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lking Time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6초

연천지역에 있어서 옥수수 사일리지의 개봉 후 경과기간에 따른 시료성분 및 발효품질 (Chemical Composition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the Corn Silage During Feedout at Yonchon of Gyeonggi-do)

  • 성경일;김곤식;이준우;김병완;김상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3-5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ways to consistently feed high quality corn silage(CS).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the corn silage, after a certain time has elapsed,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fter feedout during the winter feeding period of the CS. Six samples of CS from four dairy farms(E1, E2, E3, and L1 ) were taken in order to feed the milking cows over a winter feeding Period from November of 2002 until February of the following year, 2003(six samples were taken at the fellowing dates in the following order: sample one was taken on the 23rd Nov. 2002, sample two on the 5th of Dec. 2002, 3rd sample on the 23rd of Dec. 2002, 4th sample on the 7th of Jan. 2003, 5th sample on the 22nd of Jan. 2003, and the 6th sampling was carried out on the 6th of Feb. 2003) at the three sampling sites after the opening of the trench silos at intervals of 15 days. In the dry matter contents of CS, there wasn't any specific tendency according to the elapsed time in the range of 21.3~$27.3\%$ at all low dairy farm(E1, E2, E3, and L1). And the average dry matter contents were 24.1, 25.9, 23.6, and $20.4\%$. Considering the Proper amount of the dry matter of CS during the ripen yellow stage, the appropriate moisture content was $33\%$ (NRC, 1989), and these dry matter contents were all low. A consistent tendency was not found in the contents of CS. The average of CP contents were 10.2, 8.0, 8.5, and $9.8\%$ at the E1, E2, E3, and L1 farm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The TDN contents of CS were not different among forms according to the time elapsed. The pH, according to the time elapsed after opening of the CS, there were no differences at each of E1, E2, E3, md L1 farms. Average pH were 3.5, 3.9, 3.6, and 4.1, md all of them were in normal range. In the lactic acid contents of CS, a consistent tendency was not found among four farms. But according to the time elapsed. there was a goat difference from 1.13~$7.8\%$ The acetate, propionate, and butyrate contents of CS were very low. In this stud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S's chemical composition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elapsed time at all four dairy farms. Considering the proper dry matter contents of CS during the ripen yellow stage, the appropriate dry matter content was $33\%$, and dry matter contents of few farms were all low. To enhance the quality of corn silage should be ensiled com at proper dry matter content range from 28 to $35\%$ Therefore, content of the corn plant should be always be closely monitored prior to beginning harvest.

Effect of Medicated Block Licks on the Performance of Indigenous Dairy Cows of Bangladesh

  • Rafiq, K.;Mostofa, M.;Awal, M.A.;Hossain, M.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6호
    • /
    • pp.774-780
    • /
    • 2000
  • For this study three types of block such as medicated urea-molasses-mineral block (MUMMB, 7% urea), urea-molasses-mineral blocks ($UMMB_a$ 7% urea) and urea-molasses-mineral blocks ($UMMB_b$ 21% urea) were prepared. Naturally infested 24 indigenous dairy cows with gastrointestinal nematodes were used to study the effect of MUMMB, $UMMB_a$ and $UMMB_b$ on different parameters (body weight, milk yield, serum urea level, milk urea level). The cows were offered normal diet added with 250 g block per cow for every day. Straw and green grasses were used as basal diet in the ration. The managemental facilities for all cows of each group were similar. Cows were stall fed, calves were tied up at night and had free access to their dam during day time. Milking was done once daily in the morning. The daily average live weight gains by MUMMB, $UMMB_a$, $UMMB_b$, and control group (no block) were 52.08 g, 44.44 g, 48.58 g, and 1.41 g respectively. The live weight gai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in comparison to control group. The highest daily milk yield was observed in MUMMB treated cows (2.39 L/d); followed by $UMMB_b$ treated cows (1.82 L/d) and $UMMB_a$ treated cows (2.16 L/d). The lowest milk yield was found in control group (1.54 L/d). This result differs significantly (p<0.05) between treated groups and also with control group. During urea-molasses-mineral blocks $UMMB_a$, $UMMB_b$ licking milk urea level increased from initial $22.76{\pm}2.35mg/dl$ to $35.46{\pm}4.80mg/dl$ and initial $22.86{\pm}2.96mg/dl$ to $40.66{\pm}0.87mg/dl$ respectively. This variation of milk urea lev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Similarly during $UMMB_a$, and $UMMB_b$ blocks licking, serum urea level increased in both treated groups from initial $22.76{\pm}2.60mg/dl$ to $32.68{\pm}2.21$ and initial $23.70{\pm}2.78mg/dl$ to $40.48{\pm}3.24mg/dl$, respectively. This variation of serum urea level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Use of MUMMB instead of UMMB was proved better for milk production and live weight gain in dairy cows under the village condition of Bangladesh where balanced ration for dairy cows are a major scarcity. And various concentration of urea in blocks positively affect milk and serum urea levels of indigenous dairy cows.

Study on Genetic Evaluation for Linear Type Traits in Holstein Cows

  • Lee, Deukhwan;Oh, Sang;Whitley, Niki 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1호
    • /
    • pp.1-6
    • /
    • 2010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 investigate genetic performance for linear type traits of individual Holstein dairy cows, especially focusing on comparative traits, and to estimate genetic variances for these traits using actual data, and ii) compare genetic performance and improvement of progeny by birth country of the cows. Linear type traits defined with five comparative traits on this study were general stature composite (GSC), dairy capacity composite (DCC), body size composite (BSC), foot and leg composite (FLC), and udder composite (UDC). These traits were scored from 1 to 6 with 1 = poor, 2 = fair, 3 = good, 4 = good plus, 5 = very good and 6 = excellent. Final scores (FS) were also included in this study. Data used was collected from the years 2000 to 2004 by the Korea Animal Improvement Association (KAIA). Only data of more than five tested cows by herd appraisal date and by sires having more than ten daughters were include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data analyses. A total of 30,204 records of the selected traits, which was collected from 26,701 individuals having pedigree information were used. Herd appraisal date, year of age, lactation stage (grouped by month), and time lagged for milking (in hours) were assumed as fixed effects on the model. Animal additive genetic effects considering pedigree relationship and residual errors were assumed with random effects. Year of age at appraisal date was classified from one to nine years of age, assigning the value of nine years of age for animals that were greater than or equal to nine years of age. From our results, the estimate for heritability was 0.463, 0.346, 0.473, 0.290, and 0.430 on GSC, DCC, BSC, FLC and UDC, respectively. The estimate for FS heritability was 0.539. The greatest breeding values for GSC were estimated for Canada, with the breeding values for American lines increasing for 10 years starting in 1989 but tending to decrease after that until 2004. For DCC, the breeding values for American and Canadian lines showed similar patterns until 1999, after which the breeding values for the American lines declined sharply. For BSC, data from Korea, Canada and the USA followed similar trends overall except when the breeding values of the American lines decreased starting in 1999. Overall, the methods used to evaluate genetic performance in this study were acceptable and allowed for the discovery of differences by country of genetic origin, likely due in part to the American use of selection indexes based primarily on milk yield traits until methods for evaluating other traits began to emerge.

벼의 생육단계별 벼멸구 피해가 수량에 미치는 영향 (The Yield Loss Due to the Brown Plant hopper, Nilaparvata lugens Stal, in Rrelation to the Growth Stages of the Rice)

  • 이준호;현재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44-250
    • /
    • 1983
  • 자연조건하에서 인위적으로 접종시킨 벼멸구가 증식하였을 때, 벼의 생육단계별 벼멸구피해가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81년의 경우 출수기이후 방제구의 수량은 최고 분얼기, 수잉기, 완전방제구에 비하여 수량감소현상이 있었고, '82년의 경우느 수잉기 방제구부터 수량감소 현상이 나타났다. 2. 벼멸구 제1세대 개체군에 의한 초장과 경수에의 영향은 없었으나 벼멸구 제2세대, 3세대 개체군에 의한 천립중$(Y_1)$과 등숙율$(Y_2)$에의 영향은 수량감소의 결과로 나타났다. 이 영향은 특히 출수후부터 유숙기 까지의 벼멸구 개체군(제 2세대 개체군)과 상당한 관계가 있었으며 다음과 같은 회귀방정식을 구하였다. $$Y_1(g)=25.602-0.0213X(r=0.5205^{**})$$ $$Y_2(\%)=76.97-0.1370X(r=-0.4820^{**})$$ 3. 충접종후 수확시까지의 벼멸구 개체군에 수당총밀도(X)와 수량(Yg)과의 관계는 $Y(g)=-24.684-0.576X(r=-0.6956^{**})$였다. 4. 벼멸구 대발생의 근원은 비래후 제1세대에 있은 고로 이 세대의 밀도, 연령구성, 시형, 기타의 개체군 특성에 관한 지식은 해충 방제의 합리화를 위한 기초가 된다.

  • PDF

Bulk tank milk의 품질평가를 위한 퍼지기반 추론 (Fuzzy reasoning for assessing bulk tank milk quality)

  • 김태운;정대유
    • 지능정보연구
    • /
    • 제10권3호
    • /
    • pp.39-57
    • /
    • 2004
  • 우유생산 농가에서는 그들 젖소의 우유를 저장하는 탱크 (bulk tank milk: BTM)로부터 채취된 샘플로부터 분석된 우유에 대한 품질관련 항목들, 즉 체세포 수 (somatic cell count: SCC), 표준 plate count (standard plate count: SPC), 사전 incubation count (preliminary incubation count: PIC) 등에 관한 정보를 정기적으로 제공 받는다. 이러한 정보는 일정기간 쌓이게 되면 우유의 품질을 유지하고 목장을 관리할 수 있는 중요한 지식 베이스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우유 품질이나 목장의 관리상태를 평가하는 기준은 모호하고 퍼지한 용어로 많이 표현되고 있다. 즉 우유 품질을 최상급, 상급, 중간, 불량으로 표시하거나 목장의 관리상태를 아주 양호, 양호, 미흡 등으로 표시한다. 이러한 서술방식은 퍼지이론에서의 모호한 상태를 표현하는 기준과 많이 부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BTM으로부터 추출한 샘플로부터 미생물학적 분석을 통해서 나온 결과를 이용해서 BTM의 품질과 목장의 관리상태에 대하여 추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따라서 퍼지추론엔진에 기초하여 퍼지로직 기반의 추론방법을 개발하고 실제 데이터를 이용해서 평가하였다. 입력 데이터로는 Bulk Tank SCC, SPC, PIC, laboratory pasteurization count (LPC), non agalactiae Streptococci, Streptococci like organisms, Staphylococcus aureus등이다. 이러한 입력자료에 근거하여 BTM의 품질상태를 아주 양호, 양호, cooling문제, 청결문제, 환경적 mastitis, 환경적/청결 복합문제로 분류하고, 낙농가로부터 채취한 실제 데이터를 이용하여 추론하였다. 본 퍼지 추론 결과는 낙농생산자, 컨설턴트, 수의사 등 관련 종사자들에게 의사결정을 위한 참고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 PDF

젖소농가의 사육규모별 축사시설 분석 (Surveying for Barn Facilities of Dairy Cattle Farms by Holding Scale)

  • 민병로;서광욱;최희철;이대원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51-262
    • /
    • 2009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젖소농가의 사육규모별 축사시설 현황을 파악하고자 전국 9개도시의 젖소 50두 이상사육농가 4,198호를 대상으로 축사시설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50두 이상 전업농가에서 344,514마리를 사육하였으며 농가당 50~99마리 사육규모가 78.9%로 대부분이었고 농가당 평균 사육두수는 82.1두 이었다. 젖소 우사의 건축 시기는 평균 건축연도가 1995년 9월로타 축종에 비하여 노후한 편이었으며 농가당 축사면적은 $1,740.0\;m^2$이었다. 젖소 우사의 건축형태는 톱밥우사 84.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후리스톨 5.1%, 계류식+톱밥 운동장 17.3%, 기타 4.4%이었다. 규모별 우사의 건축형태는 소규모 농가에서 톱밥우사가 많은 반면, 대규모 농가에서는 후리스톨이 10.9%로서 소규모 농가의 후리스톨 보다 높게 나타났다. 착유시설은 파이프라인 41.5%, 헤링본 22.8%, 탠덤 35.8% 이었으나 50~99두의 소규모 농가는 파이프라인이 48.0%로 많은 반면, 200두 이상에서는 헤링본 38.3%, 탠던 48.9%로 착유실 착유가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우사 바닥은 깔짚이 94.9%로 스크레이퍼에 비하여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나 대규모 농가에서는 스크레파가 13.1%로 소규모 농가의 6.4%에 비하여 높은 경향이었다. 유우사 지붕의 재질은 슬레이트 32.5%, 비닐 16.3%, 썬라이트 11.1%, 판넬 10.9, 함석 8.8, 강판 8.3%로 조사되었다. 1995년 이전에는 슬레이트가 많았으나 1995년 이후 비닐지붕이 증가하고 있으며 대규모 농가에서도 비닐지붕이 23.8%로 소규모 농가에 비하여 많았다. 우사 외벽 재질은 개방식이 83.3%이며 윈치커튼이 26.8%로 대부분 개병형 우사 이었다. 젖소 사육시설의 사용년수는 착유기 9.2년, 사료자동급이기 7.9년, 급수기 9.2년, 전기시설 10.4년으로 최근 사료자동급이기의 시설개선이 많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우의 생리적인 최적 번식적령기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Optimum Age of Physiological Reproduction in Korean Native Cattle)

  • 성환후;이연근;최선호;장원경;이장형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93-199
    • /
    • 2002
  • 본 연구는 한우의 생리적인 번식적령기를 구명하는 기초자료를 확보하여 조기번식에 따른 번식능력의 감소를 방지하고 한우 암소의 번식능력을 증진하여 농가의 소득증대에 이바지할 목적으로 각 처리구당 4구로 나누어 총 32두를 공시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만후 송아지의 평균 생시 체중은 전 구간에서 평균 23.5$\pm$0.6kg으로 나타났으며 암송아지는 21.8$\pm$0.8kg에 비해 수송아지는 평균 25.0 $\pm$0.8kg으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송아지 성장단계별 체중은 T2구에서 유의적인 증가 추세를 보였다. 따라서 송아지의 체중변화는 어미소의 영양상태에 따라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발정일령은 전 구간에서 평균일령과 평균체중은 각각 263.3$\pm$6.4일과 181.1$\pm$11.3일로 나타났다. 1회째 인공수정에 의한 수태율은 T1구에서 25%로 가장 낮았으며 T4구에는 75.0%로 가장 높았다. 수태당 종부회수는 T1와 T2구의 2.3, 2.4회에 비해 T3, T4구가 1.5회로 낮았다. 초임 월령별 분만후 발정재귀일수는 T1구에서는 평균 66.2일, T2구에서는 76.7일, T3구에서는 62.4일, T4구에서는 68.5일이었으며 전 구간의 평균 발정재귀일수는 65.7일로 나타났다. 초발정 전후의 혈중 progesterone 농도는 전 구간에서 거의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즉, 혈중 progesterone 분비는 생후 12개월령이 지나야만이 전 개체에서 정상적인 호르몬 분비상태가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12개월 이전에 난포의 배란과 정상 발정주기가 반복되는 개체는 총 32두중 5두만(15.6%)으로 확인되었다. 임신기간중 혈중 progesterone 농도는 임신 중기 이후에 비해 착상과 태반형성이 이루어지는 시기인 임신 초기에 다소 높은 경향이었으며 임신중기에는 다소 감소되었다. 분만 전후 혈중 progesterone 농도는 전 구간에서 분만 7일전부터 급격하게 감소되었으며 분만후부터 포유 약40일까지 progesterone이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며 분만후 35일부터 본격적으로 progesterone이 분비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분만후 정상 발정주기의 반복은 분만후 약 40일 이후 비로소 시작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한우의 초임유도시 최적 초임시기의 결정요소는 14개월령과 체고 약 110cm, 체중 약 265kg 정도의 3가지 요건을 갖춘 후 초임유도를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수도품종(水稻品種)의 초형(草型)과 건물생산특성(乾物生産特性)의 변천(變遷) (Plant Characteristics and Dry Matter Production of Several Rice Varieties)

  • 김홍규;안수봉
    • 농업과학연구
    • /
    • 제14권2호
    • /
    • pp.248-262
    • /
    • 1987
  • 시대적(時代的) 변천(變遷)에 따른 수도품종(水稻品種)의 초형(草型)과 건물생산(乾物生産) 특성(特性)을 살펴보기 위해 12개(個) 품종(品種)을 공시(供試)하여 4개(個) 품종군(品種群)으로 구분(區分)한 다음 시험조사(試驗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간장(稈長)은 최근(最近)의 품종군(品種群)으로 올수록 짧아졌는데 일인교잡종(日印交雜種)에서 현저(顯著)히 감소(減少)하였다. 2. 수장(穗長)은 I군(群)에서 III군(群)으로 변천(變遷)하는 과정(過程)에서 감소(減少)하였고 IV군(群)에서는 단간(短稈)임에도 불구하고 다시 증대(增大)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3. 상위삼엽(上位三葉)의 엽신장(葉身長) 및 엽중(葉重)은 시대적(時代的) 변천(變遷)에 따라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보였고 특(特)히 IV군(群)의 엽신장(葉身長)은 I군(群), II군(群), III군(群)에 비(比)해 현저(顯著)한 차이(差異)를 보였다. 엽각(葉角)에 있어서도 최근품종(最近品種)으로 변천(變遷)함에 따라 직립경향(直立傾向)이 뚜렷하였고 특(特)히 IV군(群)은 상위삼엽(上位三葉) 평균(平均)이 $10^{\circ}$내외(內外)로 직립(直立)하였다. 4. 이삭의 추출도(抽出度)는 품종(品種)의 변천(變遷)에 따라 현저(顯著)한 감소경향(減少傾向)을 보였다. 5. Japonica 품종군(品種群)에 있어서 $m^2$당(當) 수수(穗數)는 최근품종군(最近品種群)에서 점증경향(漸增傾向)이었고, 1 수영화수(穗穎花數)에 있어서도 비슷하였다. 일인교잡종(日印交雜種)은 Japonica 품종(品種)보다 영화수(穎花數)가 대체(大體)로 많았으며 천립중(千粒重)은 일인교잡종(日印交雜種)이 약간(若干) 가벼운 경향(傾向)을 보였다. 6. 엽초 및 간(稈)과 엽신(葉身)의 건물량(乾物量)은 출수기(出穗期)에 최대치(最大値)를 보였고 이삭의 건물중(乾物重)은 출수후(出穗後) 10~20일(日) 사이에 현저(顯著)한 증가(增加)를 나타냈다. 7. 기관별(器官別) 생장속도(生長速度)를 보면 분얼성기(分蘖成期)에는 엽신(葉身), 유수신장기(幼穗伸長期)에는 간(稈), 유숙기(乳熟期)에는 이삭이 최대치(最大値)의 생장속도(生長速度)를 나타냈다. 8. 건물분배율(乾物分配率)을 보면 분얼기(分蘖期)에는 간(稈)>엽신(葉身)의 순(順)이었고 출수기(出穗期)에는 간(稈)>엽신(葉身)>수(穗)의 순(順)이었으며 등숙기(登熟期)에는 수(穗)>간(稈)>엽신(葉身)의 순(順)이었다. 9. 공시품종(供試品種)들의 정조수량(精租收量)은 건물중(乾物重) 및 수확지수(收穫指數)와 고도(高度)의 정(正)의 상관(相關)을 나타냈다.

  • PDF

경기 일부지역의 유질 및 낙농위생 관리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Milk Quality and Dairy Hygiene Management in Gyunggi Area)

  • 이용욱;박명섭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09-119
    • /
    • 1987
  • 본 연구는 유질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1986년 5월부터 1987년 4월 까지 경기도 일부지역의 234개 목장을 대상으로 목장별 집합원유에 대해 유지방검사, 세균수시험 (MBRT), 체세포수시험을 실시하여 유질을 평가하였고, 목장의 낙농위생관리실태를 조사하여 유질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유지방율검사, 평균 유지방율은 3.56%였고, 월별로는 1월 3.67%, 4월 3.64%, 7월 3.43%, 10월 3.48%였으며, 월별 유지방율의 차이는 총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05). 2. 세균수시험 (MBRT) 결과, 집합원유의 세균수가 200만/ ml 이하인 I급 목장이 평균 132개(56.4%)였고, 월별로는 1월 153개(65.4%), 4월 150개(64.1%), 7월 76개(32.5%), 10월 141개(60.2%)였으며, 월별 MBRT등급의 차이는 총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05). 또한 납유량이 많은 목장구가 적은 목장구보다, 냉각기를 보유하고 있는 목장구가 보유하지 않은 목장구보다, 탱크집유목장구가 통집유목장구보다, 집합원유 MBRT I 등급의 비율이 더 높았으며, 납유량이 다소 (p<0.05), 냉각기 보유여부(p<0.01), 집유수단(p<0.05) 등과 MBRT 등급간에는 유의한 관련성이 인정되었다. 3. 체세포수시험 결과, 집합원유 체세포수가 50만 cells/ ml 이하인 I급 평균 223개(95.3%)였고, 월별로는 1월이 227개(97.0%), 4월 222개(94.9%), 7월 218개(93.2%), 10월 223개(95.3%)였으며, 월별 체세포수 등급의 차이는 유의성이 인정 되지 않았다. 한편, 착유후 유두침지소독 및 건유기유방염 치료를 병행실시한 목장구가 이의 단일실시 목장구보다, 유방세척용수건을 개체별로 사용한 목장구가 여러개체에 공동으로 사용한 목장구보다 체세포수가 더 낮았으며, 착유후 유두침지소독 및 건유기유방염 치료여부(p<0.01), 유방세척용 수건사용방법(p<0.01) 등과 체세포수간에는 유의한 관련성이 인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