Verfremdungseffekt. The spectator tends to simulate the unfamiliar incident and character and feels the consequential embodied emotion that leads to the cognitive understanding. The similar situation can be found in social gestus. According to cognitive science, gesture(social gestus) is simulated in the mirror-neuron of spectator, arousing consequently the embodied emotion that triggers the succeeding understanding. The spectator apts to experience and feel physically the moving gesture before decoding it as a social signification. Brecht's intention that attempts to reveal the duality of actor and character by eliminating the fourth wall is negated by cognitive science. According to the theory of conceptual blending, the spectator under the eliminated fourth wall mixes actor and character, and simulates this blending image so that he experiences it imaginatively. As such, another kind of illusion can be formed when a fourth wall is collapsed. Meanwhile, the critical thinking of spectator Brecht wanted can be hard to occur during the performance. It is necessary for the spectator to recollect the bygone dialogue and action in terms of social context as if he presses the pause, stopping the playback while watching a play in video. In this respect the social meaning Brecht intended can be achieved more effectively by the stop motion like tableau. It would not only give the time for the spectator to consider the implied social signification, but also make him possible to decode a semiotic meaning as if interpreting a still picture. Or it can be delivered by the dialogue that expresses the playwright's critical judgement. In this case, the subject of critical thinking is not the spectator but the author. The alternative explanation that the cognitive science suggests illuminates theoretically the reasons why Brecht's theory fails to be realized in practice. In a sense, Brecht's theory is nothing but a theoretical hypothesis. It takes the premise that the emotion hinders the rational thinking, understanding emotion and reason oppositively like Plato. This assumption is negated easily by the recent cognitive science that sees the reason as a by-product of physical experience including emotion. The rational understanding, in this sense, begins from the embodied emotion. As such the cognitive science denies the dichotomy of emotion and reason that Brecht adopted. The theoretical hypothesis of cognitive science makes us recognize again the importance of bodily experience in theatre. In theatre the spectator tends to experience physically before decoding the intellectual meaning. The spectator Brecht wanted, therefore, is far from the reality. The spectator usually experiences and reacts physically before decoding the meaning critically. Thus Brecht's int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embodied emotion resulted from simulation. This tentative interpretation suggests that we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empirical study of spectatorship, not remaining in a speculative study.

동작관찰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ction Observation Training on Bal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 최효승;남기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759-3765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동작관찰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기간은 2013년 7월 8일부터 8월 10일까지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은 무작위로 풍경사진관찰군(n=20)과 동작관찰군(n=20)으로 나누었다. 두 군은 각각 5분 동안 풍경사진 및 균형과 관련된 동작을 동영상으로 관찰하였다. 영상관찰 후, 두 군 모두 10분동안 균형훈련을 받았다. 훈련 세션은 2회 반복하여 하루 30분, 주 3회, 6주 동안 실시하였다. 그 결과, 풍경사진관찰군에 비해 동작관찰군에서 정적 및 동적균형이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p<.05). 결론적으로, 동작관찰과 균형훈련의 결합은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회복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소뇌 운동실조 이상 환자를 위한 운동상상 기반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Motor Imagery based Brain-Computer Interface for Cerebellar Ataxia)

  • 최영석;신현출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609-614
    • /
    • 2014
  • 소뇌 운동실조는 점차 진행되는 신경퇴행질병이며 운동 조절을 위한 기능의 상실을 동반하기에 환자의 삶을 심각하게 저하시킨다. 소뇌 운동실조 환자는 운동제어 과정에서 부적절한 폐회로 소뇌 반응으로 인해 운동 명령이 제한된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을 이용하여 소뇌의 이상으로 인한 운동실조 환자들이 외부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운동상상 기반의 뇌파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이용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법을 제안한다. 뇌파 기반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소뇌 운동실조 환자와 정상인 그룹에서 운동상상에 따른 뮤밴드 파워를 조절하는 능력을 비교하였다. 이를 통하여 소뇌 운동실조 환자에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동작관찰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운동기능에 미치는 영향 : 다중기초선연구 (The Effect of Action Observation Training on Upper Motor Function in Stroke Patients : A Multiple Bbaseline Design)

  • 윤태원;박혜령;김태윤;이문규
    • PNF and Movement
    • /
    • 제12권2호
    • /
    • pp.123-132
    • /
    • 2014
  • Purpose: The discovery of mirror neuron system may positively affect functional recovery; therefore, rehabilitation is needed that is practical for use in clinical sett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ction observation training on upper motor function in people who had suffered strokes. Methods: Three elderly patients with stroke, aged to years, were recruited from a stroke rehabilitation center. A nonconcurrent, multiple baseline subject approach was taken, with an A-B-A treatment single-subject experimental design,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3 weeks. The action observation training was repeated 5 times in 5 days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The arm function, including WMFT, BBT, and grip and pinch strength, was evaluated in each subject 5 times during the baseline period, the intervention period, and the baseline regression period. Results: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for each subject were presented as mean values and video graphs. The WMFT scores of 2 subjects were improved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in comparison with the baseline period, and this improvement was maintained even during the regression baseline period. The BBT and the grip and pinch strength were not improved.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the action observation training for 5 sessions was effective in improving upper limb function of stroke patients but was not effective in improving hand dexterity or grip and pinch strength.

오토포이에시스, 어포던스, 미메시스: 환경과 인간의 인지적 상호작용의 복잡성 해명을 위한 밑그림 (Autopoiesis, Affordance, and Mimesis: Layout for Explication of Complexity of Cognitive Interaction between Environment and Human)

  • 심광현
    • 인지과학
    • /
    • 제25권4호
    • /
    • pp.343-384
    • /
    • 2014
  • 마음의 문제를 해명하기 위해 오늘날 인지과학은 과거의 컴퓨터 모델이나 신경망 모델이라는 좁은 틀에서 벗어나 뇌와 상호작용하는 신체와 상호작용하는 환경이라는 넓은 틀로 시야를 확대하고 있다. 그 결과로 등장한 <확장된 마음>이나 <체화된 마음> 혹은 <발제적 마음>의 이론들은 마음에서 환경으로 나아가는 길을 개척하는 데에 주력한 반면, 마음과 환경의 상호작용의 복잡한 과정 자체를 해명하는 데까지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런 문제는 1960~70년대에 마음의 문제를 뇌와 신체와 환경 간의 상호작용이라는 관점에서 선구적으로 해명하려 했던 깁슨과 마투라나와 바렐라에게로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깁슨이 환경이 제공하는 어포던스에 방점을 찍었다면, 마투라나와 바렐라는 생명체의 자기생산의 자율성에 방점을 찍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환경이 제공하는 어포던스에는 불변적 요소가 존재하고 생명체 역시 고유한 자율성을 가지면서, 어포던스의 가변적 요소와 환경에 대해 열려 있는 생명체가 함께 구조적 짝패를 이룬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럴 경우 깁슨과 마투라나와 바렐라의 대립점은 해소될 것이다. 이 글에서 필자는 벤야민의 미메시스 이론이 양자를 매개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제안하려 한다. 벤야민의 미메시스 개념에는 어포던스적 요소들을 체화함과 동시에 환경에 새로운 어포던스를 발제하는 측면이 함께 어우려져 하나의 성좌를 만들어내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깁슨의 어포던스 개념과 마투라나와 바렐라의 체화와 발제 개념은 벤야민의 미메시스 개념을 매개로 할 경우 원활하게 연결되어 순환할 수 있다.

(2D)2 PCA알고리즘을 이용한 최적 RBFNNs 기반 나이트비전 얼굴인식 시뮬레이터 설계 (Design of Optimized RBFNNs based on Night Vision Face Recognition Simulator Using the 2D2 PCA Algorithm)

  • 장병희;김현기;오성권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1-6
    • /
    • 2014
  • 본 연구에서 $(2D)^2$ PCA 알고리즘을 이용한 최적 RBFNNs 기반 나이트비전 얼굴인식 시뮬레이터을 설계한다. CCD 카메라로 야간에 이미지를 취득할 경우 조도가 낮기 때문에 인식을 수행하기 어려운 수준의 이미지가 취득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나이트 비전 카메라를 이용하여 야간 얼굴을 취득하였다. 또한 얼굴과 비얼굴 이미지 영역에서 야간 얼굴 이미지를 검출하기 위해 Ada-Boost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그리고 히스토그램 평활화를 이용하여 이미지의 왜곡 현상을 최소화 한다. 이렇게 얻어진 고차원 이미지를 저차원으로 축소하기 위해 $(2D)^2$ PCA 알고리즘을 사용했다. 다항식 기반 RBFNNs을 이용한 지능형 패턴 분류 모델을 통하여 얼굴인식을 수행 한다. 마지막으로 차분진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파라미터를 최적화 한다. $(2D)^2$ PCA를 최적 RBFNNs 기반 나이트비전 얼굴인식 시스템의 성능 평가를 위하여 IC&CI Lab data를 사용하고 실제 얼굴 인식 시스템을 설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