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veying for Barn Facilities of Dairy Cattle Farms by Holding Scale

젖소농가의 사육규모별 축사시설 분석

  • Min, B.R. (Dept. of Bio-Mechatronic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 ;
  • Seo, K.W. (Dept. of Bio-Mechatronic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 ;
  • Choi, H.C.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
  • Lee, D.W. (Dept. of Bio-Mechatronic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
  • Published : 2009.12.30

Abstract

In this research dairy cattle barn facilities what are 4,198 houses hold over 50 heads were surveyed by scale and province. Full-time farms hold over 50 heads breed total 344,514 heads. Each of Farms holds 50 to 99 heads were 79.8 percent and breed average 82.1 heads. Dairy cattle barns were constructed september 1995 averagely. Each of barns have $1,740.0\;m^2$ scale. The construction type of dairy cattle barn was almost litter barn type 84.0%, freestyle type 5.1%, mooring+litter ground type 17.3% and other types 4.4%. The litter barn type was popular in small farms. But in large farms, freestyle type was popular than small farms. The construction type of dairy cattle barn was almost litter barn type 84.0%, freestyle type 5.1%, moohng+ltter ground type 17.3% and other types 4.4%. Type of dairy cattle robotic milking system was pipeline 41.5%, herringbone 22.8% and tandem 35.8%. The pipeline type was popular in small farms which have 50~99 heads. But in large farms which have over 200 heads, tandem type was popular than small farms. Proportion of floor type of dairy cattle barn was almost litter type 94.9%. Scraper type was popular in large farms than in small farms. Proportion of roof type of dairy cattle barn was slate 32.5%, vinyl 16.3%, sunlight 11.1%, panel 10.9, zinc plate 8.8 and steel plate 8.3%. Roof type was lots of slate type before 1995. But vinyl type is increasing after 1995. Proportion of wall type of dairy cattle barn was almost open type 83.3% and winch-curtain 26.8%. Utilization period of dairy cattle barn was 9.2 years about milker, 7.9 years about automatic feeder, 9.2 years about waterer and 10.4 years about electric facilities. In this results, there were lots of improvements about automatic feed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젖소농가의 사육규모별 축사시설 현황을 파악하고자 전국 9개도시의 젖소 50두 이상사육농가 4,198호를 대상으로 축사시설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50두 이상 전업농가에서 344,514마리를 사육하였으며 농가당 50~99마리 사육규모가 78.9%로 대부분이었고 농가당 평균 사육두수는 82.1두 이었다. 젖소 우사의 건축 시기는 평균 건축연도가 1995년 9월로타 축종에 비하여 노후한 편이었으며 농가당 축사면적은 $1,740.0\;m^2$이었다. 젖소 우사의 건축형태는 톱밥우사 84.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후리스톨 5.1%, 계류식+톱밥 운동장 17.3%, 기타 4.4%이었다. 규모별 우사의 건축형태는 소규모 농가에서 톱밥우사가 많은 반면, 대규모 농가에서는 후리스톨이 10.9%로서 소규모 농가의 후리스톨 보다 높게 나타났다. 착유시설은 파이프라인 41.5%, 헤링본 22.8%, 탠덤 35.8% 이었으나 50~99두의 소규모 농가는 파이프라인이 48.0%로 많은 반면, 200두 이상에서는 헤링본 38.3%, 탠던 48.9%로 착유실 착유가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우사 바닥은 깔짚이 94.9%로 스크레이퍼에 비하여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나 대규모 농가에서는 스크레파가 13.1%로 소규모 농가의 6.4%에 비하여 높은 경향이었다. 유우사 지붕의 재질은 슬레이트 32.5%, 비닐 16.3%, 썬라이트 11.1%, 판넬 10.9, 함석 8.8, 강판 8.3%로 조사되었다. 1995년 이전에는 슬레이트가 많았으나 1995년 이후 비닐지붕이 증가하고 있으며 대규모 농가에서도 비닐지붕이 23.8%로 소규모 농가에 비하여 많았다. 우사 외벽 재질은 개방식이 83.3%이며 윈치커튼이 26.8%로 대부분 개병형 우사 이었다. 젖소 사육시설의 사용년수는 착유기 9.2년, 사료자동급이기 7.9년, 급수기 9.2년, 전기시설 10.4년으로 최근 사료자동급이기의 시설개선이 많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서일환, 이인복, 홍세운. 2008. 강제환기식돈사의 환기 효율성 분석을 위한 CFD 모델 개발. 한국농공학회논문집 50(1):25-37.
  2. 송준익, 유용희, 정종원 2004. 육성,비육돈사 내에서 환기형태별 환경조사 연구. 축산시설환경학회지 10(2):93-100.
  3. 최규홍, 손재룡, 이강진. 2001. 돈사의 환경계측에 관한 연구. 축산시설환경학회지 7(3): 155-164.
  4. 최홍림, 송준익, 안희권. 2000. 전업양축농가를 위한 남부지방 돈사의 구조 및 환경실태조사. 축산시설환경학회지 6(1):1-14.
  5. 최희철, 감동환, 송준익. 2008. 한우농가의 사육규모별, 지역별 축사시설 현황 분석. 축산시설환경학회지 14(3):167-174.
  6. Banhazi, T. M., Seedorf, J. and Rutley, D. L. 2008. Identification of Risk Factors for Sub-Optimal Housing Conditions in Australian Piggeries. Journal of agricultural safety and health 14(1):21-40. https://doi.org/10.13031/2013.24122
  7. Kuczynski, T., Slobodzian-Ksenicz. 2000. Technical factors affecting ammonia concentrations in piggeries. Problems of environment engineering at the threshold of the new millennium:371-376.
  8. Leena, K., Thomas, C. K. and Anil, S. S. 1996. Housing plan for small-scale commercial piggery unit. Indian farming 45(12):28-32.
  9. Oleszkiewicz, J. A. and Koziarski, S. 1981. Management and treatment of wastes from large piggeries. Agricultural wastes 3(2): 123-144. https://doi.org/10.1016/0141-4607(81)90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