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hicillin-Resistant-Staphylococcus aureus(MRSA)

검색결과 310건 처리시간 0.029초

국내 의료 환경 중의 Methicillin 내성 Staphylococcus aureus의 모니터링에 관한 연구 (Monitoring of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from Medical Environment in Korea.)

  • 권영일;김태운;김해영;장윤희;곽효선;우건조;정윤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58-162
    • /
    • 2007
  • 의료환경에서 MRSA의 분포정도를 알아보고자 전국적으로 400병동 이상의 규모 13개 병원에 대해서 간호사, 의사, 보호자 및 환자의 손과 비강에서 MRSA를 모니터링 하였다. 검체 채취 대상인 의사, 간호사, 보호자, 환자 그리고 일반인으로부터 S. aureus 625균주를 분리하였다. 검출률을 보면 비강에서는 의사 40%, 간호사 23.8%, 보호자 32.3%, 환자 21.5%,일반인 27.5%의 검출률을 보였고, 손에서는 의사 54.6%, 간호사 18.5%, 보호자 46.2%, 환자 37.7%, 일반인에서 33.1%의 검출률을 나타내었다. 항생제 내성률을 살펴본 결과 분리된 S. aureus 625 균주 중 1가지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고 있는 균주는 585균주로 93.6%의 내성률을 나타내었다. 대체적으로 의료 환경에서 분리한 균이 일반인에게서 분리한 균보다 많은 종류의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4가지 계열의 서로 다른 항생제에 내성이 있는 균주인 다제 내성균은 112주(17.9%)가 검출되었다. 대체적으로 간호사와 환자의 비강과 손에서 분리된 균의 다제 내성률이 높게 나왔다. 의료인, 환자, 보호자 및 일반인의 비강에서 분리한 S. aureus 252 균주 중 penicillin과 oxacillin에 동시에 내성을 보인 MRSA로 49균주(19.4%)가 분리되었다. 구체적으로 보면 의사 11균주(16.7%), 간호사 13균주(32.5%), 보호자 6균주(11.1%), 환자에서 19균주 (48.7%)가 분리되었고 일반인의 비강에서는 분리되지 않았다. 의료인, 비 의료인 및 일반인의 손에서 분리한 S. aureus 373주 중 MRSA로 103균주(27.6%)가 분리되었다. 구체적으로 보면 의사 22균주(22.4%), 간호사 13균주(43.3%), 보호자 24균주(24.2%), 환자 31균주(41.9%), 일반인에서 13균주(18.1%)가 분리되었다. 따라서 의료 환경 내 의료인(의사, 간호사)에서는 비강보다 손에서 MRSA가 높은 비율로 검출되었으며 의사보다 간호사에서 MRSA가 많이 분리되었다. 비 의료인(보호자, 환자, 일반인)의 경우 일반인 보다 의료 환경 내에 있는 보호자와 환자에게서, 보호자보다는 환자에게서 MRSA가 많이 분리되었다. 이번에 실시한 의료 환경 중에서는 MRSA 152균주(24.3%)가 분리되어 축산이나 수산환경에서 보다 높은 분리율을 보였는데 이는 축산과 수산 환경에서보다 직접적으로 항생제를 많이 사용하고 또 항생제에 많이 노출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사료되었다. 전체적으로 의료인보다 비의료인 환자에서 보다 많은 MRSA가 분리되고 MIC는 대체적으로 비슷하거나 조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병실의 환경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Detection of MecA Gene in Clinical Isolates of Staphylococcus aureus by Multiplex-PCR,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MRSA

  • Lee, Hyean-Woo;Yoon, Joon-Ho;Sohn, Joon-Hyung;Lee, Kyoung-Ho;Yeh, Byung-Il;Park, Deok-Woo;Kim, Hyun-Won;Choi, Jong-Wh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3호
    • /
    • pp.354-359
    • /
    • 2003
  • Multiplex-PCR protocols were designed in order to make a rapid identification of MRSA. MecA, femB, and 165 rRNA genes were amplified for making a detection of MRSA. The incidence of MRSA in the clinical isolates of Staphylococcus aureus was examined by using a multiplex-PCR assay. The mecA gene was detected in 266 strains out of 336 clinical isolates of S. aureus, thus the incidence of MRSA was approximately 76.5%. The MRSAs of 247 strains (96.1%) showed resistance to more than eight species of the antimicrobial agents tested. The isolates of MRSA showed 27 different antimicrobial-resistant patterns. The results indicate that many different MRSA strains having high multidrug resistance are actually prevalent in Korea. Also, VISA was screened from the MRSA. Two strains were grown on the BHI agar plate supplemented with $8\;\mu\textrm{g}/ml$ of vancomycin at a frequency of $1/10^8$ colony forming units or higher.

2% 클로르헥시딘 침상목욕 간호가 중환자실 입원환자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과 혈류감염 발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Bed Baths with 2% Chlorhexidine on the Incidence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d Blood Stream Infection in Intensive Care Units)

  • 윤형숙;최은희;김진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838-848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2% 클로르헥시딘 침상목욕 간호가 중환자실 입원환자의 MRSA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발생률과 BSI (blood stream infection) 발생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치료적인 침상목욕 방법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에 소재한 1개 상급 종합병원의 내 외과계중환자실에 2010년 11월 1일부터 2011년 8월 15일까지 입실한 환자 전수로 하였으며, 실험군 188명, 대조군 199명으로 총 387명이었다. 2% 클로르헥시딘(MICROSHIELD $2^{(R)}$, 존슨앤존슨, 뉴질랜드) 침상목욕 간호를 실시한 실험군의 MRSA 발생률은 7.4%로 일반 비누와 액상 세정제를 사용하여 침상목욕 간호를 실시한 대조군의 MRSA 발생률 14.1%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36). 실험군의 재원일수 1,000일당 MRSA 발생건수는 9.32건으로 대조군의 재원일수 1,000일당 발생건수 15.44건보다 낮았다(p=.099). 2% 클로르헥시딘 침상목욕 간호를 실시한 실험군의 BSI 발생률은 0.5%로 일반 비누와 액상 세정제를 사용하여 침상목욕 간호를 실시한 대조군의 BSI 발생률 5.0%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11). 실험군의 재원일수 1,000일당 BSI 발생건수가 0.67건으로 대조군의 재원일수 1,000일당 발생건수 5.52건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p=.052). 따라서 2% 클로르헥시딘 침상목욕 간호를 치료적 간호중재로 간호실무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The Epidemiological Survey of Nasal Colonization of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Patients and Doctors

  • Seong Hee Kyung;Bae Young Soon;Kim Yong Ho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09-315
    • /
    • 2004
  •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s one of the most common nosocomial pathogens. Many hospitals are facing the problems which they have to use expensive antibiotics and suffer from long term hospital study of patients due to MRSA. This study is to survey MRSA nasal colonization of patients and doctors, and to investigate the mode of transmission of MRSA by pulsed field gel electrophoresis (PFGE) and then use these data to prevent further spread of cross infection and reduce nosocomial infection.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1 patients with MRSA infection at an university hospital in Busan from Sept. 1997 to Aug. 1998. Bacterial genotypes of MRSA strains isolated from nares and wound of patients (14 cases) and nares of doctors (8 cases) were analyzed by PFGE. Nasal cultures of 20 I patients for detecting nasal colonization of MRSA were performed and incidence rate of nasal colonization was 40% (80/201). Among 201 patients MRSA were acquired from hospital in 140 (70%) patients and were acquired from community 61 (30%) patients. Among 14 pairs of MRSA from colonized or infected sites and anterior nares, DNA patterns of 10 pairs (71.4%) were equal. 86% (12/14) MRSA strains isolated from patients and 12.5% (1/8) MRSA strains isolated from doctors show same pattern. DNA patterns were changed in some doctors after nasal oint. Treatment. It could be inferred that the most sources of MRSA in hospital are the endemically existing MRSA. Therefore, we believe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control MRSA nasal colonization of the patients and the related medical teams to reduce the medical cost and to improve the efficacy of medical cares.

  • PDF

Serratia sp. PDGS 120915가 생산하는 prodigiosin의 항 MRSA 특성에 관한 연구 (Anti-MRSA Properties of Prodigiosin from Serratia sp. PDGS 120915)

  • 지근호;정태혁;김영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9-36
    • /
    • 2015
  • 천연의 붉은 색소인 prodigiosin은 Serratia marcescens에 의해서 생산되며 이는 pyrrolylpyrromethane 골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색소는 그 분자가 가진 특성 때문에 넓은 범위에서 활용되고 있다. 또한 항암제, 면역억제제, 항진균제, 살조제 등 다양한 분야의 효과가 보고되소 있다.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는 세계적으로 가장 주요한 원내 감염균으로써, 미국에서 해마다 HIV로 사망하는 수보다 더 많은 사망률을 보이고 있다. 그러므로 MRSA에 대한 새로운 치료제의 개발이 매우 중요하며 급박한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증오염도를 가진 하천수로부터 Serratia sp. PDGS 120915를 분리하였으며 항 MRSA 활성을 가진 prodigiosin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HPLC를 이용하여 물질을 정제하였으며, 분리된 물질의 항 MRSA 활성을 확인하였다. Prodigiosin의 MRSA에 대한 최소억제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는 $32{\mu}g/ml$이었으며, 분할저해농도(Fractional inhibitory concentration; FIC)는 ampicillin과 penicillin에서 상승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티실린-내성 포도상구균에 대하여 Brazilein 혼합에 따른 항생제 Hygromycin-b의 상승효과 (Synergistic Effect of Brazilein in Combination with Hygromycin-b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 이영섭;이대영;안태진;이정훈;안영섭;차선우;문수현;강옥화;권동렬;한신희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504-509
    • /
    • 2014
  •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s a substantial contributor to morbidity and mortality. In search of a natural products capable of inhibiting this multidrug resistant bacteria, we have investigat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brazilein (BRZ) isolated from Caesalpinia sappan L. (Leguminosae) against 8 different strains of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New antimicrobial activity was found using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s), broth dilution as well as checkerboard method. Against the 8 strains,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of BRZ were in the range of $62.5-500{\mu}g/mL$. From those results we performed the checkerboard test to determine the synergism of BRZ in combination with Hygromycin-b (HgB) against 4 strains. The combined activity of BRZ and HgB against 4 strains resulted in a fractional inhibitory concentrations index (FICI) ranging from 0.18-0.5. The effect of BRZ with HgB was found to be synergistic. We found that BRZ reduced the MICs of HgB. BRZ and HgB could lead to the development of new combination antibiotics against MRSA infection.

포도상 구균성 열상 피부 증후군의 임상적 고찰 : Methicillin 내성과 감수성 Staphylococcus aureus 예의 비교 (Staphylococcal Scalded Skin Syndrome in Children : Comparison of the Clinical Features of That Isolated Methicillin-resistant and Methicillin-sensitive Staphylococcus aureus)

  • 이성훈;최우경;정창현;정철주;이동진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1권2호
    • /
    • pp.183-191
    • /
    • 2004
  • 목 적 : 최근 항생제 내성에 의한 MRSA, 특히 지역 사회 획득 MRSA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에서 MRSA에 의한 SSSS 환아들이 증가될 것으로 예상이 된다. 이에 저자들은 MRSA가 검출된 SSSS 환아의 임상적 특징과 MSSA가 검출된 SSSS 환아의 임상적 특징을 비교해 보고자 본 조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9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울산동 강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여 SSSS으로 진단 받고 치료한 36례를 대상으로 임상 증상, 세균 배양 검사 소견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MRSA가 검출된 군과 MSSA가 검출된 군과의 임상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1) 36례의 SSSS 환아의 선행감염부위의 배양검사 결과 MRSA가 검출된 경우가 8례 MSSA가 검출된 경우가 11례, 균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가 17례였다. 2) 두 군 모두 2세에서 5세 사이가 가장 많았다. 3) SSSS의 임상 형태를 보면 MRSA군에서는 전신형이 7례, 부전형이 1례 MSSA군에서는 전신형이 5례, 부전형이 6례로서 MRSA군에서 전신형이 더 많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4) SSSS 환아는 증가추세에 있었으며 MRSA 검출 환아는 2003년에 6례로서 대부분 발생하였다. 계절별 분포는 두 군 모두 가을과 겨울에 많았다. 5) 침범된 피부 병변 부위는 얼굴이 전례에서 침범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주로 굴측부에 침범되었다. 두 군 모두 동일한 양상을 보였다. 6) 피부와 인후부 배양에서 검출률이 높았으며 혈액 배양에서는 1례도 검출되지 않았다. 7) 급성상기도 감염과 결막염이 각각 10례로서 가장 흔한 선행감염질환이었는데 두 군과의 차이는 없었다. 8) MRSA가 검출된 SSSS 환아 8명 중 4명에선 치료 시작시 선택된 항생제에 충분히 호전되었다. 9) 평균 입원기간은 $7.4{\pm}3.0$일이었으며 MRSA군이 $9.1{\pm}3.8$일, MSSA군이 $7.6{\pm}3.0$일로서 MRSA군에서 입원기간이 약간 길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결 론 : MRSA가 검출된 SSSS의 환아의 임상증상은 전신형이 부전형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다소 많았던 것 이외는 MSSA가 검출된 SSSS와 특별한 차이는 없었다.

  • PDF

인천지역에서 분리된 황색포도상구균의 분자생물학적 특성 분석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Clinically Isolated Staphylococcus aureus)

  • 오보영;김정희;공용우;이제만;고종명;김용희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05-310
    • /
    • 2008
  • 황색포도상구균은 주요한 기회 감염균으로, 최근 여러 가지 항생제에 내성을 지닌 메치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이 늘어나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천지역관내 설사환자에서 분리한 장독소 양성인 S. aureus를 대상으로 항생제 감수성시험 및 PCR을 이용한 tsst, eta, etb mecA 유전자 검사를 실시하여 생물학적인 특성을 조사하였고, tsst 양성인 MRSA를 대상으로 Pulse Field Gel Electrophoresis (PFGE)에 의한 유전자형을 분석함으로서 경시적인 분자역학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2,281건의 대변에서 173주의 장독소 양성인 S. aureus를 분리하였으며 A독소와 C독소가 각각 39%, 5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생제 감수성 결과 장독소 양성주는 모두 MRSA였으며, 이중 51%가 tsst 양성인 것으로 나타났고 eta, etb 유전자는 검출되지 않았다. mecA 내성유전자는 MRSA 균주의 97%가 양성으로 나타났다. tsst 양성인 MRSA 88주를 대상으로 PFGE한 결과, 10개의 유형으로 나뉘었으며 그중 A형, H형 및 F형 이 각각 58%, 10%, 9%로 주요한 형으로 나타났다.

발효된 오징어젓갈에서 분리된 Weisella sp. 균주의 특성 분석 및 쌀발효물의 유해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검증 (Characterization of Weissella sp. Strains Isolated from Fermented Squid and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Fermented Rice against Harmful Bacteria)

  • 여고운;이동근;김주희;박민주;김진선;김육용;유기환;최용재;이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06-511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식품에서 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 활성을 보이는 유산균을 분리하고 특성을 파악한 후에, 분리된 유산균을 이용한 쌀 발효물의 항균 활성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오징어 젓갈에서 선별된 3종의 균주는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기반으로 Weissella sp. ISF-1, ISF-2, ISF-3으로 명명하였다. 이들은 장내 유해세균들인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및 MRSA에 대해 우수한 항균 활성을 보였다. 이들의 생장은 0-5% (w/v) NaCl에서 우수하였고 7% (w/v) NaCl까지 비교적 양호하였다. 초기 pH 8이 생육에 최적이었으며, pH 6, 7, 9에서도 우수한 생육을 보였다. 분리 된 Weissella sp. ISF-1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한 쌀발효 동결건조물들도 B. cereus, S. aureus 및 MRSA에 대해 항균 활성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로 획득한 균주들은 프로바이오틱스 및 안전한 식품 이용을 위한 생물 보존제 개발이나 MRSA 치료에 유용할 수 있고, 쌀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새로운 기능의 제품개발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 Peptide Antibiotic AMRSA1 Active against Multidrug-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Produced by Streptomyces sp. HW-003

  • Lee, Hyeon-Woo;Choi, Jong-Whan;Kim, Hyun-Won;Han, Dong-Pyou;Shin, Woon-Seob;Yi, Dong-Heu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7권6호
    • /
    • pp.402-408
    • /
    • 1997
  • The antibiotic-producing strain HW-003 was screened from soil and found to be effective against the multidrug-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The spore chain of HW-003 was retinaculiaperti, and the spore surface was spiny. Strain HW-003 has a LL-diaminopimelic acid isoform in the cell wall. The aerial mass color of the strain was gray, and the reverse side was yellow-brown. The strain produced melanin, but did not produce soluble pigments. According to the Taxon program, HW-003 showed best match with Streptomyces cyaneus. Antibiotic production reached a maximum after 72-h cultivation. The antibiotic was purified with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octadecylsilyl column chromatography, and HPLC. The purified antibiotic, AMRSA1, showed strong inhibitory activity against multidrug-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d gram-positive bacteria. The molecular weight of AMRSA1 was about 1, 100. AMRSA1 was a peptide antibiotic containing alanine and serin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