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icrobial Flora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7초

메밀 새싹채소의 주요 내재미생물 분석 및 염소처리에 따른 품질변화 (Microbiological Characterization and Chlorine Treatment of Buckwheat Sprouts)

  • 이현희;홍석인;김동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52-457
    • /
    • 2009
  • 친환경 기능성 채소로서 시장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고품질 새싹채소의 수확 후 미생물 안전관리와 품질유지 유통기술을 개발하고자 메밀 새싹의 내재미생물을 검지하고 살균소독제로서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적용 농도별 미생물 억제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메밀 새싹의 주요 내재미생물 균총은 Enterobacter, Sphingomonas, Klebsiella 등이 대부분으로 $10^5-10^7$ CFU/g 수준이었으며, 그 종류는 종자 자체의 내재미생물과 유사하였고, E. coli O157:H7, Sal. Typhimurium, L. monocytogenes 등의 병원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50-150 ppm의 차아염소산염 용액으로 처리한 메밀 새싹의 생균수는 무처리구에 비해 약 1 log cycle 이상 감소하였으나 적용농도에 따른 차이는 유의적이지 않았다. 저온저장 7일 후 관능평가에서 100 ppm 이상의 염소수처리 새싹이 상대적으로 우수하게 평가되어 적정 농도의 염소수처리가 메밀 새싹채소의 미생물 억제 및 외관품질 유지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Gut microbiota derived from fecal microbiota transplantation enhances body weight of Mimas squabs

  • Jing Ren;Yumei Li;Hongyu Ni;Yan Zhang;Puze Zhao;Qingxing Xiao;Xiaoqing Hong;Ziyi Zhang;Yijing Yin;Xiaohui Li;Yonghong Zhang;Yuwei Yang
    • Animal Bioscience
    • /
    • 제37권8호
    • /
    • pp.1428-1439
    • /
    • 2024
  • Objective: Compared to Mimas pigeons, Shiqi pigeons exhibit greater tolerance to coarse feeding because of their abundant gut microbiota. Here,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of utilizing intestinal flora derived from Shiqi pigeons, the intestinal flora and body indices of Mimas squabs were evaluated after fecal microbiota transplantation (FMT) from donors. Methods: A total of 90 one-day-old squab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e control group (CON), the low-concentration group (LC) and the high-concentration group (HC): gavaged with 200 μL of bacterial solution at concentrations of 0, 0.1, and 0.2 g/15 mL, respectively. Results: The results suggested that FMT improved the body weight of Mimas squabs in the HC and LC groups (p<0.01), and 0.1 g/15 mL was the optimal dose during FMT. After 16S rRNA sequencing was performed, compared to those in the CON group, the abundance levels of microflora, especially Lactobacillus, Muribaculaceae, and Megasphaera (p<0.05), in the FMT-treated groups were markedly greater. Random forest analysis indicated that the main functions of key microbes involve pathways associated with metabolism, further illustrating their important role in the host body. Conclusion: FMT has been determined to be a viable method for augmenting the weight and intestinal microbiota of squabs, representing a unique avenue for enhancing the economic feasibility of squab breeding.

유기농 토양의 화학적 특성 및 미생물상 연구 (Study on Characteristics of Chemical Properties and Microbial Flora of Organic Farming Soil in Korea)

  • 박광래;스가 유코;홍승길;이초롱;안민실;김석철;하시모토 토모요시
    • 유기물자원화
    • /
    • 제24권4호
    • /
    • pp.77-83
    • /
    • 2016
  • 유기농 밭 토양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유기농 인증을 받은 국내 15개 선도 농가를 선정하고, 밭 토양의 시료를 채취하여 유기농 인증토양에 대한 토양 이화학성 및 미생물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토양 이화학성중 pH는 4.9~7.3의 범위에서 변동하였다. 대부분의 작물은 6.0~7.0의 범위를 나타냈지만, 전남의 양파와 고구마 재배토양은 pH 4.5, 5.8의 산성을 나타내었으며, 경기의 마늘과 고추 그리고 전북의 대두 재배토양에서는 pH 7.2~7.3을 나타냈다. 이러한 토양의 알칼리화는 시용 자재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EC는 대부분의 조사 지역에서 관행 토양의 기준인 2 dS/m 보다 낮은 값을 보였지만, 일부 배추와 고구마 재배 토양에서는 3.9과 3.7을 나타냈다. 유효태 인산 함량은 재배 작물의 종류에 따라 크게 달라 관행 토양의 기준인 $300{\sim}500mg\;kg^{-1}$에서 크게 벗어난 $300{\sim}1,894mg\;kg^{-1}$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유기 재배 토양에는 화학 비료 대신 가축분 퇴비를 대량으로 시용하기 때문으로 추정되었다. 미생물 군집 구조 분석은 세균의 16S rDNA 및 사상균의 18S rDNA의 PCR-DGGE 분석을 실시하였다. DGGE 패턴에 기반 클러스터 분석 결과, 재배경력에 따라 5년 이하와 5년 이상으로 구분되어 재배이력이 길어질수록 토양 세균 군집이 차별화 되어 장기 유기농경지의 토양 특성 구분이 가능하였으나 사상균의 경우는 재배이력 및 지역별로 일정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유기농경지의 미생물적 특성을 구분할 때 5년 이상된 장기재배 토양을 대상으로 세균의 군집분석을 실시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 of inocula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 isolated from swine feces 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hulless barley

  • Jeong, Yong Dae;Lee, Jung Jae;Seol, Kuk-Hwan;Kim, Doo Wan;Min, Ye Jin;Yu, Dong Jo;Cho, Kyu Ho;Kim, Young Hwa
    • 농업과학연구
    • /
    • 제44권4호
    • /
    • pp.558-565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inoculation of microorganism isolated from pig feces on nutrient contents of fermented hulless barley. The microbial flora in feces of a total of four crossbred piglets ($Landrace{\times}Yorkshire{\times}Duroc$) was analyzed by 16s rRNA sequencing. The most abundant strain was then selected for fermentation of hulless barley. Lactobacillus plantarum (L. plantarum) was dominant (64.56%) in intestinal microbial flora in the pig feces. The selected candidate strai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urvival rate at pH 7 than at pH 2.5 and 3.0 (p < 0.05). Incubated culture containing the candidate strain showed an increased growth rate with lower pH levels after 7.5 h incubation compared to initial incubation period (p < 0.05). When compared with commercial multiple probiotics which were used as control, the selected strain showed faster growth rate at 5 h post-incubation (p < 0.05).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neither inoculated nor non-inoculated control hulless barley showed any change in pH value. Crude fat, fiber and ash contents were lower (p < 0.05) in hulless barley inoculated by the selected strain compared to control. However, moisture, energy, NDF and ADF were not affected by the inoculation of strain or fermentation period. Lactic acid was increased and acetic acid was decreased in the hulless barley inoculated with the selected strain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p < 0.05). Taken tog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L. plantarum derived from the pigs could be utilized as a new microorganism for manufacturing fermented feed stuffs.

포장조건에 따른 한국전통 된장과 고추장의 품질변화 (Effect of packaging conditions on the quality changes of fermented soy paste and red pepper paste)

  • 장재덕;황용일;이동선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1-36
    • /
    • 2000
  • 10개월 숙성된 전통 된장과 고추장을 232 mL의 유리병 용기에 포장조건을 다르게 하여 각각 180g과 150g씩 포장하고, $13^{\circ}C$에서 저장하면서 포장내의 기체조성, 색택, 총산, pH 등의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포장 처리구로서는 핀홀을 장착시켜서 통기성을 준 경우와 $CO_2$ 흡수제로서 $Ca(OH)_2$를 장착시킨 경우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된장과 고추장 모두에서 대조구 밀봉포장은 저장중 높은 $CO_2$ 분압의 증가를 일으키고 $O_2$ 분압의 감소소멸를 나타내나, 질소분압은 비교적 일정한 수준에서 유지하여 높은 압력을 발생시켰다. 반면에 $Ca(OH)_2$ 함유포장에서는 저장 70일 부근까지 비교적 낮은 $CO_2$ 분압를 유지하여서 큰 압력 발생 없이 저장이 가능하였다. 핀흘을 장착시킨 통기성 포장에서는 $O_2$ 분압과 $N_2$ 분압이 감소하고 $CO_2$ 분압은 계속 상승한 후, 완만히 감소하였다. 이러한 포장내의 기체조성의 변화는 장류의 품질변화에 영향을 미쳐서 핀홀을 가진 포장에서 그 변화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약간 작았으나, 된장 포장의 경우 저장 120일 이후에 곰팡이 오염과 성장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저장 70 여일 후에 측정한 미생물 군집의 변화에서는 포장간에 뚜렷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핀홀 포장은 저장 전기간동안 포장내에 압력 발생 없이 낮은 $O_2$ 농도와 높은 $CO_2$ 농도를 유지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품질변화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나 냄새유출과 외부로부터의 오염 문제의 해결을 필요로 한다.

  • PDF

가정용 소형 퇴비화 용기에 의한 부엌쓰레기의 분산식 퇴비화;IV. 이중벽 퇴비화 용기사용시 미생물상 변동 (Decentralized Composting of Garbage in a Small Composter for Dwelling House;IV. Changes in Microbial Flora in Laboratory Composting of the Household Garbage in a Samll Bin with the Double Layer Walls)

  • 이연;주우홍;서정윤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45-350
    • /
    • 1995
  • 주택용 소형 퇴비화용기(type 3과 type 4)를 제작하였다. 두 가지 용기의 구조는 다같이 용기의 벽을 이중으로 하였으며 type 4는 보온을 하였고 type 3은 보온을 하지 않았다. 실험실 실험을 통하여 퇴비화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미생물의 변동상이 조사되었다 1. 겨울철에는 중온성 세균이 감소하면, 고온성 세균이 증가하였으나 봄철과 여름철에는 퇴비화 초기 중온성 세균과 고온성 세균이 동시에 증가와 감소를 하는 경향이 있었다. 2. 겨울철에는 중온성 방선균과 고온성 방선균이 퇴비화 1주째 함께 감소하였다. 봄철에는 고온성 방선균은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나 여름철에는 고온성 방선균이 완만한 증가를 보였다. 3. 사상균에서도 겨울 1주 째 까지를 제외하고는 퇴비화 초기에 중온성 사상균과 고온성 사상균이 동시에 증가와 감소를 하였다. 4. 중온성 세균, 방선균, 사상균은 균수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봄철에만 사상균의 균수가 적었다. 5. 퇴비화 말기 중온성 균류가 겨울철, 여름철에는 감소하였으나 봄철에는 증가하였다.

  • PDF

토양 화학성과 미생물상이 도라지 근경부패병에 미치는 영향 (Rhizome Rot incidence of Platycodon grangiflorus as Influenced by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Microbial Flora)

  • 이영한;김종균;박상렬;최용조;조수정;윤한대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2-66
    • /
    • 2000
  • 도라지 재배지의 토양 화학성과 미생물상을 진주 6, 김해 7, 고성 3, 함안 6, 거창 4개소, 강원도 홍천 6개소 등 32개소를 대상으로 97년부터 98년까지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병율은 함안, 홍천지역이 각각 56.8, 52.5%로 높게 나타났고 고성, 진주지역이 30.0, 32.2%로 낮게 나타났다. 정상근과 장해근 표토의 K, EC 및 $NH_4-N$ 함량은 장해토양이 정상토양 보다 높고 Mn함량은 낮게 나타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뿌리의 CaO함량과 수량과는 $Y=20505X-367.9(R^2=0.129^{\ast})$의 정의상관이 있었고 정상근은 장해근에 비해 Fe, Zn 함량이 높은 반면 T-N, $P_2O_5$, $K_2O$ 함량은 낮은 경향을 나타내어 과다양분 흡수에 의한 도라지 근의 병발생 조건이 증가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정상재배지의 토양 세균, 방선균 및 세균/사상군 수치는 장해지보다 높은 반면 사상균의 밀도는 낮았다.

  • PDF

한국인 영유아 장내균총 정상화를 위한 프로바이오틱 유제품의 개발 (Development of Probiotic Dairy Product for the Normalization of Microbial Flora in Korean Infants)

  • 김민경;최아리;한기성;정석근;채현석;장애라;설국환;오미화;김동훈;함준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90-295
    • /
    • 2011
  • 유아의 장내 균총 정상화에 유용한 새로운 발효유제품을 개발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신생아 분변시료에서 2,200균주를 분리하고 348 균주의 16S rRNA를 분석한 결과, 유산균의 37.8%가 E. faecalis로 확인되었다. 가장 많은 유전자형을 나타낸 E. faecalis 중에서 MRS 액체배지에서 가장 생장이 우수한 E. faecalis KACC 91532를 선발하였다. 선발 유산균을 이용하여 전통식품인 타락죽을 발효하고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타락죽의 발효시 E. faecalis KACC 91532는 $6.14{\pm}0.19$에서 $7.36{\pm}0.13$ Log CFU/mL로 증가하여, 섭취량과 E. faecalis가 건강기능식품기준 및 규격에 고시되어 있는 점을 고려시 건강기능식품으로 판매가 가능하며, 특히 유아의 장내 균 총 정상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CR-DGGE를 통해 분석한 항암치료에 따른 장내 미생물 변화 (A PCR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Analysis of Intestinal Microbiota in Gastric Cancer Patients Taking Anticancer Agents)

  • 유선녕;안순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1호
    • /
    • pp.1290-1298
    • /
    • 2017
  • 인체의 장내에 존재하는 장내 미생물은 서로 공생 또는 길항 관계를 유지하며 우리 몸의 면역 방어 기전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항암제가 위암 환자의 장내 미생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하였다. 항암치료를 받는 환자의 분변에서 genomic DNA를 추출하고, 16S rDNA 유전자에 대한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를 수행하였다. 분석된 균주는 개체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대부분 사람의 장내에 살고 있는 normal flora로 동정되었다. 모든 분변에 존재하는 5 개 밴드의 서열 분석 결과에 의하면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Morganella morganii 및 Uncultured bacterium sp.가 나타났고, 항암제 처리 후 Sphingomonas paucimobilis, Lactobacillus gasseri, Parabacteroides distasonis 및 Enterobacter sp.가 증가하였다. 이 연구에서 probiotic으로 알려진 Bifidobacterium과 Lactobacillus를 특이적 PCR primer를 이용하여 동정한 결과, 항암제 투여로 인해 Bifidobacterium과 Lactobacillus의 개체군이 현저하게 줄어들어 diarrhea와 같은 부작용의 원인을 예상하게 하며, 장내 생태계의 주요 박테리아 집단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항암제 투여와 같이 시간의 흐름에 따른 균총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PCR-DGGE 분석법이 유용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Effects on microbial diversity of fermentation temperature (10℃ and 20℃), long-term storage at 5℃, and subsequent warming of corn silage

  • Zhou, Yiqin;Drouin, Pascal;Lafreniere, Carole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10호
    • /
    • pp.1528-1539
    • /
    • 2019
  • Objective: To evaluate the effects on microbial diversity and biochemical parameters of gradually increasing temperatures, from $5^{\circ}C$ to $25^{\circ}C$ on corn silage which was previously fermented at ambient or low temperature. Methods: Whole-plant corn silage was fermented in vacuum bag mini-silos at either $10^{\circ}C$ or $20^{\circ}C$ for two months and stored at $5^{\circ}C$ for two months. The mini-silos were then subjected to additional incubation from $5^{\circ}C$ to $25^{\circ}C$ in $5^{\circ}C$ increments. Bacterial and fungal diversity was assess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PCR-DGGE) profiling and biochemical analysis from mini-silos collected at each temperature. Results: A temperature of $10^{\circ}C$ during fermentation restricted silage fermentation compared to fermentation temperature of $20^{\circ}C$. As storage temperature increased from $5^{\circ}C$ to $25^{\circ}C$, little changes occurred in silages fermented at $20^{\circ}C$, in terms of most biochemical parameters as well as bacterial and fungal populations. However, a high number of enterobacteria and yeasts (4 to $5\;log_{10}$ colony forming unit/g fresh materials) were detected at $15^{\circ}C$ and above. PCR-DGGE profile showed that Candida humilis predominated the fungi flora. For silage fermented at $10^{\circ}C$, no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most silage characteristics when temperature was increased from $5^{\circ}C$ to $20^{\circ}C$. However, above $20^{\circ}C$, silage fermentation resumed as observed from the significantly increased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colonies, acetic acid content, and the rapid decline in pH and water-soluble carbohydrates concentration. DGGE results showed that Lactobacillus buchneri started to dominate the bacterial flora as temperature increased from $20^{\circ}C$ to $25^{\circ}C$. Conclusion: Temperature during fermentation as well as temperature during storage modulates microorganism population development and fermentation patterns. Silage fermented at $20^{\circ}C$ indicated that these silages should have lower aerobic stability at opening because of better survival of yeasts and enterobacter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