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al Task

검색결과 312건 처리시간 0.023초

우리나라와 미국 수학 교과서의 과제 비교 : 평행사변형 조건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the Mathematics Textbooks' Tasks of Korea and the USA : Focused on Conditions for Parallelograms)

  • 정혜윤;이경화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4호
    • /
    • pp.749-771
    • /
    • 2016
  •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와 미국 수학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평행사변형이 되기 위한 조건 관련 과제를 과제의 구조, 증명과 추론 유형, 그리고 인지적 노력 수준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두 나라 교과서 과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제 구조와 관련하여, 우리나라 교과서에 비해 미국 교과서에 제시된 과제의 구조가 더 다양하다. 둘째, 증명과 추론 유형과 관련하여, 우리나라와 미국 교과서 모두 IC 과제와 DA 과제의 구성 비율이 높으며, 우리나라 교과서에 비해 미국 교과서에 제시된 과제의 유형이 더 다양하다. 셋째, 과제의 인지적 노력 수준과 관련하여, 우리나라와 미국 교과서 모두 PNC 과제와 PWC 과제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우리나라의 경우 미국에 비해 구체적인 알고리즘적 절차를 이용하는 수학 과제를 제시하는 비율이 높다. 차이점을 토대로 우리나라 교과서 재구성에 필요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과제의 구조 및 증명과 추론 유형과 관련하여, 구성의 다양성을 높여야 한다. 둘째, 과제의 인지적 노력 수준과 관련하여, PNC 과제에 대한 편중현상을 완화해야 하며, 과제 유형별 인지적 노력 수준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 셋째, 과제의 주제 또는 소재와 관련하여, 수학 내적, 외적인 상황과의 연결성이 강화된 과제를 도입할 수 있는 방안의 재고가 필요하다.

과제대화록 작성하기를 통한 중등수학 예비교사의 예상하기 특징 분석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Anticipating Through the Task Dialogue Activity)

  • 김지수;이수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7권3호
    • /
    • pp.511-536
    • /
    • 2017
  • 수학교실에서 효과적인 논의기반 수업을 구현하기 위하여 교사는 여러 가지 교수학적 행동을 취할 수 있지만, 그 기반은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대한 이해이다. 교사는 수업 중 유발될 수 있는 학생들의 다양한 문제 해결 접근 방법에 대비하여 수학 과제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및 교수학적 대처를 사전에 예상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수학적 담화 조정 능력 신장의 일환으로 Spangler & Hallman(2014)의 과제 대화록 작성하기 활동을 보완하여 중등수학 예비교사들의 교과교육 수업에 적용하였고, 이 과정에서 관찰할 수 있는 예비교사들의 예상하기 특징을 학생 반응과 교수학적 대처 두 가지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예비교사들은 수학 과제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과 그에 대한 교수학적 대처를 예상할 때에, 그 과제와 유사한 혹은 동일한 수학과제를 가르쳐 본 과거 경험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한 가지 이상의 옳은 문제해결 방법을 예상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꼈고, 문제를 옳게 해결한 학생들에 대하여 그들의 문제해결법을 묻는 것 외의 수학적 사고를 탐색하거나 확산할 수 있는 발문을 하는 것에 어려워했다. 셋째, 예비교사들은 학습자의 이해 수준에 맞추어 수업을 이끌어 나가는 것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학생들의 다양한 반응에 대한 교수학적 대처를 예상할 때 문제해결의 결정적 힌트를 제공하거나 절차적 지식에 치중한 발문을 하여 결과적으로 처음에 제시한 수학 과제의 인지적 노력 수준을 저하시켰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과제대화록 활동이 중등수학 예비교사들의 예상하기 능력 신장에 미칠 수 있는 긍정적인 영향과 예비교사 교육에 주는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수학교사의 수업과제와 교과교육자료의 과제 분석

  • 김구연
    • 한국수학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0년도 제44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 /
    • pp.223-223
    • /
    • 2010
  • 이 보고서는 수학교사가 교과교육자료를 수업에 적용할 때, 각 과제(task)의 cognitive demand의 수준이 어떻게 변화하는 지 분석하고 그 변화의 요인을 추정한 연구의 일부분이다. Mathematical Tasks Framework과 cognitive demand의 수준 (Stein & Henningsen, 1996)의 이론적 틀을 토대로, 미국 초등 수학교사의 수업을 관찰하고 인터뷰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또한, 교사용 지도서와 교과서 등의 교과교육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의 수업과제의 cognitive demand 수준이 교과교육자료에서 제시한 수준과 다르게 나타났다.

  • PDF

교사연구공동체에서 과제설계를 통한 교사 지식의 변화 : 도함수 활용 영역에서 학생에 대한 지식을 중심으로 (Change of teacher knowledge through task design in the teacher-researcher community : Focused on knowledge of students in the area of derivatives application)

  • 이경화;송창근;정혜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8권2호
    • /
    • pp.299-317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경력과 지식을 지닌 교사와 연구자로 구성된 교사연구공동체의 과제설계를 통해, 도함수 활용에서 고등학교 인문계열 2학년 학생에 대한 교사 지식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공동체 구성원들이 지닌 학생에 대한 지식의 차이는 과제 해결 경로에 대한 논의를 이끌었다. 둘째, 과제 해결 경로에 대한 검토를 거쳐 합의에 이르는 과정은 교사 지식의 변화를 가져왔다. 교사와 연구자는 각각 선행연구와 경험에 근거한 지식을 공유함으로써 지식의 변화를 이끌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교사교육에 있어 교사와 연구자 공동학습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그림책에 의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icture Book Based Mathematical Activities on Mathematical Problem-Solving Performance in children)

  • 박석년;최경숙
    • 아동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27-241
    • /
    • 200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mathematical activities based on picture books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problem-solving performance. Subjects were 72 children divided in two groups of 36 each; one group had mathematical activities based on picture books and the other group had of pencil-and-paper tasks. The problem-solving performance was measured in terms of the test by Ward(1993) with a few modification for pretest and posttest. Mathematical activities were performed 12 times over a 6 week period. The data was analyzed by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The group taught by picture books significantly improved mathematical problem-solving performance.

  • PDF

기본학습요소를 활용한 수준별 유형화 학습이 수리탐구 영역의 문제해결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chieving problem-solving ability in mathematical searching area based on level type learning using basic learning elements)

  • 김태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131-148
    • /
    • 2000
  • Above all,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must be emphasized as a basic skill of mathematics, but it is neglected when we teach. In this study, learning task means [same meaning] [same form] [same technique], so I tried to extend mathematical scholastic ability of the students as an extensional problem solving that is a basic element of mathema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investigation of level type learning, using the basic learning elements to extend thinking ability. From the constructed hypothesis as follows and then implement it. I selected basic learning elements from an analyzed textbook and then task learning material was created for each level type learning. The problem solving ability will be extended through the level type learning of the small group, using the level type learning task material. The conclusions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level type learning in small group learning, using and making level type learning material, having basic learning elements in analysed text are. Basic learning content is understood clearly and deeply, so, fundamentally, it is effective in achieving the problem solving in mathematics. It is an effective method to achieve the meta-cognitive faculty because achieved the expected method of solving problems and resulted in the true learning of content.

  • PDF

CAS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xn-1의 인수분해 일반화 과정에 대한 질적 분석 (A Qualitative analysis of students' factorization of xn-1 using a CAS application)

  • 조영주;김경미;황우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3호
    • /
    • pp.271-301
    • /
    • 2013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students generalize and prove the factoring of $x^n-1$ using a Computer Algebra System application and the role of CAS in this process. The theoretical framework consists of the anthropological and the instrumental approach. In particular, the basis of the Task-Technique-Theorization(T-T-T) frame adapted form Chevallard's anthropological approach of Didactics is utilized. We found that Technique-Theorization emerges in mutual interaction between paper-and-pencil techniques and computer algebra techniques. And this interaction led to the students' theoretical reflection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In this process, we could identify three epistemic role of CAS : the role of checking the result, the role of cognitive stimulation and the role of extending thinking. Therefore CAS plays on a epistemic role of checking the result of a task, stimulating the student' cognition and extending their thinking as well as pragmatic role of producing the result of a input.

역함수와의 교점을 구하는 과제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the Tasks to Find Intersection Points of a Function and Its Inverse Function)

  • 허남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5권3호
    • /
    • pp.335-355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asks to find intersection points of a function and its inverse function. To do this, we produced a task and 64 people solved the task. As a result, most people had a cognitive conflict related to inverse function. Because of over-generalization, most people regarded intersection points of a function and y=x as intersection points of a function and its inverse. To find why they used the method to find intersection points, we investigated 10 mathematics textbooks. As a result, 23 tasks were related a linear function, quadratic function, or irrational function. 21 tasks were solved by using an equation f(x)=x. 3 textbooks presented that a set of intersection points of a function and its inverse was not equal to a set of intersection points of a function and y=x. And there was no textbook to present that a set of intersection points of a function and its inverse was equal to a set of intersection points of $y=(f{\circ}f)(x)$ and y=x.

대수식과 디자인의 연결과정에서의 영재학생들의 수학적 사고 과정 분석 (A study of gifted students's mathematical process of thinking by connecting algebraic expression and design activities)

  • 권오남;정선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1권1호
    • /
    • pp.47-61
    • /
    • 2012
  • Students can infer mathematical principles in a very natural way by connecting mutual relations between mathematical fields. These process can be revealed by taking tasks that can derive mathematical connections. The task of this study is to make expression and design it and derive mathematical principles from the design. This study classifies the mathematical field of expression for design and analyzes mathematical thinking process by connecting mathematical fields. To complete this study, 40 gifted students from 5 to 8 grade were divided into two classes and given 4 hours of instruction. This study analyzes their personal worksheets and e-mail interview. The students make expressions using a functional formula, remainder and figure. While investing mathematical principles, they generalized design by mathematical guesses, generalized principles by inference and accurized concept and design rules. This study proposes the class that can give the chance to infer mathematical principles by connecting mathematical fields by designing.

분산 시스템에서 파일 이전과 부하 균등을 위한 수학적 모델 (Mathematical Model for File Migration and Load Balancing in Distributed Systemsc)

  • 문원식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53-162
    • /
    • 2017
  • Advances in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the decreasing cost of computers have made distributed computer systems an attractive alternative for satisfying the information needs of large organizations. This paper presents a distributed algorithm for performance improvement through load balancing and file migration in distributed systems. We employed a sender initiated strategy for task migration and used learning automata with several internal states for file migration. A task can be migrated according to the load information of a computer. A file is migrated to the destination processor when it is in the right boundary state. We also described an analytical model for load balancing with file migration to verify the proposed algorithm. Analytical and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our algorithm is very well-suited for distributed system environments.