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mbrane-pore formation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3초

용존산소 제거용 polyolefin계 중공사 분리막의 제조(I) - 방사조건이 중공사분리막의 pore형성에 미치는 영향 - (Preparation of polylefin hollow fiber membrane for removal of dissolved oxygen(I) - Effect of spinning condition of formation of micropores -)

  • 김승일;선향;이의소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0년도 봄 한국섬유공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Proceedings of the Korean Textile Conference)
    • /
    • pp.41-44
    • /
    • 2000
  • PDF

$PES-TiO_2$ 복합막의 제조 및 막 특성 평가 (Preparation of $PES-TiO_2$ Hybrid Membranes and Evaluation of Membrane Properties)

  • 염경호;이미선
    • 멤브레인
    • /
    • 제17권3호
    • /
    • pp.219-232
    • /
    • 2007
  • 침지침강 상변환법으로 폴리에테르설폰$(PES)-TiO_2$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14 wt% 및 20 wt%의 PES/NMP 기준 고분자 용액에 $TiO_2$ 나노입자를 PES에 대해 $0{\sim}60$ wt%로 첨가량을 달리하여 복합막 제조에 사용될 캐스팅 용액을 준비하였다. 제조된 $PES-TiO_2$ 복합막의 막 특성과 몰폴로지를 $TiO_2$ 첨가량에 따른 캐스팅 용액의 점도, coagulation value, 광투과도와 복합막의 인장강도, 세공크기 및 접촉각, 표면 및 단면 SEM 사진, BSA 용액의 한외여과 실험을 통해 규명하였다. 캐스팅 용액에 첨가시킨 $TiO_2$ 입자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도는 증가하고 coagulation value는 낮아져 캐스팅 용액의 열역학적 불안정성이 증가하였다. $TiO_2$ 입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1) 순간분리의 침강형식을 유지하면서 침강속도가 빨라졌으며, 2) 순수투과량, 세공크기 및 압밀화 안정성이 증가하며, 3) 인장강도와 접촉각은 감소하였다. $PES-TiO_2$ 복합막의 BSA 용액에 대한 전량여과식 한외여과 실험결과 $TiO_2$ 입자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막의 친수화 특성이 증가하여 투과플럭스가 증가하였으며, $TiO_2$가 첨가되지 않은 막과 비교하여 최대 7배까지 투과 플럭스가 향상되었다.

다공성 알루미나 박막의 나노 스케일 구조 제어 (Anodic Oxide Membrane Formation of Hexagonal Pore Arrarys on Aluminium)

  • 정경한;신훈규;권영수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3 No.2
    • /
    • pp.830-833
    • /
    • 2002
  • 최근 나노 구조 (nano structure)를 만들기 위한 시도 중 하나로서 스스로 조직화(self organization)하여 나노 구조를 형성하는 물질을 나노 소자 제작을 위한 형틀 (template)로 이용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물질로서 주목을 받고있는 것 중 하나가 전해질 용액에서 알루미늄을 양극산화(anodization) 시켰을 때 형성되는 다공성 알루미나 박막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 순도 알루미늄을 기계적으로 연마(mechanical polishing)하고 공기 분위기에서 어닐링 (annealing)하여 알루미늄을 재결정화(recrystallization) 시키고 인가 전압이 40 V인 정 전압하에서 0.3 M의 수산(oxalic acid)을 전해질로 사용하면서 양극산화를 수행하여 평균 직경이 65 nm인 고도로 배열된 육방밀집구조의 나노 다공성 박막을 제작하였다. 또한 같은 방향의 육방밀집 배열은 크기가 수 ${\mu}m$인 영역(grain)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평균적인 pore의 밀도는 $1.1{\times}10^{10}/cm^2$였다.

  • PDF

폴리카프로락톤을 이용한 3차원 다공성 지지체 제조 및 특성 분석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3-D porous scaffold by polycaprolactone)

  • 김진태;방중완;현창용;최효정;김태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58-65
    • /
    • 2016
  • 본 연구는 조직공학용 지지체로 사용될 막을 개발하기 위한 초도 연구 수행으로, 염화나트륨(NaCl)을 기공형성체로 혼합한 폴리카프로락톤(PCL)용액을 유리 캐스팅판에 분주한 후 필름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다공성 PCL필름을 성형하였다. 성형된 필름은 건조 후 증류수에 침지시켜 NaCl을 추출하여 최종 멤브레인형 다공성 지지체를 제조하였다. 3차원 다공망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NaCl을 기공형성체로 이용하였으며 $4^{\circ}C$, 실온, $40^{\circ}C$의 세 가지 건조조건에 따른 다공망의 형성과 형태를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관찰 하였으며 기초적인 안전성 확보를 위한 세포독성평가를 시행하였다. 세 가지의 건조조건별 결과에서는 실온 건조조건에서 거대기공과 미세기공이 혼재된 3차원 다공망이 우수하게 형성된 것이 관찰되었으며 세포독성 시험결과 ISO10993-5 규격의 세포독성 판단기준에 따라 grade 2(mildly cytotoxic)로 나타난바 생체용으로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멤브레인형 다공성 지지체 제조에 건조조건이 3차원 다공망의 형성 및 거대기공과 미세기공이 함께 형성되는 것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결과는 다공성 멤브레인 지지체의 분해성 조절 및 약물 담지 효과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에서 다공도의 조절에 대한 기초적인 공정이 될 수 있다.

약물함유 생체분해성 차폐막의 유도조직재생에 관한 연구 (Drug loaded biodegradable membranes for guided tissue regeneration)

  • 김동균;이승진;정종평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5권2호
    • /
    • pp.192-209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drug-loaded biodegradable membranes for guided tissue regeneration(GTR). The membranes were made by coating mesh of polyglycolic acid(PGA) with polylactic acid(PLA) containing 10% flurbiprofen or tetracycline. The thickness of membrane was $150{\pm}30{\mu}m$, and the pore size of surface was about $8{\mu}m$ in diameter. The release of drugs from the membrane was measured in vitro. Cytotoxity test for the membrane was performed by gingival fibroblast cell culture, and the tissue response was observed after implant of membrane into the dorsal skin of the rat for 8 wks. Ability to guided tissue regeneration of membranes were tested by measuring new bone in the calvarial defects(5mm in diameter) of the rat for 5 weeks. The amount of flurbiprofen and tetracycline released from membrane were about 30-60% during 7 days. Minimal cytotoxity was observed in the membrane except 20% drug containing membrane. In histologic finding of rat dorsal skin, many inflammatory cells were observed around e-PTFE, polyglactin 910 and PLAPGA membrane after 1 or 2 weeks. PLA-PGA membrane was perforated by connective tissue after 4 or 6 weeks, and divided as a segment at 8 weeks. In bone regeneration guiding potential test, tetracycline loaded membrane was most effective (p

  • PDF

Bacteriocins: Assay, Biochemistry, and Mode of Action

  • Paik, Hyun-Do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권2호
    • /
    • pp.269-277
    • /
    • 1996
  • Bacteriocins are proteins produced by a heterogeneous group of bacteria that have a bactericidal effect on closely related organisms. Recently, bacteriocins from lactic acid bacteria and other food-related organisms have been the subject of much research because of their potential as food biopreservatives. Various modifications of agar plate diffusion assays are the most widely used methods even though the limitations of such assays are generally recognized. The ability to obtain a concentrated crude preparation on bacteriocin by optimizing production parameters greatly simplifies recovery of bacteriocin on subsequent purification steps. Some studies performed to optimize bacteriocins have been purified to homogeneity, and the amino acid sequences of many of these purified bacteriocins have been determined. Obtaining characterization data on purified bacteriocin will minimize the risk of overlapping of research and confusion on identification of these compounds. Several me-chanisms leading to cell death have been hypothesized. These include depletion of the proton motive force(PMF) across the cell membrane: RNase and/or DNase activity within the sensitive cell; and pore formation and lysis of sensitive cells at the cell membrane.

  • PDF

Identification of Inhibitors Against BAK Pore Formation using an Improved in vitro Assay System

  • Song, Seong-Soo;Lee, Won-Kyu;Aluvila, Sreevidya;Oh, Kyoung Joon;Yu, Yeon Gyu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5권2호
    • /
    • pp.419-424
    • /
    • 2014
  • The pro-apoptotic BCL-2 family protein BID activates BAK and/or BAX, which form oligomeric pores in the mitochondrial outer membrane. This results in the release of cytochrome c into the cytoplasm, initiating the apoptotic cascade. Here, we utilized liposomes encapsulating sulfo-rhodamine at a controlled temperature to improve upon a previously reported assay system with enhanced sensitivity and specificity for measuring membrane permeabilization by BID-dependent BAK activation. BAK activation was inhibited by BCL-$X_L$ protein but not by a mutant protein with impaired anti-apoptotic activity. With the assay system, we screened a chemical library and identified several compounds including trifluoperazine, a mitochondrial apoptosis-induced channel blocker. It inhibited BAK activation by direct binding to BAK and blocking the oligomerization of BAK.

가시광선 조사에 의한 이미지 추출법을 이용한 막 오염 모니터링 연구 (Study for Membrane Fouling Monitering Using Image Extraction by Visible Light Irradiation)

  • 박아름이;서미래;남승은;김범식;박호범;김인철;박유인
    • 멤브레인
    • /
    • 제21권2호
    • /
    • pp.171-176
    • /
    • 2011
  • 분리막을 이용한 수처리 공정에서 유입 수에 함유된 부유물질이나 기타 오염물질이 막 표면 또는 내부에 축적 흡착 등의 막 오염현상으로 인해 막 성능 감소와 함께 막 분리 공정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막 표면에서의 막 오염현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술을 연구하였다. 투명한 오염물질에 의한 분리막 표면 오염을 측정하기 위해 막 표면에 360 nm 파장의 가시광선을 조사하여 이미지를 R. G. B 값으로 추출하여 막의 오염현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였다. 추출된 이미지 중 400~499 nm 파장영역인 B 값이 가장 강도가 강하게 나타났다. 막 오염정도의 변화를 이미지의 강도 차이로 관찰함으로써 실시간 분석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가압식 분리막 여과에서 무기입자의 존재가 유기파울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organic Particles on Organic Fouling in Pressurized Membrane Filtration)

  • 장호석;김정환
    • 멤브레인
    • /
    • 제30권2호
    • /
    • pp.131-13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가압식 분리막 여과에서 무기입자의 존재가 유기파울링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유기파울링의 유발을 위해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SA)를 이용한 정밀여과 실험에서 무기 실리카(SiO2) 입자의 존재 유무와 상관없이 분리막 파울링은 여과초기 완전공극막힘에서 여과시간이 경과할수록 케이크 형성에 의해 주로 지배되었다. 그러나 무기입자의 존재 시 정압여과에서 알긴산나트륨 파울링 케이크 비저항값과 압축성은 상대적으로 낮게 관찰되었고 이로 인해 낮은 파울링 속도가 관찰되었다. 동일한 시료를 이용한 정량여과 실험을 수행한 결과 정압여과에 비해 정량여과에서 여과초기 공극막힘현상 및 파울링 속도는 더욱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현상은 파울링층이 지닌 압축성으로 막간차압의 증가 시 케이크 비저항값이 함께 증가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알긴산나트륨과 실리카 입자가 함께 존재 시 알긴산나트륨이 단독으로 존재하는 것보다 수리학적 세정을 통한 파울링 제거효과는 더욱 좋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Examination of Cytopathic Effect and Apoptosis in Listeria monocytogenes-Infected Hybridoma B-Lymphocyte (Ped-2E9) Line In Vitro

  • Bhunia, Arun-Kumar;Feng, Xi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398-403
    • /
    • 1999
  • In our previous studies, we reported that hybridoma B-lymphocytes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virulence of Listeria species in an in vitro cytotoxicity assay. Here, we examined the cytopathic effect, i.e., membrane damage and the nature of cell death induced by Listeria monocytogenes on murine hybridoma B-lymphocytes (Ped-2E9). Membrane damage was assessed by microscopic analyses and by measuring the release of intracellular alkaline phosphatase(AP) and lactate dehydrogenase (LDH). Cell death was determined by DNA fragmentation analyses using agarose gel electrophoresis. Infection by listeriolysin O (LLO)-producing L. monocytogenes strains induced substantial amounts of AP and LDH release from Ped-2E9 hybridoma B-cells, suggesting severe membrane damage in these cells, while an LLO-negative L. monocytogenes mutant strain had no effect. An LLO-producing recombinant L. innocua ($prifA^+hly^+$) strain also induced high AP and LDH release and cytopathic changes in Ped-2E9 cells. Light or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examination revealed L. monocytogenes mediated membrane destabilization, pore formation, intense cytoplasmic granulation, bleb formation, and lysis of Ped-2E9 cells. LLO-producing L. monocytogenes and L. innocua ($prifA^{+}hly{^}+$) also induced ladder-like DNA fragmentation in Ped-2E9 cells. Coll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L. monocytogenes, specifically LLO-producing strains, can induce a severe cytopathic effect leading to apoptosis in hybridoma B-lymphocytes (Ped-2E9).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