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Education Policy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4초

The Study of Taiwan's New Immigrant Children's Mathematics Achievement

  • Lai, Wen-Tsung;Cheng, Lung-Wei;Lu, Chiu-Chu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7권1호
    • /
    • pp.29-46
    • /
    • 2013
  • Introduction: According the 2011 Taiwanese Government Statistics, the lower secondary school enrollment number of the new-immigrant-children is about 200,000. As known, most of the new immigrants are from the Southeast Asian countries, such as Vietnam, China, Indonesia, Thailand, the Philippines and Cambodia. In order to satisfy the increasing needs and demands on education of the children of new immigrant (CNI, henceforth), Taiwanese government not only develops, but also puts the after-school learning assistance policy into practice from 2006.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athematics achievement of the CNI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after-school learning assistance policy (AsLA policy, henceforth). Purposes: Firstly, to compare the mathematics achievement of the CNI by countries. Secondly, to compare the mathematics performance among the CNI, the children from high-risk family (CHRF, henceforth) and the children of general families. Samples: The 2,452 samples, selected from two junior high schools located in central Taiwan, include 157 CNI, 522 CHRF. Methods: The main method used in this study is interval fuzzy number (IFN, henceforth) in order to compare the mathematics achievement of the children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AsLA policy from different type of families. Results: To reach the two purposes of this study. We can find the effectiveness of mathematics performance from three group's children of new immigrants, high-risk, general family. Therefore, the results provide one of the ways to review the new immigrant's education policy of after-school learning assistance in Taiwan.

Tensions between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and Educational Policy Regulating Academic Acceleration in Korea

  • 이동근;신동조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9권2호
    • /
    • pp.199-227
    • /
    • 2023
  • The Korean government initiated an educational policy regulating academic acceleration in schools (e.g., regulating teaching or assessing above-grade-level content) in order to normalize public education and prevent the growth of private tutoring. To analyze whether the policy is achieving its intended goals, this study examined how high school mathematics teachers responded to the policy. The findings indicate four distinct teacher responses: the teachers would teach above-grade-level lessons in classes, but not assess them on a test; the teachers sought academic acceleration to prevent excessive private tutoring, although the policymakers thought that teachers' academic acceleration results in an excessive demand for private tutoring; the teachers were willing to teach above-grade-level content for students, but they were reluctant to teach below-grade-level content due to the time constraints; and the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policy limited their curricular autonomy, even though it was intended to ensure their autonomy. Implications for mathematics teacher educators and policymakers are discussed.

수학교육 관련 교사 연수 현황 분석을 통한 정책 방안 모색 (On the Analysis and Policy Alternatives of an In-Service Teacher Training on Mathematics Education)

  • 이환철;장미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71-182
    • /
    • 2012
  • 본 연구는 수학교육 관련 교사 연수 현황을 분석하고 정책적 보완 방안을 모색하고 하였다. 이를 위해 16개 시도교육청으로부터 2010년, 2011년 수학교육 관련 교사 연수 현황 자료를 제출받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시도교육청 연수 담당자 협의회를 통해 연수의 양적 질적 성장을 도모해야 하고, 연수대상자 특성에 적합한 맞춤형 연수 프로그램이 개발 보급되어야 하며, 필요한 경우 의무 연수와 같은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Flourishing as an aim of mathematics education

  • Tye G. Campbell;Sindura Kularaja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7권2호
    • /
    • pp.211-221
    • /
    • 2024
  • What is the aim of mathematics education? Current aims of mathematics education often lack the multidimensionality needed to account for a successful experience in mathematics. In this short paper, we argue for a multidimensional aim of mathematics education via the construct of flourishing. Flourishing is derived from the notion of eudaimonia, which broadly refers to achieving the "highest good," or living a well-lived life. Building on prior research, we operationalize flourishing as an aggregate of several positive affective, behavioral, cognitive, and social traits, all of which contribute to students' propensities to achieve the "highest good" in mathematics. In particular, we propose five traits which contribute to students' propensities to achieve the "highest good" (i.e., flourish) in mathematics: (1) positive emotions toward mathematics; (2) engagement in mathematics; (3) community in mathematics; (4) meaning in mathematics; (5) perceived competence in mathematics. Thus, we argue that one productive aim of mathematics education is to support students in fulfilling each of these traits, which ultimately leads to flourishing in mathematics. To supplement our theoretical stance, we offer suggestions for measuring flourishing as an aim. We close this short paper by describing the implications that such an aim might suggest for pedagogy, policy, and research.

수학교육에 대한 우리나라 교사의 인식조사를 위한 조사도구 개발 (A Development of Research Tool for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of Mathematics Education)

  • 김홍겸;정시훈;김소민;허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3권3호
    • /
    • pp.355-376
    • /
    • 2019
  • 지난 2012년에 제2차 수학교육 종합계획이 발표된 이후 이를 바탕으로 하여 여러 가지 정책이 실현되고 있다. 하지만 여러 사회적인 변화 및 교육과정의 개정 등으로 인하여 새로운 수학교육 관련 계획 및 정책입안이 요구되고 있다. 유의미한 정책수립을 위해 현재 사회 및 교육현장의 변화가 교육에 요구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반영해야 한다. 따라서 지금까지 수학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한 국내외 연구들에 대한 분석과 함께 여러 변화에 따른 요구와 현재 학교의 교육현황을 반영하여 학교 현장에서 교육을 수행하는 교사들에 대한 실질적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조사할 수 있는 적절한 설문문항을 개발하고자 한다. 문항 개발시 전문가 의견 참조 및 현장 예비조사 연구를 실시하여 문항의 적절성과 신뢰도를 유지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수학교육인식, 수학교육현황, ICT활용의 3가지 부분의 33개의 문항을 개발했다. 개발된 문항은 현재 수학교사의 인식 및 교육 현황을 조사하는 도구로 활용될 것이며 또한 이 조사를 통해 나온 결과는 앞으로의 수학교육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 데에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기대된다.

'스토리텔링 수학' 관련 언론 보도 내용 분석 (An analysis of the articles about 'Storytelling Mathematics')

  • 김수철;이환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8권2호
    • /
    • pp.179-193
    • /
    • 2014
  • 교육부가 '스토리텔링 방식을 가미한 수학 교과서'를 언급한 이후,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이 적용되기 시작한 2013년 3월을 전후하여 '스토리텔링 수학' 관련 언론 보도가 집중된 시기의 보도 자료를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보도 자료의 외형적 특성과 함께 보도된 기사 내용을 면밀히 조사하기 위하여 보도 프레임을 선행 연구방법에 근거하여 추출한 다음, 추출된 프레임인 이해, 교육방법, 반응, 강조, 상업광고의 5개의 보도프레임을 활용하여 모든 기사의 세부 내용을 두 명의 평가자가 홀스티(Holsti) 방식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두 평가자의 분석 결과가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구자는 언론 보도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이해, 교육방법, 반응, 강조, 상업광고의 5개의 보도 프레임을 추출하여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사기업에서 상업적 광고를 위한 도구로서 '스토리텔링 수학' 정책을 활용하고 있었다. 언론 보도 내용은 독자 스스로가 판단하는 것이 옳지만, 그 내용에 대해 무조건 신뢰해서는 안 될 것이며, 정책을 추진하는 입장에서는 교육 수요자 및 공급자들에게 새로운 정책의 도입이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해 충분히 숙고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수학교육분야에서 중요한 이슈들에 대한 통합 (A Synthesis on Essential Issues in the Field of Mathematics Education)

  • 김동중;조정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377-388
    • /
    • 2011
  • 수학교육이 연구의 한 분야이며 수학, 교육과학, 심리학, 사회학, 역사학등과 같은 다른 영역들과의 연계성을 인정하면서 다른 영역들의 통합을 위해 이론적 연구와 수업실습이라 는 두 가지의 실용적 이슈들에 초점에 맞춘다. 서로 다른 영역들의 역할과 의존성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 수학교육분야에서 6가지의 중요한 영역들을 제기한다.

  • PDF

수학 교과에서 인성교육에 대한 일고찰 (A Study on Character Education in Mathematics Subject)

  • 최승현;류현아;박지현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1권2호
    • /
    • pp.189-210
    • /
    • 2015
  • Character means a person's nature and the mind and behavior to lead a desirable life personally and socially. Also character can be changed with education and environment. Therefore character education will be possible to do practice through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and life experiences in school. In other words, we think that students will get person's character required to lead a desirable life personally and socially beyond what they just learn knowledge and skill, enter the higher schools and succeed one's way. This study accepts merits of existing character education policy through subject(mathematics) education and focus on direction for character education through subject(mathematics) education for systematic and synthetic approach for practice of character education. For this, we will see applicability of the plan for character education in the whole subject education, in particular focusing on cases of character education in mathematics subject.

우리나라 수학교육의 문제점 진단을 위한 조사 연구 (A Survey Research to Diagnose the Problems of Mathematics Education ID Korea)

  • 박경미;김동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0권1호
    • /
    • pp.89-10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problems of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by conducting an in-depth analysis of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ies, a Delphi method, and a survey. Further analysis of TIMSS and PISA results also reveals several negative aspects of mathematics education practice in Korea. The mathematics education experts' opinions collected by Delphi method were classified into 12 categories: private education and test-driven education, curriculum and textbooks, lessons, evaluation, teacher, learner, teaching aid and facilities. affective aspects of mathematics, discrepancy between a theory and a practice, preservice/in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teacher employment test, education policy, and overall. Another survey was conducted to focus more o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which is a pending issue. Considering the fact that mathematics education should contribute to improve practical aspect as well as elaborate theoretical aspect, this study lays a foundation of improve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식민지 수학교육 정책과 19세기 말과 20세기 전반 한국수학 교육과정 연구 (Educational policy and curriculums of Korean school mathematics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y)

  • 이상구;노지화;송성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1093-1130
    • /
    • 2009
  • 1895년부터 조선은 초등, 중동교육기관과 근대 고등교육기관을 설립하면서 꾸준히 새로운 교육과정을 도입하며 근대 수학을 받아들이고 전수하는 부단한 노력을 기울였다. 그리고 이 노력은 1897년 8월 대한제국으로 국호를 바꾸면서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된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1905년(광무년). 한국의 외교권을 박탈한 을사늑약 이후 1908년 일제의 사립학교령, 1911년 학부령등을 통하여 조선통감부와 조선총독부가 기존의 고등교육기관을 폐지하고, 조선에서의 교육을 식민지 보통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특히 수학분야의 고등교육은 방기하여 한반도에는 1911년에서 1945년 사이에 수학과는 대학과정의 고등교육기관에는 존재하지 않았다. 이런 식민지 수학교육정책의 잔해는 20세기 한국이 세계 수학의 주류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큰 장애물이 된다. 본 연구는 이 시기의 교육정책과 수학 교육환경 그리고 한반도에서 교수된 근대 수학의 내용과 교육과정을 심도있게 연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