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morial facilities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36초

관람자 체험을 고려한 메모리얼의 공간 표현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Representation of Memorials Considering Participants' Experience)

  • 문은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372-380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xamples of memorials in which participants can communicate and interact. Memorials as an urban public space provide various information and experiences to the visi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ypes of participants' experie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memorial space. The 9 examples of the memorials are selected and analyzed by the experience type of participants. This study summarizes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representation of memorials as follow; first, the interactions and communications of participants are main considerations in designing memorials. This study defines three types of participants' experience in memorials as educational, emotional and daily urban experiences. Second, the memorial space providing educational experience has narrative characteristics which are explanatory, representational, hierarchical and figurative. Memorials represent historical events and individuals in figurative ways. Participants in memorials learn the event, mourn for the dead and cure the grief through walking the guided route. Third, the memorial space providing emotional experience is indeterminate and open-ended characteristics which are contemplative, symbolic, and abstractive. While participants try to find the way to walk through and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abstract forms by themselves, they interface the event and the victims in private and individual ways. Fourth, the memorial space providing daily urban experience is the familiar urban facilities embedded remembrance such as memorial square, bridge and fountain. Symbolism of memorials and effectiveness of urban facilities are engaged into the memorial design. They have functional, participatory, interactive and recreational characteristics. People experience the memorials involuntarily and casually during their daily lives. The memorials with urban facilities can be related to the present and the future of the city as well as the past of the city.

  • PDF

판교 신도시내의 추모공원 입지선정 분석 (Analysis on location selection of the Memorial Park at Pangyo)

  • 이상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412-1417
    • /
    • 2012
  • 본 논문은 판교 신도시내의 새로운 추모시설을 도입함으로써, 차후의 신도시의 계획컨셉과 복지정책의 전환을 가능케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추진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판교신도시내의 근린공원 10개 중, 최종 1개의 최적부지를 선정하기 위해 추모공원 입지가 가능한 근린공원들을 분석하여 선정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추모공원의 혐오시설로서의 특성들을 고려하고, 자연적 요소 및 기술적 요소 등에 대한 기준들을 검토하였으며, 전문가의견 설문을 통해 가중치분석의 틀을 객관화하였으며, 신도시내의 공원화 가능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판교라는 신도시의 특징 등 제반 여건이 종합적으로 검토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추모공원의 입지선정과정을 보여줌으로써, 다른 여타의 추모공원의 입지분석에 기초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서울 정릉(貞陵) 재실(齋室)에 대한 소고 (Study on the Memorial Structure(齋室) in Front of Jeongreung Royal Tomb(貞陵) in Seoul)

  • 최득준
    • 건축역사연구
    • /
    • 제22권2호
    • /
    • pp.21-30
    • /
    • 2013
  • This study is related to excavation from ruins the memorial structure within the Jeongreung royal tomb. There are experimental assertion on the basis of results of the excavation, historical records. The location of the memorial structure is identified in picture of Sunwonbogam(선원보감), records of Chunkwantongho(春官通考). The memorial structure have 6 rooms where lay in 250 steps(步) from the south of Hongjeonmun gate, lotus pond lay in southeast of the structure recorded on Chunkwantongho that's guide book to manners. It's matched in the location as result of excavation. The building site consists of main house(윗채), outhouse(아래채) that's stationed in stepped. It seems that main house as the memorial structure have 6 rooms. It's used as outhouse for facilities attached to the main. It's characterized the memorial structure within the Jeongreung royal tomb that's stationed main house, outhouse in stepped it using natural ground. It's estimated that it's tried to conservation for building site, fence etc. in next several time. With regard to constructing time of the structure, traces involved to first construction is simple: 2 chimneys in flower bed, fence, a part of stone elevation, drains by using rectangular stone. It shows that the building site had been reconstructed or renovated during Gho-jong King 37s year of the Choson dynasty(A.D.1900). It seems that the memorial structure during approximately 300 years in existence from Hyeon-jong King 10s year of the Choson dynasty(A.D.1669) to the late 1960s.

청도새마을운동 기념공원 기본계획 (A Study on the Landscape plan to the Cheongdo Saemaeul Movement Memorial Park)

  • 권진욱;박찬용
    • 농촌계획
    • /
    • 제20권3호
    • /
    • pp.179-189
    • /
    • 2014
  • The Saemaeul Movement, which is the representative national campaign of Korea aimed at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has drawn a great deal of attention from home and abroad and formed an element of Korea's national brand since 2000. Accordingl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constructing a memorial park in Shindo Village, Cheongdo County, North Kyoungsang Province, which is a home to the Saemaeul Movement. As the Saemaeul Movement is benchmarked by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today, this research aims to communicate the spirit and social value of the movement and disseminate its effects of local community development in rural areas through the construction of a memorial park. In this study, the design motive of the memorial park was conceived through the historical review and case studies of the Saemaeul Movement. In parallel, theoretical study was also conducted on design techniques as the basis of this research.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a technical articl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several phases. In the first phase, the conditions of the site where the park construction was planned were analyzed and the direction of its development was set. In the second phase, the main theme and the basic principles of planning were established, and the contents of the park construction project were devised in detail. In the last phase, a comprehensive plan was established, including a space layout to accommodate activities, facilities and programs to be introduced to the park. The park construction site ($106,000m^2$) was divided into four zones (memorial zone, historical theme park, education zone and experience zone) based on circulation planning aimed at creating memorial space, and was linked to eco-friendly ecological space in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features. At a time when the Saemaeul Movement is being propagated across the world,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help create a place for its memorial and play a pivotal role to boost international movements aimed at promoting co-prosperity across the global village. It will also bear significance as an example of theme-based park construction in a rural area and the invigoration of a local community.

A Study on the Birth of a Holy Land and the Role of Local Residents: The failure to establish a memorial facility for the victims of the Kyoto Animation's arson attack in 2019

  • Lee, Jeonghoon
    • Journal of East-Asian Urban History
    • /
    • 제2권2호
    • /
    • pp.272-296
    • /
    • 2020
  • The study will first pay attention to the conflict between Kyoto Animation Co. and residents over establishing memorial facilities after the "Kyoto Animation 1st Studio arson and Murder Incident," which occurred in Kyoto, Japan on the morning of July 18, 2019. And through on-site coverage and review of related TV program "Summer of Prayer, Voice of the Holy Land" aired by Mainichi Broadcasting System on August 17, 2019. We reviewed what this conflict means by Japanese animation fans to set a "Holy Land" of specific regions and the resulting content tourism business model. The conflict between Kyoto Animation Co. and the residents resulted in a lengthy confrontation which did not get solved until late July 2020. It proves the cooperation of residents is essential for the success of content tourism, especially the cooperation model for development of Holy Land.

나옹선사 기념관지구 설계 (Design of Priest Naong's Memorial Area)

  • 홍광표;허상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82-91
    • /
    • 2002
  • The site for this plan is located at the foot of Mt. Unseo at Galcheon-ri, Changsu-myon, Youngdeok-gun. On the site stands Jangyutsa Temple, built by priest Naong in 1355 (in the 4th year of King Gongmin during Koryo Kingdom). The purpose of this plan is to widely publicize and commemorate priest Naong by designing a district centering around the temple. The basic directions of desig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 special Buddhists'pilgrimage and sight-seeing district aimed at commemorating priest Naong will be developed to preserve the historic figure of priest Naong. To this end, a facility will be built to collect, preserve and exhibit materials related with the great priest in order to preserve his legacy and enhance the image of the space. 2) Special fractions which are rare in other districts will be introduced to create an image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memorial districts or sight-seeing zones. To this end, the district will be divided into the Jangyuksa Temple area proper and a district memorial area, each of which will have its own unique characteristics with different functions. On the other hand, the two different areas will be related with each other and complemented by each other. Such planning techniques as articulation and superimposition will be used for a synergistic effect. 3) The plan will accommodate various programs centering around historical and cultural assets, and at the same time will allow tourists to have various experiences and access to the natural environment as well as to a variety of events. 4) In order to plan such landscapes as shown in the traditional mountain temples, the traditional tectonic forms will be used for the facilities. It is expected that the district surrounding Jangyuksa Temple will become a popular sight-seeing destination, and with new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s will become a valuable resource to widely publicize the culture of Youngdeok-gun.

6.25전쟁 기념공간에 나타난 기념적 표현 (A Study on Monumental Expression of Korean War Memorials in Korea)

  • 이상석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98-108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있는 6 25전쟁 기념공간에 나타난 기념적 표현을 분석하는 것으로 기념공간에서 구현되는 기념의 내용, 공간적 특성, 도입요소, 조각 및 건축물의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고,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하여 6 25전쟁 기념공간에 나타난 기념문화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한국에 있는 6 25전쟁과 관련된 현충시설 659개를 1차 검색하여 부지가 전적지이거나 전쟁과 관련된 장소성이 있으며, 외부공간이 조성된 17개소를 선정하고 현장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설계도면, 사진, 기사 등 관련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념내용에 있어서는 희생자를 추모하고 전공을 기리며, 6 25전쟁의 경험 및 교육을 통하여 호국정신을 고양하는데 초점이 두어졌으며, 특히 전적지에 위치한 기념공간에서 이러한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2. 부지의 입지여건과 전통적 공간인식에 따른 공간적 위계를 고려하였으며, 기념공간에서 요구되는 엄숙함을 얻기 위해 축적인 구성을 하고, 추모감과 전승감을 얻기 위해 중심축 상단에 기념탑이나 전시관과 같은 상징적 요소를 위치시켜 공간을 구성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3. 희생자를 추모하고 전공을 기리기 위한 기념비와 기념탑, 전쟁의 경험 및 교육을 통해 호국정신을 고양하기 위한 기념전시관 및 야외무기전시장, 그리고 참전국가의 명예를 고양하기 위한 국기가 주요한 요소로 도입되었다. 4. 영웅적인 전투장면을 묘사한 근대적 조각이 많았으나 양구전쟁기념관 및 유엔기념공원의 '추모명비'에서는 상징적이거나 추상적인 표현을 시도하는 현대적 기념공간의 경향을 보여주었다. 5. 기념문화에 있어서도 애국주의 및 이데올로기가 강조되고, 기념공간에 대한 관습적인 인식이 강하게 드러났으며, 일부의 조각가 및 설계가만 기념공간의 설계에 참여하였다. 향후 6 25전쟁 기념공간에 관한 미니멀리즘, 해체주의, 탈근대주의 등의 설계양식론 관점과 다른 전쟁메모리얼과 비교를 통한 통시적 관점(通時的 觀點)의 연구가 필요하다.

중심상업지역 근린공원의 공간적 입지특성과 이용행태 분석 (An Analysis of 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User Behavior of Neighborhood Parks in Central Business District)

  • 최철현;우영숙;정성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5-47
    • /
    • 2015
  • 상업지역 내에 위치한 공원은 이용행태가 일반적인 근린공원과 다를 수 있으며, 인근 상업시설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다. 본 논문은 중심상업지역에 위치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주변 현황과 여건 변화에 의해 나타나는 공원 이용행태의 특성을 규명하여 추후 공원 조성이나 재정비 시 필요한 개선점 및 보완사항을 제시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과 2.28기념 중앙공원은 인근 지역의 지가가 높고 노후화된 건축물이 적은 반면, 경상감영공원 주변 지역은 지가의 하락과 함께 상업시설이 전반적으로 쇠퇴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용자의 연령대는 젊은 층보다 노년층이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원의 이용목적에 있어 세 공원 모두 공원 내 시설을 직접 이용하기보다는 주변 상업시설 이용과 관련된 간접적인 형태가 많았으며, 공원이용자의 계층적 특성이 주변 상업시설 이용자와 유사한 특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공원 이용만족도를 결정하는 요인은 각 공원의 특성 및 이용계층의 차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에 공원 조성 및 정비에 있어 공원 외부 환경의 변화에 따른 이용계층의 영향을 필히 고려한 계획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전쟁 군사유적의 보호 및 활용에 관한 연구 - 중부접경지역(연천군, 철원군, 화천군)을 중심으로 -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Military Remains during the Korean War - Focused on the Central Border of DMZ(Yeoncheon, Cheorwon, and Hwacheon-gun) -)

  • 조태환;김태영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47-56
    • /
    • 2018
  •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military remains of Korean War(1950~53) focused on Yeonchen, Cheorwon, and Hwacheon-gun in the central border of DMZ. The Yeoncheon-gun is installing 'Yeolsoe' and 'Taepung' observatory in the frontline battlefield adjacent to Southern Limit Line(SLL), and not only protects many military remains including war memorial and crematory facilities of UN troops, but also utilizes them as active educational places. The Cheorwon-gun is actively making known 'Baengmagoji memorial, 'Labor party office' and other buildings adjacent to 'Tourist security DMZ', but needs to set up many monuments around battlefields of 'Gimhwa' and 'Daeseongsan' adjacent to 'Eco-peace park DMZ'. With the battlefield of 'Paroho' as the center, which our troops made brilliant military gains during the war, the Hwacheon-gun protects and informs military remains such as '643 and 490 battlefields', 'Kkeomeok and Guman bridge'. Developing a network for military remains in connection with the annual local festivals, the experience tour and security will be available at these places.

자연장의 유형별 시각적 이미지 분석 (Visual Image Analysis on the Types of Natural Funeral)

  • 김철재;이시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75-88
    • /
    • 2014
  • 본 연구는 자연장의 유형 분류를 통해 유형별 시각적 이미지를 분석하고, 그 선호 이미지에 대한 영향을 밝히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시민 549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이중에 장례전문가 224명이 포함돼 있다. 서울, 대전, 전주,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일반인이 주로 설문에 응답하였다. 실증적 분석을 위하여 자연장지의 시설을 장지시설과 추모시설로 나누었으며, 각각의 시설을 5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이들 중 장지시설을 수목형, 정원형, 화초형, 잔디형, 산골형으로 분류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장지시설에서는 물리적 요인, 외형적 요인, 균형적 요인이 도출되었다. 둘째, 가장 선호하는 장지시설 유형은 수목형으로 나왔고, 그 다음으로 화초형, 정원형, 잔디형, 산골형의 순서로 나왔다. 셋째, 각 유형별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 이미지 요인의 평균값을 기본으로 지각도로 그려 제시하였다. 넷째, 자연장의 일반적 특성별 이미지 요인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지 검증을 한 결과, 장지시설의 경우 전체적으로 물리적 요인에서는 성별, 연령별, 학력별, 유형별, 외형적 요인에서는 성별, 종교별, 집단별, 유형별, 균형적 요인에서는 성별, 학력별, 유형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성별로 보면 남성이 여성보다 각 요인에서 평가가 높게 나왔고, 연령별로 보면 물리적 요인에서 전반적으로 나이가 많을수록 평가가 높아지는 경향에 대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각 시설에서 도출된 이미지 요인이 해당시설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장지시설에서는 5가지 유형 모두 물리적 요인, 외형적 요인, 균형적 요인이 시설 선호도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왔다. 마지막으로 조경시설의 이미지 요인이 그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반인과 전문가 집단 사이에 그 차이가 있는지 집단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장지시설의 경우, 정원형에서 외형적 요인에서 유의적인 정(+)의 조절효과가 있었고, 기타 이미지 요인에서는 유의적인 조절효과를 찾을 수가 없었다. 또한 본 연구는 자연장지의 장지시설의 형태별 유형을 분류함으로써 아직 태동기에 있는 자연장이 아직은 학술적으로 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발전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른 한 편으로 자연장지 표준 경관 이미지 분석에 대한 조사를 통해, 전통적 장사 이념을 지켜 나가며 새로운 미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장사문화를 발전시켜 나감으로서 국민들이 자연장을 선택할 수 있는 합리적 방향을 제시했다는 데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