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n Stand Height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7초

상대밀도에 따른 우리나라 주요 경제수종의 적정 임분밀도관리 분석 (Analysis of Adequate Stand Density Management for Major Commercial Species in Korea using Relative Density)

  • 진희준;이대성;정상현;최정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3권3호
    • /
    • pp.372-381
    • /
    • 2024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주요 침엽수종인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경제림을 대상으로 적정 임분밀도관리기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상대밀도(Relative density, RD)를 활용하여 임분의 고사목 발생량, 평균 흉고직경 생장량, 형상비를 분석하였다. 상대밀도 0.7 이상에서 세 수종의 평균 고사목 본수는 15-24 trees/ha, 고사목 비율은 20.0%-35.4%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평균 흉고직경 생장량은 수종별로 0.2-0.5 cm/year가 감소하고, 형상비는 46.9%-71.4%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소나무와 낙엽송은 RD 0.7, 잣나무는 RD 0.8을 적정 임분밀도관리기준으로 선정한다면 고사목을 줄이고 생장량을 증가시켜 양질의 목재생산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설악산 잣나무(Pinus koraiensis) 천연림의 해발고별 임분구조 및 생장특성 (Stand Structure and Growth Characteristics at Different Elevations of the Korean Pine(Pinus koraiensis) Natural Forest on Mt. Seorak)

  • 김현섭;배상원;장석창;정준모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7권3호
    • /
    • pp.157-167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tand structure and growth characteristics along different elevations of Pinus koraiensis natural forests located at mean elevation 1,300 m (site1), 900 m (site2) and 600 m (site3) on Mt. Seorak. Mean DBH and height of P. koraiensis were 25.4 cm and 12.3 m in site1, while that of site2 and 3 were over 40 cm and 20 m, respectively. For this reason, there was 5 times difference of single tree volume between site1 and other sites(p<0.05). Mean ringwidth increment of P. koraiensis was 1.1 mm/yr in site1, 1.5 mm/yr in site2 and 2.6 mm/yr in site3. However, recent growth of ringwidth has increased by 8.6% in site1, whereas site2 and 3 have fallen by approximately 50% over the last 10 years. These results signify that the growth and distribution of natural P. koraiensis are effected by different climatic environment along elevations.

하이힐 높이에 따른 균형성 (Effects of High-heeled Shoe with Different Height on the Balance during Standing and Walking)

  • 류지선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79-486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high-heeled shoe on the quiet standing and gait balance. Twenty women (mean height: $161.6{\pm}3.3\;cm$, mean body mass: $53.8{\pm}6.3\;kg$, mean age: $23.8{\pm}2.7$ yrs..) who were without history or complain of lower limb pain took part in this study. They were asked to stand quietly on a force platform for 30 sec and walk on it at their preferred walking speed (mean speed $3.14{\pm}0.5\;km/hr$.) with wearing three different high-heeled shoe, 3, 7, 9 cm high for collecting data. Data were randomly recorded to collect two trials for quiet standing and five trials for walking The parameters to have been analyzed for comparison between three conditions of the height of high-heeled shoe were COP(Center of Pressure) range, COP velocity, sway area, and free moment on the static balance and COP range, COP velocity, and free moment on the dynamic balance. In this study, high-heel height affected on the COP range and velocity in the ante-posterior direction during walking, dynamic balance, but didn't affect on the quiet standing, static balance.

지상부 제거 및 육지와의 격리거리에 따른 갈대의 생육 특성 (Growth Properties of Phragmites communis along Distance from Land and Cutting Aboveground Part)

  • 민병미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45-158
    • /
    • 2005
  • 육지로 격리된 거리에 따른 갈대의 생육과 지상부의 예취가 익년 갈대생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2000년부터 2001년까지 경기도 화성시 주곡면 호곡리에서 갈대 자연군락을 대상으로 초장과 건중량을 조사하였다. 육지와 접한 지역은, 갈대의 평균밀도는 122.67개체/$m^2$, 평균초장은 100.36 cm, 개체당 평균 건중량은 4.241 g, 단위면적당 건중량은 $537.574g/m^2$이었다. 그리고 해양방향에서 육지방향으로 이행함에 따라 개체의 초장 및 건중량, 단위 면적 당 건중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육지와 격리된 지역은 평균밀도는 102.30개/$m^2$, 평균초장은 43.894 cm, 개체당 평균 건중량은 0.779 g, 단위면적당 건중량은 $73.495g/m^2$이었다. 또한 해양방향에서 육지방향으로 이행함에 따른 갈대의 초장과 건중량의 변화는 없었다. 예취한 지역에서 익년의 갈대 생장은 예취하지 않은 지역에 비해 초장과 개체당 건중량은 차이가 없었으나 밀도와 단위 면적당 건중량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인공위성 레이다 영상자료를 이용한 임분구조의 물리적 특성파악 (Analysis of Forest Stand Structure Using Spaceborne Synthetic Aperture Radar(SAR) Data)

  • 이규성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79-91
    • /
    • 1992
  • 최근 지구궤도상 영상레이다 시스템의발전과 더불어 여러 응용분야에서 레이다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하려는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우주상공에서 얻은 레이다영상자료로부터 얻은 레이다반사치와 산림의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미국 플로리다 북부 산림지 대의 연구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1984년 10월 우주왕복선 비행에서 Shuttle Imaging Radar B(SIR-B) 자료를 얻었다. 여러 종류의 참고자료(임분 조사자료, 임상도, 항공사진, Landsat Thematic Mapper 자료)를 이용하여 약 400여개 의 표본임분을 선정하였다. 각 임분의 물리적 특 성(평균수고, 흉고직경, 수간밀도, 생체량, 하층식생량)과 그에 따른 레이다반사치와를 비교하였고 그들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상관관계를 볼 수 있었다. 또한, 동일한 임분특성에서도 레 이다반사치가 세 개의 주사각도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끝으로 최근 우리에게 이용가능한 인공위성 레이다영상자료의 종류와 특성 및 전망 등을 살펴보았다.

잣나무 임분의 생장변화에 따른 임분구조 해석에 관한 연구 - 강원대학교 학술림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and Structure Analysis by the Changing Growth in Korean White Pine Stand)

  • 장재영;신현지;우종춘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0권1호
    • /
    • pp.58-68
    • /
    • 2004
  • 본 연구는 잣나무 임분의 생장변화에 따른 임분구조를 해석하기 위하여 강원대학교 학술림의 잣나무림을 대상으로 임분의 생장변화 및 흉고직경, 수고, ha당 재적에 대한 생장 추정식을 도출 하였다. 즉 잣나무 임목의 흉고직경에 대한 수고와의 상관관계, 흉고직경에 대한 재적과의 상관관계, 수고에 대한 재적과의 상관관계, 수관면적에 재적과의 상관관계가 분석되었으며, 임령에 대한 흉고직경과의 상관관계, 수고와의 상관관계, 단위면적당 재적과의 상관관계 등이 분석되었다. 그리고 흉고직경에 대한 추정식 (1)은 Y = 20.687Ln(X)-50.431으로 나타났고 수고에 대한 추정식 (2)은 Y= 12.951Ln(X)-31.225으로 나타났으며, ha당 재적의 추정식 (3)은 Y = 171.06Ln(X)-462.16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추정식을 이용한 영급별 평균 ha당 재적은 II영급 $27.5m^3$, III영급 $91.1m^3$, IV영급 $147.7m^3$, V영급 $190.0m^3$, VI영급 $223.8m^3$, VII영급 $252.0m^3$, VIII영급 $276.2m^3$으로 산출 되었다. 마지막으로 잣나무 임분에 있어서의 정기평균생장량과 총평균생장량과의 관계가 분석되었다.

  • PDF

안면도(安眠島) 소나무 임분(林分)의 동적(動的) 생장(生長)모델 (Dynamic Growth Model for Pinus densiflora Stands in Anmyun-Island)

  • 서정호;이우균;손요환;함보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6호
    • /
    • pp.725-733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안면도 소나무 임지에 대해 임분 내 생장인자들간의 상관관계를 구명하고 이를 기초로 동적 임분생장모델을 구축하였다. 이를 위해 영급이 고루 분포되도록 96개의 표본점을 선정하였고, 각 표본점에서 입목의 흉고직경, 수고를 측정한 후 이를 분석하여 평균흉고직경, 평균수고, 우세목수고, ha당 본수, ha당 단면적, ha당 재적 등을 추정하였다. SAS의 비선형 회귀분석(NLIN) 및 단순선형분석(REG)을 통해 생장인자간의 함수식을 유도하였으며, 이 함수들을 이용하여 관리방법에 따라 임분의 생장 및 수확이 다양하게 예측될 수 있는 동적 임분생장모델을 구축하였다. 다양한 시업주기 및 강도를 적용해 임분의 생장을 예측한 결과, 본 연구에서 구축된 동적 임분생장모델은 일반적인 생장법칙을 잘 나타내고 있어 안면도 소나무임분의 생장 및 수확량 예측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동적 임분생장모델은 실제 산림경영에서 다양한 관리방법에 따른 임분의 생장예측을 위하여 이용될 수 있을 것이며, 산림경영계획에 있어 의사결정을 위한 도구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삼림의 생산구조와 생산력에 대한 연구 I. 리기다소나무 조림지에 대하여 (Studies on the Productivity and the Production Structure of the Forests I. On the Productivity of Pinus rigida Plantation)

  • 김준호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4권4호
    • /
    • pp.19-26
    • /
    • 1971
  • The sample stand of Pinus rigida plantation was chosen from those at the Choongnam Forest Experiment Station, Choongnam. The diameter at breast height (D) and the height of tree (H) of each tree in the sample plot of 200$m^2$ were measured yearly a from 1967 through 1969. The stand was 12.7-13.4cm in mean diameter and had a stand density of 2,150 trees per ha. The trunk, branches and leaves of each sample tree were separately weighed according to the stratified clip technique. The allometric relation between D2H and dry weight of trunk (Ws), branches (Wb) and leaves (Wl) were approximated by $$W_s=0.05917 (D^2H)^{0.837}$$ $$W_0=0.00655 (D^2H)^{0.989 }$$ $$W_l=0.04466(D^2H)^{0.690}$$ From the above, the standing crops in the sample stand was estimated to be as much as 76.7, 81.7 and 88.2 tons of dry matter, above ground, per ha in 1967, 1968 and 1969, respectively. Annual net production, as the sum of the biomass newly produced during one year, was estimated at 4.97-5.47 tons per ha per year. The respiratory and the photosynthetic rate deduced from theoretical calculations were 0.045 and 0.74kg of dry matter per kg per year. Tentative estimate of annual respiratory loss was made and annual gross production was roughly estimated at 4.4-4.7 and 10.7-12.9 tons of dry matter per ha per year. The ratio of respiratory loss to gross production was approximately 36-41:1.

  • PDF

Succession and Stand Dimension Attributes of Pinus thunbergii Coastal Forests after Damage from Diplodia Tip Blight around the Sakurajima Volcano, Southern Kyushu, Japan

  • Teramoto, Yukiyoshi;Shimokawa, Etsuro;Ezaki, Tsugio;Jang, Su-Jin;Kim, Suk-Woo;Lee, Youn-Tae;Chun, Kun-Woo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6호
    • /
    • pp.481-489
    • /
    • 2018
  • In this study, the succession and stand dimension attributes related to the disaster prevention function of Pinus thunbergii coastal forests were examined after damage from Diplodia tip blight. In 2015, 101 years after the Taisho eruption, field investigations were performed on the vegetation, soil thickness, and pH of surface soil of P. thunbergii coastal forests in western Sakurajima (Hakamagoshi plot) and Taisho lava flows in southeastern Sakurajima (Seto plot). The Hakamagoshi plot had more woody plant species with larger basal areas than that in the Seto plot. The mean age and height, maximal age and height of plant species, and H/D ratio were all larger in the Hakamagoshi plot than in the Seto plot. These results may be explained by the relatively smaller effect of volcanic ash and gas on forests in the Hakamagoshi plot compared to the Seto plot, resulting in a more suitable environment for many plant species. Although P. thunbergii coastal forests in Sakurajima are currently recovering from damages owing to Diplodia tip blight, there has not yet been a sufficient recovery compared to the results from a 1997 study. Furthermore, the results of assessment based on the H/D ratio and abundance of trees in P. thunbergii forests indicate that both regions are not yet effective in disaster prevention. Thu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Pinus trees, which can adjust to harsh environments like coastal areas and are resistant to volcanic ash and gas, to enhance the disaster prevention function of P. thunbergii coastal forests in volcanic regions. It may also be helpful to establish coastal forests with ectotrophic mycorrhizal fungi and organic matter coverage.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 continuous maintenance of stand density and soil quality, and further develop efforts to prevent Diplodia tip blight and promote forest recovery.

임업(林業)에서의 순수작업시간(純粹作業時間)과 임목형상조건(林木形狀條件)과의 관계연구(關係硏究)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Working Time and Tree Formal Characteristics)

  • 강건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8권4호
    • /
    • pp.381-395
    • /
    • 1989
  • 본 연구는 임업 경영에 있어서, 그 중에서도 특히 간벌 작업에서 순수 작업시간과 임목의 형상 조건과의 관계를 구명함으로써 임금표나 공정표에 대한 과학적인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시험 대상지와 수종은 경남 양산에서 참나무 460본, 강원도 봉평에서 낙엽송 372본과 적송 232본, 전북진안에서 리기다 소나무 240본을 선정하였으며, 회귀식에 의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종별 임목의 형상 조건인 5개의 독립 변수는 순수 작업 시간을 산출하는데 있어 작업원별로 동일 조건임을 확인하였다. 2. 임목의 형상 조건간의 서로 상관관계를 구명, 유의성을 확인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순수 작업시간(WT)은 흉고직경(DBH)과 전체 가지수(NOB)로부터 가장 크게 영향을 받았다. 3. 변수의 수에 따른 결정계수(Rp)와 잔차평균제곱(MSEp)을 비교하여 최적회귀식을 수종별로 산출하였으며 여기에서 모든 수종으로부터 흉고직경(DBH)과 가지수(NOB)가 조합된 $WT=a+b1{\times}NOB+b2{\times}DBF$의 식이 유도 되었다. 4. 간벌 작업에서 걸림시간(Hang-up time)을 산출해보면 전체 작업 사간에 대하여 참나무가 평균 66%, 낙엽송 74%, 적송55% 그리고 리기다 소나무가 52%를 나타났다. 5. 수종별 휴고직경(DBH)과 가지수(NOB) 2변수로 부터의 최적 회귀 방정식에 작업 시간표를 작성하였으며, 6. 여기에서 전체 작업시간(Total WT)은 벌도시간(FT)과 조재시간(LT) 그리고 걸림시간(HT)을 모두 합한 것으로써 임목의 1cm 증가마다 11-13초의 작업시간 증가를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