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ximum horizontal displacement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27초

준설 점토사면의 변형양상에 관한 원심모델링 (Centrifuge Modeling on the Deformation Modes of Dredged Clay Slope)

  • 안광국;김정열;정소전;이처근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9-2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준설에 따른 점토사면의 변형 및 변위양상과 파괴형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준설사면의 기울기를 변화시키면서 원심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준설사면의 기울기는 1:2, 1:2.5, 1:3으로 변화시키면서 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기울기 1:3인 경우에는 4개월 경과시점까지 사면부내에서 변위는 발생되었지만, 초기단면과 유사하게 사면을 유지하고 있어 준설후 사면 안정성의 확보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준설사면 기울기가 1:2.5인 경우에는 4개월 경과시점에서 사면부내에서 국부적인 사면파괴가 발생하였으며, 기울기가 1:2인 사면의 경우 경과시간 2개월 후 원호파괴형태의 사면내 파괴가 발생되었다. 실험결과 지반의 최대 연직변위는 사면의 비탈머리에서 발생하였으며, 최대 수평변위는 비탈머리를 기준으로 0.5~1H(H : 초기 점토층의 높이) 떨어진 지점의 사면부 아래에서 발생하였으며, 최대 수평변위는 최대연직변위의 약 2배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연직배수공법이 적용된 연약지반 상에 도로성토로 인한 측방유동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Lateral Flow due to Embankments for Road Construction on Soft Grounds Using Vertical Drain Methods)

  • 홍원표;김정훈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9호
    • /
    • pp.5-15
    • /
    • 2012
  • 연직배수공법이 적용된 연약지반의 측방유동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우리나라 해안지역에서 계측관리가 실시된 13개 연약지반 현장의 자료를 수집하여 조사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성토규모가 연약지반의 측방유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약층의 두께와 상대적 도로성토규모가 클수록 연약지반 속의 수평변위는 크게 발생하였다. 특히 연약지반이 두꺼우면 도로성토저면폭에 대한 연약층의 두께의 비인 상대적 성토규모도 자연 커지므로 수평변위량은 크게 발생하였다. 또한 도로성토속도가 빠르면 연약지반의 수평변위량이 크게 발생하였다. 그 밖에도 연약지반의 두께와 비배수전단강도, 지반계수 및 안정수는 연약지반의 측방유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즉 연약지반의 비배수전단강도와 지반계수가 작을수록 그리고 안정수가 클수록 연약지반의 최대수평변위량은 크게 발생하였다. 도로성토로 인하여 연약지반 속에 전단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안전한 상태에서는 안정수가 3이하가 되고 지지 안전율이 1.7이상이 되었다. 그러나 연약지반 속에 전단파괴가 발생되는 불안전한 상태에서는 안정수가 5.14이상이 되고 지지안전율이 1.0이하가 되었다. 도로성토로 인하여 연약지반 속에 전단변형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허용최대수평변위량의 기준은 50mm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약지반에 전단파괴가 발생됨이 없이 도로성토를 실시할 수 있는 연약지반의 수평변위량 기준은 100mm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석고보드 벽체의 시공높이에 따른 수평하중저항성 및 내충격성 변동 특성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Stiffness and Impact Resistance under Conastruction Height of Gypsum Board Wall)

  • 송정현;김기준;안홍진;신윤호;지석원;최수경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4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84-185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erimentally evaluate the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stiffness and impact resistance under the construction height of gypsum board wall at the actual construction site. The method suggested in previous study was applied on the test method of horizontal load resistance and impact resistance. As a result of horizontal load resistance test, when the wall height is 2,400 mm, the maximum displacement is 13.6 mm and residual deformation is 0.5 mm, and when the wall height is 3,000 mm, the maximum displacement is 31.3 mm and the residual displacement is 6.8 mm. As a result of impact resistance test, the residual deformation of each specimen at 20 cm of fall height were 1.02 mm and 0.08 mm, respectively, the residual deformation at 40 cm of fall height were 1.58 mm and 0.35 mm, respectively, and the residual deformation at 60 cm of fall height were 2.23 mm and 2.48 mm, respectively.

  • PDF

The influence of vertical ground motion on the seismic behavior of RC frame with construction joints

  • Yu, Jing;Liu, Xiaojun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11권3호
    • /
    • pp.407-420
    • /
    • 2016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ertical ground motion (VGM) on seismic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RC) regular frame with construction joints, and determine more proper modeling method for cast-in-situ RC frame. The four-story RC frames in the regions of 7, 8 and 9 earthquake intensity were analyzed with nonlinear dynamic time-history method. Two different methods of ground motion input, horizontal ground motion (HGM) input only, VGM and HGM input simultaneously were performed. Seismic responses in terms of the maximum vertex displacement, the maximum inter-story drift distribution and the plastic hinge distribution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VGM might increase or decrease the horizontal maximum vertex displacement depending on the value of axial load ratio of column. And it will increase the maximum inter-story drift and change its distribution. Finally, proper modeling method is proposed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plastic hinges, which is in well agreement with the actual earthquake damage.

온도하중을 고려한 인터모달 터미널 플랫폼의 설계 검토 (Design Review of Inter-Modal Terminal Platform for Temperature Load)

  • 김경수;김다애;김흥래;현은택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2권5호
    • /
    • pp.305-31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새롭게 도입하고자 하는 인터모달 자동화물운송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터미널 플랫폼 시설의 온도하중에 따른 적정 신축이음 간격을 살펴보았다. 터미널 플랫폼의 적정 신축이음 간격 검토는 미국 F.C.C.(federal construction council)에서 제안한 식을 이용하여 지역별 온도변화에 따른 최대 신축이음 간격을 설정하고,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통해서 산출된 최대 변위값과 건축구조 수평변위 제한값을 비교하였다. 적정 신축이음 간격은 온도변화로 인한 구조물 최대 변위량이 수평변위 제한값 이하가 되는 슬래브 길이로 선정하였으며, F.C.C 제안식을 통하여 산정한 지역별 최대 신축이음 간격을 적용하여 구조물 최대 발생 변위를 살펴본 결과, 건축구조 수평변위 제한값 이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최대변위 값을 확인할 수 있었다.

쏘일네일 보강벽체의 수평변위와 안전율과의 관계 분석연구 (An Analyt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 of Safety and Horizontal Displacement of Soil Nailed Walls)

  • 김홍택;이인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45-53
    • /
    • 2011
  • 쏘일네일 공법은 일반적으로 한계평형해석법을 토대로 검토한 사면안정해석결과를 이용하여 설계기준안전율 이상을 만족하면 안정한 것으로 판단하여 설계하고 있다. 그러나 쏘일네일의 길이가 짧은 경우 설계기준안전율을 만족하고도 발생변위가 과다하여 사용상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연구는 대형파괴재하시험결과에 의한 재하하중-안전율 및 재하하중-발생변위비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쏘일네일 보강벽체의 안전율-발생변위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쏘일네일 보강벽체의 사용한계상태에 해당하는 발생 변위비 0.3% 이내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한계평형해석에 의한 안전율이 최소 1.35 이상을 확보하여야 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한계평형해석결과 최소 안전율 1.35 이상을 만족하여도 지반의 전단강도가 작거나 벽체높이가 높을 경우 사용한계상태에 해당하는 발생 변위비 0.3% 이내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수치해석을 통한 발생변위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제주 지역의 지반 특성을 고려한 흙막이벽의 측방토압 적용에 관한 연구 I -스트럿 공법 시공 사례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Lateral Earth Pressure to Earth Retaining Wall Considering Ground Characteristics in Jeju I - Case of Strut Construction -)

  • 김도형;이동욱;최희복;고권문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55-61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제주 지역의 대표적인 지반 특성(클링커층)을 고려한 흙막이벽의 측방토압 적용을 고찰하기 위해 2개의 현장 사례를 이용하여 수평변위에 대한 계측값과 예측값을 비교하였다. 흙막이벽의 수평변위 발생에 기인하는 측방토압 예측은 Rankine 토압, Terzaghi & Peck 수정측방토압, Tschebotarioff 측방토압을 이용하여 탄소성해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A현장에서 예측된 최대 수평변위는 계측값에 비하여 약 5배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예측에 의한 최대 수평변위 발생 지반은 클링커층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B현장의 경우에는 예측값이 계측값에 비하여 4배에서 최대 7배까지 크게 나타났으며, 최대 수평변위가 발생한 지반과 수평변위 발생 경향은 예측 방법에 따라 매우 다른 경향을 보였다. 이는 암반층과 클링커층이 교호되어 분포되는 제주 지역의 다층지반 특성에 기인한 것이라 판단되기 때문에, 지역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측방토압에 관한 연구가 지속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지하굴착시 앵커지지 지중연속벽에 작용하는 측방토압 및 벽체의 변형거동 (Lateral Earth Pressures Acting on Anchored Diaphragm Walls and Deformation Behavior of Walls during Excavation)

  • 홍원표;이문구;이재호;윤중만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77-88
    • /
    • 2007
  • 6개의 도심지 굴착현장에서 계측된 현장계측자료를 토대로 다층지반에 설치된 앵커지지 지중연속벽에 작용하는 측방토압과 벽체의 변형을 분석하였다. 앵커지지 지중연속벽에 작용하는 측방토압의 분포는 사다리꼴 모양이며, 최대 측방토압의 크기는 $0.45{\gamma}H$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굴착면 상부에서도 $0.1{\gamma}H$의 토압이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안된 측방토압의 크기는 Terzaghi and Peck(1967), Tschebotarioff(1973) 및 홍원표와 윤중만(1995a)이 제안한 연성벽체의 경험토압보다 약 2배 정도 크다. 지중연속벽의 변형거동은 지지방식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앵커지지 지중연속벽의 수평변위는 굴착깊이의 0.1%이내에서, 버팀보 지지방식의 경우에는 굴착깊이의 0.25% 이내에서 발생하고 있어, 벽체의 지지효과는 앵커지지방식이 버팀보 지지방식보다 양호함을 알수 있다. 그리고 지중연속벽의 수평변위는 엄지말뚝으로 시공된 앵커지지 흙막이벽의 시공관리기준인 $\delta=0.25%H$ 보다 작으므로 지중연속벽으로 시공된 굴착현장의 안정성은 상당히 양호함을 알 수 있다.

Comparison of condylar displacement between three biotypological facial groups by using mounted models and a mandibular position indicator

  • Ponces, Maria Joao;Tavares, Jose Pedro;Lopes, Jorge Dias;Ferreira, Afonso Pinhao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312-319
    • /
    • 2014
  • Objective: Facial-type-associated variations in diagnostic features have several implications in orthodontics. For example, in hyperdivergent craniofacial types, growth imbalances are compensated by displacement of the condyle. When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involves centric relation (CR), detailed knowledge of the condylar position is desirable. The present study aimed to measure condylar displacement (CD) between CR and maximum intercuspation in three facial types of an asymptomatic orthodontic population.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in 108 patient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of 36 individuals each (27 women and 9 men; mean age, 20.5 years), based on the following facial patterns: hyperdivergent, hypodivergent, and intermediate. To quantify CD alo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axes, the condylar position was analyzed using mounted casts on a semi-adjustable articulator and a mandibular position indicator. The Student t-test was used to compare CD between the groups. Results: Vertical displacement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hyperdivergent and hypodivergent groups (p < 0.0002) and between the hyperdivergent and intermediate groups (p < 0.0006). The differences in horizontal displacement were not significant between the groups. In each group, vertical CD was more evident than horizontal displacement was. Conclusions: All facial types, especially the hyperdivergent type, carried a significantly high risk of CD.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CD should be carefully evaluated and considered in the assessment of all orthodontic cases in order to accurately assess jaw relationships and avoid possible misdiagnosis.

터널굴착으로 발생한 지반거동에 대한 수치해석적 분석 (Numerical analysis of tunnelling-induced ground movements)

  • 손무락;윤종철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229-24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터널굴착으로 발생한 지표면에서의 최대 침하 및 수평변위와 총 침하부피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서로 상이한 지층에서 다양한 깊이 및 직경, 서로 다른 시공조건(지반손실량)을 가진 터널에 대해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수치해석 결과로부터 얻어진 지표면에서의 최대 침하량은 터널 굴착부 천단에서의 최대 침하량과 지층별, 터널직경 및 깊이, 시공조건(지반손실량)별로 비교되었으며, 또한 지표면에서의 최대 침하량은 지표면에서의 최대 수평변위량과도 비교하였다. 뿐만 아니라, 터널굴착부에서 발생한 지반손실량($V_L$)과 지표면에서 형성된 총 침하부피량($V_s$)을 지층 및 터널깊이와 직경을 달리하여 상호 비교하였다. 수치해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그 적용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기존 현장계측자료와의 비교가 수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본 연구의 수치해석 결과가 향후 터널굴착으로 발생된 주변 지반의 거동을 파악하고 분석하는 실무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